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밑 빠진 준설에 돈 붓기' 내년에도…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2005년부터 13년간 낙동강 하구 일대 준설에 수십억 원이 투입됐지만, 퇴적 현상이 반복돼 내년 대규모 추가 준설 작업이 또 실시될 예정인 것으로 확인됐다. 강 하구 퇴적을 막는 최선의 방법으로 하굿둑 개방이 꼽히는 상황에서 '밑 빠진 독에 물 붓기'식 준설이 아닌 보다 근본적인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부산 강서구청과 사하구청은 "내년 낙동강 일대 긴급준설사업을 진행할 예정이다"고 20일 밝혔다. 강서구의 경우 낙동강 하구 진우도에서 신자도 사이 인근 공유수면 7만 5000㎥ 구간에 15억 원의 예산을 투입한다. 사하구는 다대포해수욕장 일대 13만 6000㎥ 해역에 국비 10억 원을 투입해 준설을 진행한다.

해수 유동 차단 낙동강 하구
모래 퇴적 가속화에 준설 반복
강서·사하구 25억 원 투입키로
피해 호소 어민들 "근본 대책을"

문제는 강서구와 사하구가 준설을 진행하는 곳 모두가 과거 수차례 준설이 이뤄졌던 곳이라는 것이다. 강서구 진우도 일대의 경우 2005년과 2007년, 2012년, 2015년 모두 4차례에 걸쳐 25억 3800만 원이 투입됐다. 내년 준설이 이뤄질 경우 모두 40억 원이 넘는 예산이 진우도 일대 준설에 투입되는 것이다. 다대포해수욕장 앞 역시 2010년 어선통항로 확보를 위해 10억 원의 예산이 투입돼 한차례 준설이 이뤄졌다.

수차례 준설이 이뤄지는 이유는 준설 이후 끊임없이 반복되는 퇴적 현상에 어민들의 피해가 크기 때문이다. 어민들은 퇴적으로 인해 얕아진 수심으로 선박 안전에 위협을 받는다고 주장해왔다.

최용운 장림어촌계장은 "1~3t 소형 선박이 지나가려면 수심이 최소 2m는 돼야 하는데 현재 수심이 1m 미만에서 심할 경우 30cm까지 줄어들어 사고가 잦다"며 "특히 1997년 부산항 신항 축조로 해수 유동이 차단돼 모래 퇴적이 가속화되면서 조업을 위해 7㎞가량을 우회하고 있어 조업을 위한 경비도 증가한다"고 토로했다. 연안으로 조업을 나가는 장림·하단·홍티·다대어촌계 어민들은 신자도와 백합등 사이 수 ㎞ 떨어진 뱃길로 우회하고 있다.

환경단체들은 수십억 원이 투입되는 '땜질식' 준설이 궁극적인 대책이 아니라고 입을 모은다. 습지와새들의친구 김경철 습지보전국장은 "공사 후 준설 효과, 지속 기간 등 선행조사를 꼼꼼히 해야한다"며 "낙동강 수문 개방은 해양 모래 유입을 막아 퇴적 가속화를 막을 수 있는 하나의 방법이어서 빠른 결정이 필요한 시점"이라고 말했다.

수자원공사는 환경 단체가 지적하는 하굿둑 개방에 대해 신중한 입장을 보이고 있다. 한국수자원공사는 "준설을 막기 위해 무조건적으로 하굿둑 수문을 열 수는 없다"며 "다양한 부작용이 있을 수 있기에 국토부와 함께 수문 개방 여부 등을 두고 연구 용역을 진행 중인 상황"이라고 말했다.

김준용·곽진석 기자 jundragon@busan.com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