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민 삶 담아낸 선비 화가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공재 윤두서 / 박은순

윤두서의 '나물 캐는 여인'. 당시 여성의 생업현장을 담은 그림은 유례가 없던 일이다. 조선 후기 풍속화의 맹아로 보인다. 사진 제공=돌베개


한 올 한 올 살아 바람에 흔들리는 듯 풍성한 수염. 당장이라도 종이를 뚫고 뛰어나올 것 같은 형형한 눈빛. 공재 윤두서(1668~1715)의 '자화상'은 조선 후기 회화 역량의 절정이 집약된 초상화의 최고 걸작이다

나물 캐는 여인·채과도 등

시대를 앞선 작품 선보여

신중과 절제의 삶에 관심


압권은 뭐니뭐니 해도 눈이다. 살짝 올라간 눈매, 강렬한 시선의 눈동자는 얼마나 섬세하고 정교한가. 그러나 이 자화상의 진면목은 눈보다는 눈두덩이다. 결연한 기상으로 넘쳐흐르는 눈을 감싸고 있다. 도톰한 살이 흐릿하게 표현돼 있지만 이전의 조선 회화에서 볼 수 없었던 느낌. 바로 음영을 통한 입체감이다. 거기에 도저한 흡인의 힘이 있다. 생의 간난을 겪어본 자만이 보이는 연륜의 깊이다.

또 오랜 세월 가슴 속 깊이 담아둔 굳센 의지 같은 것도 보이고, 우수와 고독이 드리운 쓸쓸한 기운도 보인다.

친구였던 이하곤은 그림을 보고 말했다. "6척도 되지 않는 몸으로 천하를 뛰어넘으려는 의지가 있다. 바라보는 사람은 사냥꾼이나 검객이 아닌가 의심한다. 하지만 자신을 낮추고 겸양하는 풍모는 돈독한 군자와 비교해도 부끄럽지 않다. 풍류는 고개지 같고, 뛰어난 예술은 조맹부 같으니…."

기존의 화법을 뛰어넘는 파격이 이 자화상에 다 들어 있다. 자화상이 금기였던 조선 사회에서 뚫어져라 정면을 바라보는 자신의 모습을 그렸다는 자체가 대담한 진취성이다. 서양식 명암법에 대한 의식이 스며있다는 것도 놀랍다. 눈두덩은 물론 콧날, 입가의 주름 부분에 살짝 드리운 음영이 입체감과 사실감을 돋운다. 당시 영정에 사용하지 않았던 기법이다.

'공재 윤두서'(박은순/돌베개/2만3천원)는 조선 후기 선비그림의 개척자로 명성을 얻었던 그의 생애와 작품, 내면세계 등 전모를 파헤치는 책이다. 진경산수화-정선, 풍속화-김홍도, 문인화-김정희 식으로 도식화된 조선 회화사는 진부하다, 우리 회화사에서 누락된 공재 회화의 성취는 높다, 는 것이 지은이의 견해다. "사대부 집안의 출신이지만 농민과 서민, 백성들의 삶을 곁에서 지켜본 공재의 진보적인 행보들은 조선 후기 최초로 풍속화를 창조하는 원동력이었다." 사대부 남성이 서민 여성의 뒷모습을 풍속화로 그려낸 '나물 캐는 여인'을 비롯해 '짚신 삼기' '목기 깎기' 같은 작품에서 시대를 앞서간 공재의 지향을 엿볼 수 있다. 앞선 지향은 그릇의 요철감을 위해 서양화 기법을 쓴 '채과도'와 '석류매지도', 보기 드물게 말의 생태와 특징을 빼어나게 포착한 '유하백마도' 등에서도 또렷하다.

조선 역사상 가장 당쟁이 치열했던 17세기, 공재는 남인을 대표하는 해남 윤씨 집안의 종손으로 태어났다.

늘 지켜봐야 했던 건 목숨을 잃거나 유배 당하는 주변의 숱한 사람들. 선택은 신중과 절제의 삶으로 향했다. 재능과 학식을 출세하는 데 쓰지 않고 천기로 여기던 서화에 오롯이 바친 이유다. 그 결과 선비화가로서 도달한 그의 경지는 어떤 직업화가보다 드높았다.

책 말미에 공재의 가계도, 연보, 작품목록 및 도판목록, 참고문헌들이 잘 정리돼 있다.

김건수 기자 kswoo333@busan.com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