[남태우 기자의 치매 부모 봉양기] 3. 요양원·요양병원 어디로 가야 하나
요양병원서 떠밀려 나온 아버지, 요양원 가기도 별 따기
아버지는 계속해서 틈만 나면 병원으로 달려갔다. 치매와 변비 외에 다른 아무런 병적 증상이 없는 노인을 입원시켜 주려는 일반 병원을 찾기란 쉽지 않았다. 입원해도 문제였다. 병원 측에서는 아버지가 입원할 때마다 여러 검사를 했다. 분명히 일주일 전에 입원한 노인이라는 점을 알면서도 똑같은 검사를 다시 했다. 비용이 만만치 않았다. 한 번 입원할 때마다 수십만 원이 날아갔다.
아버지·어머니 요양병원 모셨지만
아버지는 적응 못 하고 퇴원
요양원 들어가기는 더 어려워
장기요양등급 1~2등급이나
3~4등급은 '시설급여' 판정 필요
요양원 입소 놓고 형제간 갈등도
어머니는 병원에서 뇌수막종 방사선 치료를 받은 후 치매 증세가 악화됐다. 원래 무릎 관절 수술을 받은 이후 걷는 데 불편함을 느끼던 어머니는 뇌수막종 때문에 다리를 움직이는 게 더 힘들어졌다. 병원 측에서는 재활할 수 있는 요양병원에 입원하는 게 최선이라고 조언했다.
아버지와 어머니를 같은 곳에 모시는 게 좋겠다고 형제들은 뜻을 모았다. 경남에서 가장 규모가 크고 시설이 좋다는 김해의 한 재활요양병원에 간 것은 그런 연유에서였다.
어머니는 새로 간 요양병원에 잘 적응하고 매우 만족스러워했다. 밀양에 있을 때도 재활하러 병원에 다닌다고 했는데, 나중에 알고 보니 재활치료가 아니라 단순한 물리치료에 불과했다. 김해에서는 '진짜' 재활치료를 하루 두 차례 오전, 오후에 전문적으로 받게 되니 매우 기분이 좋은 모양이었다. 걷기조차 힘들었던 다리 상태는 매우 호전됐다. 침대에서 일어서기도 어려워하던 어머니는 나중에는 침대를 손으로 짚지 않고도 일어날 수 있게 됐다.
문제는 아버지였다. 입원하면 매일 밤새도록 화장실을 들락날락했다. 야간 당직 간호사를 찾아가 관장을 시켜달라, 진통제를 달라, 변비약을 달라며 계속 졸랐다. 다른 환자들도 살펴야 했던 간호사는 휴식은커녕 일조차 할 수 없는 상황까지 몰렸다. 며칠간 시달린 간호사는 병원 측에 대책을 세워달라고 호소했다. 아버지와 같은 방을 쓰는 환자들도 비슷한 요구를 했다. 병원 측에서는 어려움을 이야기하며 은근히 나가주기를 원했다. 이런 병원이 한두 곳이 아니었다.
할 수 없이 아버지를 퇴원시켜 집으로 모시고 갔다. 김해 병원 측에서는 아버지를 치매 전문 요양원에 모시는 게 좋겠다고 조언했다. 그곳에서 반강제적으로 변비약을 끊게 해서 장을 진정시키는 것 말고는 아버지의 변비 집착을 막을 방법은 없다는 것이었다.
형제들이 주로 모여 사는 부산의 여러 치매 전문 요양원에 전화를 걸었다. 대부분 남성 노인자리는 없다고 했다. 대기만 가능하다고 했다. 요양원에 들어간 노인 환자가 세상을 떠야 다음 환자가 입원할 수 있다는 것이다. 한 요양원에 빈자리 한 곳이 있다는 연락을 받았다. 아버지 상태를 설명했다. 요양원 측은 당혹스러워하는 것 같았다. 다른 환자들은 차분하고 조용하다고 했다. 시끄럽고 말을 잘 안 듣는 환자가 오면 다른 환자들에게 나쁜 영향을 미친다고도 했다. 결국 아버지가 들어갈 치매 전문 요양원을 찾기는 쉽지 않았다.
부산 북구 만덕동 '연우어르신의 집' 인지 기능 활성화 프로그램에 참여한 어르신들이 건강 박수를 치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