왜 아산·진천인거야?… 정부가 제시한 4가지 이유

장혜진 부산닷컴 기자 jjang55@busan.com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우한 교민' 아산·진천 격리수용, 답변하는 김강립 차관. 연합뉴스 '우한 교민' 아산·진천 격리수용, 답변하는 김강립 차관. 연합뉴스

정부가 중국 후베이성 우한시 교민의 격리·수용을 위해 천안 대신 충남 아산과 충북 진천을 선정한 이유에 대해 밝혔다.

중앙사고수습본부는 29일 관계부처 합동으로 3차 회의를 열고 중국 우한서 전세기로 귀국한 국민들의 임시생활 시설로 충남 아산 경찰인재개발원과 충북 진천 국가공무원인재개발원 2개소를 지정했다고 밝혔다. 정부는 중국 당국과 협의해 우한 교민 중 무증상자를 우선 이송하기로 결정했다고 덧붙였다.

중앙사고수습본부 따르면 충남 아산과 충북 진천을 격리시설로 선정한 이유에 대해 국가 시설이라는 전제 아래 △ 시설의 수용 능력 △ 인근 의료시설 위치 △ 공항에서 시설까지 이동 거리 △ 지역안배 등 요소가 고려됐다.

최복수 행정안전부 재난협력실장은 "특정 지역에서 발생한 상황이 아닌 만큼 지자체 또는 민간 시설에는 부담 지울 수 없어 국가시설로 하기로 했다"며 "또 생활관이 있어야 하므로 연수시설이 대상이 됐다"고 설명했다.

국가에서 운영하는 연수시설을 추린 뒤에는 700명 이상의 교민을 1인 1실로 수용할 수 있는 규모, 인근 병원과의 거리, 공항에서 시설까지 정차하지 않고 이동할 수 있는 거리인지 등을 살폈다.

김 차관은 "국민들 특히 지역주민들의 이해와 정부의 조치에 대한 신뢰를 부탁드린다"며 "필요하다면 지역 지자체나 주민들께 설명하는 방안도 논의하겠다"고 말했다.

이와 관련해 양승조 충남도지사가 도민에게 양해와 협조를 구했다. 양 지사는 이날 정부 발표 이후 도청 브리핑룸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충남 도정을 믿고 정부 방침에 적극적으로 동참해달라"고 당부했다. 그는 "우한에 고립된 교민 700여명을 국내로 이송하는 문제는 국민을 보호해야 하는 국가 책무"라며 "정부와 함께 중심을 잡아 국민이 혼란스럽지 않도록 일사불란하게 위기관리에 나서겠다"고 말했다.

장혜진 부산닷컴 기자 jjang55@busan.com


장혜진 부산닷컴 기자 jjang55@busan.com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