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시경 국소치료, 말기 담도암 환자에 희망의 빛
고신대 복음병원 박은택 교수의 '광역동성 치료' 학계 주목
담도암은 매우 까다롭다. 진단이 어렵고 치료를 위한 수술이 쉽지 않다. 이 담도암 가운데 한국인에게 흔한 간문부암은 더하다. 간문부는 간 내 담도와 간 외 담도를 연결하는 부위다. 간문부암은 병세가 금세 악화해 환자 생존율이 낮은 편이다. 진단 후 사실상 수술이 불가능하다.
수술 불가능 '간문부암'에 적용
국소적 조직 괴사로 담도 개통
폐쇄증세 현저히 줄이고
간기능 양호한 상태로 유지
암 진행 멈추는 사례도
평균 생존 기간 12~18개월로 연장
그래도 손을 놓고 지켜볼 수만은 없는 일이다. 간문부암으로 담도가 막히는 담도 폐쇄 증세가 시작되면 환자의 상태는 극도로 악화된다. 특수 치료로 환자의 담도를 뚫어 폐쇄 증세를 해소하면 환자의 삶의 질이 크게 높아진다. 담도 개통 치료를 시행하면 환자의 수명 연장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고신대 복음병원 췌담도내과 박은택 교수는 수술이 불가능한 진행성 간문부암에 대한 내시경적 국소치료법인 '광역동성 치료(PDT)'를 활발히 펼치고 있어 지역 의료계의 주목을 받고 있다. 내시경 시술로 간문부암 환자의 담도 개통 효과를 극대화하는 치료법이다. 박 교수는 지난달 서울에서 열린 대한소화기내시경학회 주관 '2015 국제 소화기내시경 학술대회(IDEN)'에서 간문부암 광역동성 치료 성과를 발표했다.
■담도 막히면 환자 상태 급속 악화
우리나라에서 담도암은 급격히 늘어나는 추세다. 질병관리본부 자료에 따르면 2000년 인구 10만 명당 5명꼴로 나타나던 담도암은 지난해는 10만 명당 12명꼴로 환자가 나와 발병률이 배 이상 늘었다. 국내 담도암 환자 가운데 70% 이상이 간문부암 환자이다. 간문부암은 진단 후 5년 생존율이 10%에도 미치지 못한다. 의료적으로 '예후가 매우 불량하다'고 표현한다. 발병 후 전이 속도가 매우 빠른 까닭이다. 담도암 전체로 보면 진단 후 환자가 사망에 이르는 기간이 췌장암 다음으로 짧다.
박 교수는 "보통 간문부암으로 진단되는 단계에선 수술이 불가능한 상태로 암이 번진 경우가 많다"면서 "암 전이 경로와 특성상 조기 진단도 어려워 매우 까다로운 암이라고 할 수 있다"고 말했다.
수술이 불가능한 상태로 진단된 진행성 간문부암 환자는 주로 담도 폐쇄 증세가 오면서 상태가 급격히 나빠진다. 따라서 담도 개통 상태 유지 여부가 핵심 관건이다.
담도 배액관 내로 종양이 침범하거나 2차 감염이 오는 경우 또는 담즙 찌꺼기가 쌓이면 담도 폐쇄 증세가 초래된다. 원활히 개통돼 있어야 할 담도가 막혀버리면 담관염, 패혈증 등의 합병증이 유발돼 환자가 위험한 상태에 빠질 수 있다.
간문부암 환자는 담도 개통이 잘 유지되도록 하는 치료로 담도 폐쇄에 따른 패혈증 등을 예방해 생존율을 높일 수 있다. 하지만 지금까지 어떤 치료법으로도 담도 폐쇄를 완벽하게 해결하지는 못한다. 막힌 담도를 인위적으로 뚫기 위한 시술을 반복하다 보면 환자의 고통이 높아져 삶의 질이 추락하게 된다.
박 교수가 지난달 서울에서 열린 국제 소화기내시경학회에서 간문부암 내시경적 국소치료 성과를 발표하는 모습.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