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 취임 1주일] 문재인 대통령의 당선 이후 행보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워밍업 없이 '스피드 국정' 격의 없이 '감성 소통'

당선과 동시에 취임을 해야 했던 문재인 대통령의 첫 1주일에 대한 여론의 반응은 "전임 대통령들과는 너무 다르다"는 것이다. 그리고 그 '다름'은 대체로 호평으로 이어진다.

그러나 '개혁'과 '통합'이라는 문 대통령의 메시지 내용은 사실 이명박·박근혜 두 전임 대통령의 그것과 크게 다르지 않았다.

확연하게 달라진 것은 이런 국정 메시지를 전달하는 형식이다. 이처럼 다른 평가를 이끌어낸 형식적 차이의 핵심은 '스피드'와 '감성'이라는 게 정치권 인사들의 평가다.

일자리委 설치, 국정교과서 폐기 등
취임과 동시에 공약·개혁과제 추진
일정 공개·셀카 등 '탈권위' 호평

李·朴 전 대통령은 인수위 인선 집중

■속도전 vs 휴식…'극과 극' 당선 1주일

문 대통령의 당선·취임 뒤 첫 1주일을 취임 전 60일의 인수 기간을 가졌던 이명박·박근혜 전 대통령의 7일과 단순 비교하기는 어렵다.

세 대통령의 당선 일성은 비슷했다. 문 대통령은 지난 9일 당선 뒤 개혁과 통합을 강조했고, 박 전 대통령 역시 2012년 12월 19일 당선이 확정되자 "분열과 갈등을 화해로 풀겠다"고 말했다. 그보다 5년 전 당선된 이 전 대통령 역시 '화합 속 변화'를 첫 메시지로 내놓았다.

그러나 첫 메시지를 발신한 이후 세 대통령의 행보는 크게 달랐다.

박 전 대통령은 당선 다음 날인 20일 국립현충원 참배, 당선 기자회견, 중앙선대위 해단식 참석, 4강 대사 접견 등을 소화한 이후에는 별다른 공개 일정 없이 인수위 인선에 집중하는 모습을 보였다. 크리스마스 전날과 당일에는 도시락 배달 등 봉사 활동을 했고, 25일에야 전국경제인연합회를 비롯한 경제인단체 면담을 시작하는 등 당선인으로서 외부 행보에 시동을 거는 모습이었다.

이 전 대통령의 일정도 거의 비슷했다. 선거 당시의 피로를 풀기 위해 공식 일정을 줄이고 인수위 인선에 집중하는 모습이었다. 이 전 대통령은 당선 5일 뒤인 25일부터 인수위원장과 대변인 인선을 발표하는 등 인수위 구성에 속도를 냈다. 당선인 신분인 두 전직 대통령 모두 해당 기간을 취임 준비을 위한 '워밍업'의 시간으로 보냈다.

그러나 문 대통령은 당선 확정 당일인 10일 취임과 동시에 행정 지시를 활용해 공약 및 개혁 과제들을 속도감 있게 전개했다.

임기 첫날부터 제1호 업무지시로 '일자리위원회' 설치를 지시한 문 대통령은 이틀 뒤에는 5·18 기념식에서 '임을 위한 행진곡' 제창, 국정 역사교과서 폐기 업무지시에 서명했다. 15일 '스승의 날'을 맞아서는 세월호 참사 때 사망한 기간제 교사 2명의 순직 인정을 지시했고, '공공기관 비정규직 제로시대' 선언, 미세먼지 감축을 위해 노후 화력발전소 가동 중단(셧다운) 조치를 발표했다. 대통령으로서의 권한을 적극적으로 행사해 해묵은 갈등 사안들을 조기에 매듭짓는 데 집중하는 모습이었다.

정치권 관계자는 "여론 지지가 높은 당선 직후 곧바로 취임해 대통령으로서 권한 행사를 할 수 있는 것이 어쩌면 문 대통령에게 호재였다는 생각도 든다"고 말했다.

■탈권위주의 '감성 통치' 호평

문 대통령의 지난 1주일을 꿰뚫는 또 하나의 키워드는 격의 없는 소통을 통한 '감성 통치'였다.

문 대통령이 참모진과의 소통을 위해 '구중궁궐' 청와대 본관이 아닌 여민관에 집무실을 마련한 것이나 수석들과 커피를 한 손에 들고 청와대를 산책하는 모습, 자신의 재킷을 벗겨주려는 경호원에게 "내가 하겠다"며 스스로 재킷을 벗는 모습, 직접 식판에 밥을 떠 청와대 직원들과 담소를 나누며 밥을 먹는 모습 등은 그 동안의 '불통'에 지친 시민들에게 신선한 청량감을 줬다.

또 세월호 참사 때 사망한 기간제 교사 아버지와 목함지뢰 사건에서 부상당한 하재헌 중사를 직접 전화로 위로하는 장면이나 시민들과 스스럼없이 '셀카'를 찍고, 어린이에게 사인을 해주기 위해 몸을 낮춰 기다리는 모습 등은 국민과 소통하는 대통령이 되겠다는 메시지를 제대로 부각시켰다.

인사도 현·전 정권의 취임 초기 상반된 평가를 부른 요인으로 지적됐다. 문 대통령은 비주류 국무총리 후보자, 비(非)검찰 출신 청와대 민정수석, 사실상 최초의 여성 인사수석 등 파격 인사로 호평을 이끌어낸 반면, 박 전 대통령은 극우보수 정치평론가를 인수위 대변인에 임명해 논란을 일으켰고, 이 전 대통령은 이른바 '강부자' '고소영' 내각으로 초기 국정 동력을 크게 상실하기도 했다. 전창훈 기자 jch@busan.com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