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파트의 역습] 6. 공동체 주택, 셰어하우스가 뜬다
식사도 여가도 육아도 이웃끼리 함께… "우리는 한 가족"
부동산 투기 광풍의 중심지였던 부산의 아파트 가격은 이제 서민이 감당하기 힘들 정도로 치솟았다. 게다가 우후죽순 난립한 대단지 아파트 탓에 지역 공동체마저 분리되는 등 부작용이 심각하다. 최근 동남지방통계청이 발표한 통계자료에 따르면 1990년부터 2015년까지 부산의 일반가구는 34.5% 증가하는 데 그쳤지만, 1인 가구는 368.4% 폭증했다. 대단지 위주의 아파트가 더 이상 지속 가능하지 않음을 보여주고 있다. 이 때문에 서울에서는 아파트처럼 큰돈을 들이지 않으면서 이웃과 친밀한 관계를 유지할 수 있는 '공동체주택'이 주목을 받고 있다.
서울시, 공동체주택 장려
현재 6000가구가량 공급
커뮤니티 시설 공유하며
입주민 간 친밀도 높아져
1인 가구 대상 셰어하우스
거주자들 공동체 활동 활발
청년 위한 '취업 컨설팅'도
■"아이 더 낳을래요."
직장인 윤영준(45) 씨는 2년 전 서울 마포구 서교동의 공동체주택 '소행주'(소통으로 행복한 주택 만들기) 5호에 입주하면서 이웃과 함께 사는 맛이 무엇인지 온몸으로 체감하고 있다. 소행주 5호에는 8가구가 입주해 있는데, 윤 씨는 입주민들이 또 다른 가족이라고 주저함 없이 말한다. 소행주 내부에는 모든 입주민이 공유할 수 있는 커뮤니티 시설이 있다. 이곳에서 입주민들끼리 식사를 하거나 담소를 나누면서 늘 웃음꽃이 피어난다. 또 아이들도 같이 공부를 하거나 영화를 본다.
소행주 5호는 외부의 마을 주민에게도 열려 있다. 1년 전에는 마을 주민을 초대해 잔치를 벌였는데, 입주민들은 주민들 앞에서 갈고 닦은 우쿨렐레 연주 실력을 뽐내기도 했다. 이와 함께 프리마켓도 종종 열면서 소행주 이름처럼 소통을 마을 전체로 넓히고 있다. 윤 씨는 이 같은 매력에 빠져 아예 소행주에 취업해 공동체주택 건설 일을 하고 있다. 그는 "집집마다 친밀하게 지내다 보니 마음 놓고 아이들을 키울 수 있다"면서 "더불어 사니 단순했던 삶이 더 행복해진다"고 말했다.
윤 씨가 살고 있는 서교동 소행주 5호는 서울시가 땅을 빌려주고 입주민들이 건축주가 돼 주택을 짓는 '토지임대부' 형식이다. 윤 씨 가족이 매월 서울시에 내는 토지 임차료는 36만 원이지만, 10년 동안 장기 거주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서울시는 2014년부터 공동체주택 정책을 적극 추진해 현재 6000가구가량 공급했다. 이 중 70%는 공공임대 형식이다.
서울시가 공급한 공동체주택에는 일반 가정뿐만 문화예술인과 청년, 노인 등 계층을 특화한 곳도 있다. 서울시는 내년 공동체주택 사업에 예산 27억 원을 확보하고, 전담팀을 신설해 사업을 더 확장해 나가기로 했다. 특히 내년에는 면목동 시유지 1625㎡ 일대에 복수의 공동체주택에다 도서관과 도시텃밭까지 조성하는 '공동체주택 마을' 건설까지 계획하고 있다.
공동체주택의 가장 큰 장점은 입주민들의 관심에 따라 규약을 설정해 다양한 프로그램을 운영할 수 있다는 점이다. 공동체주택에서 공동 육아가 활발하게 이뤄지고 있는 것도 이 때문이다. 서울시 관계자는 "공동체주택에 입주한 여성은 육아가 너무 편해서 아이를 하나 더 낳을 계획을 세웠다"면서 "공동체 하우스는 지자체가 땅만 가지고 있다면 많은 예산을 들이지 않고서도 대량 보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고 말했다.
하품 하우스의 한 입주자가 정원에 앉아 휴식을 취하는 모습.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