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시, ‘주피터 프로젝트’ 진상 규명 착수

황석하 기자 hsh03@busan.com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국방부와 현장방문 등 협의할 것”

속보=미 국방부가 올해도 예산 350만 달러(40억 원)를 들여 부산항 8부두에 생화학 실험이 포함된 ‘주피터(JUPITR) 프로젝트’를 지속하려는 사실이 확인(본보 13일 자 1·3면 보도)되자 부산시가 실체파악과 진상규명 작업에 착수했다. 지역 시민·환경단체와 정치권도 주피터 프로젝트 해체와 고위험 병원체 국내 반입을 막을 수 있는 주한미군지위협정(SOFA) 개정을 한목소리로 촉구했다.

부산시는 남구 감만동 8부두에서 진행 중인 주한미군의 주피터 프로젝트 실체와 진상을 규명하기 위해 이른 시일 내에 국방부와 접촉해 8부두 현장방문 등을 협의하겠다고 14일 밝혔다. 오거돈 부산시장은 “주피터 프로젝트가 시민 안전과 직결된 사안이기에 이 문제를 계속 방치할 수 없다”면서 “국방부는 물론 주한미군과도 논의하고 협의할 것이다”고 말했다.

남구가 지역구인 박재호 국회의원(더불어민주당)은 당 차원에서 이 문제를 다루겠다고 밝혔다. 박 의원은 “미군이 8부두에 어떤 장비를 무슨 용도로 설치했는지 파악할 필요가 있다”며 “8부두 현장검증까지 실현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박재범 남구청장도 “국방부 군비통제과에 해당 사안에 관해 설명을 요청하는 공문을 보냈다”면서 “주민 불안을 덜기 위해 8부두 방문 협조와 주민설명회 개최까지 이뤄져야 하며 주민 반대 운동도 고려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민중당 부산시당도 이날 ‘불공평한 SOFA를 전면 개정해 8부두 내 생화학실험실을 즉각 폐쇄’라는 성명서를 냈다. 부산의 환경·노동·시민단체가 참여해 주피터 반대 운동을 벌였던 ‘부산민중연대’도 활동 재개를 준비 중이다. 부산민중연대에 참가한 한 단체의 관계자는“주피터 중단을 위해 조만간 구체적인 대응 방침을 정해 행동으로 보이겠다”고 말했다. 황석하·이우영 기자 hsh03@


황석하 기자 hsh03@busan.com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