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고] 남북 공동 올림픽, 한국 경제에 긍정적일까?

변현철 기자 byunhc@busan.com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김귀순 부산외대 명예교수

2032년 서울-평양 남북 공동 올림픽 추진에 대한 견해다. 국제올림픽위원회(IOC)는 콤팩트 게임을 위해 개최도시 분산을 원칙적으로 불허하고 있다. 우리나라 동계 올림픽이 편법으로 강릉과 원주 등을 모두 평창군으로 모아 2018 평창 동계올림픽을 유치했다. 평창 동계 올림픽은 남북평화 올림픽이라는 가치는 좋았지만 경제성과는 미지수이다. 올림픽 경기를 보도하는 글로벌 방송사, 인근 국가와의 외교마찰로 해외방문객 수 부족 등 기대했던 흥행은 없었고 북한 고위층 인사와 예술단 참석, 지자체 인원 동원 등에 소요된 국비와 지방비 등 우리 측 출혈이 많았다고 추정된다.

동계올림픽은 단일 종목이고 경기 개최기간도 짧아 겨울스포츠가 국민스포츠인 일본의 나가노는 올림픽 개최기간 중 흑자가 났지만 활강경기장 등의 유지관리 보수비용으로 해마다 운영적자를 면치 못하고 있다. 나가노 시장은 환경훼손과 수천억이 드는 활강경기장을 한국이 건설하지 말고 나가노 경기장을 활용해 줄 것을 IOC와 우리 측 조직위원회에 전달했지만 IOC의 불허와 분산개최로 인한 관심 차이를 우려한 우리 정부의 반대로 이것이 성사되지 못하였다. 그대신 평창 동계올림픽 조직위는 2000억 들여 가리왕산에 활강경기장을 건설한 다음, 올림픽 후 전면 복원하기로 하여 올림픽 1회용 행사에 원전해체연구소 설립비와 맞먹는 2000억 원이나 들었을 정도로 우리 경제에 주름살을 지우고 있다.

서울-평양 하계올림픽은 경기장뿐 아니라 경기장외 인프라에 엄청난 돈이 소요될 것이다. 우리가 선진국 클럽인 OECD에 속하고 있지만 아직도 GDP면에서는 하위권이고 평창 동계올림픽이 끝난지 얼마되지도 않은데 또다시 유치를 위한 로비활동에 나서는 것이 바람직한가 생각해 보아야 한다. 소치도 동계 올림픽후 경제난을 겪었고, 그리스는 하계올림픽후 IMF 관리에 들어가는 등 올림픽 이후 휴유증으로 고전하는 국가와 도시가 많다.

우리나라의 경우 중앙정부가 개최 지자체의 재원을 모두 책임지고 있기 때문에 지자체들은 정부 지원을 조금이라도 더 받아 도시 인프라를 해야 하기 때문에 올림픽과 아시안게임 등 해외 대형스포츠에 대한 지자체의 과잉 유치경쟁으로 인한 예산 낭비와 그 부작용도 많은 것이 사실이다. 부산시도 2002년 아시안게임 개최 후 큰 적자가 났다고 한다. 사후 경기장 유지관리 적자를 고려하면 적자는 현재도 여전히 진행 중인 셈인데 부산시는 대선 때마다 부산 지역공약에 하계올림픽 유치를 넣으려고 한다. 부산시는 이 빚을 갚기 위해 하계올림픽 유치를 희망하는지, 빚을 더 지기 위해 올림픽을 희망하는지 어떠한 대책을 세우고 있는지 시민들에게 알려주는 것이 좋을 것이다. 올림픽은 빚을 늘리지만 개최도시나 개최국이 그 빚을 감당할 수 있을 때 해야 경제유발효과를 가져오지, 그 반대일 경우 경제난으로 허덕이게 되는 지름길이라는 것이 올림픽 국제 전문가들의 한결같은 조언이다.

북한 비핵화로 인한 유엔 제재가 지속되고 있는 만큼 이 제재를 피하기 위해, 또 남한의 북한 투자 리스크를 우려하는 정치권과 국민들의 반대를 무마하기 위해 남북 공동 올림픽 유치를 표방하고 있지는 않는지, 이것이 우리 경제에 어떤 충격을 줄지 면밀한 검토가 필요하다. 경제가 좋을 때 보통 올림픽 유치에 나서는 게 국가경영을 책임진 정부의 일반적인 성향이다.

2020 도쿄 올림픽 예산이 28조 원을 넘을 것이라고 일본 정부는 예상하고 있다. 서울-평양 공동올림픽은 서울만 해도 물가인상을 고려할 때 도쿄보다 더 들텐데 평양까지 같이 하게 되니 물론 하기 나름이겠지만 평양 인프라가 워낙 열악하니 2배 이상 더 들 수 있다고 추정된다. 이러한 추산은 경기장 건설외에도 서울-평양 간 철도와 통신 및 도로망 정비, 전력공급 등 부대비용에 따라 더 급증할 수 있기 때문이다.


변현철 기자 byunhc@busan.com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