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붉은 조명 아래 그들은 보통 사람이었습니다"
정경숙 완월동기록연구소 소장
“누구보다 치열하게 살았던 완월동 언니(활동가들이 성매매 여성들에게 친밀감을 표현하기 위해 사용하는 호칭)들, 언니들과 부대끼며 울고 울었던 활동가들의 이야기를 담았습니다.”
일제에 의해 만들어진 최초의 ‘공창’이자 대한민국 최대 규모의 성매매 집결지였던 부산 서구 완월동. 성 구매자, 업소 관계자, 동네 상인 외에는 접근하기 힘들었던 이 공간에 18년 전 여성 활동가로 뛰어든 이가 있다. 최근 ‘완월동 여자들’이라는 책을 출간한 정경숙 완월동기록연구소 소장이다.
성매매여성 다룬 '완월동 여자들' 출간
여성인권지원센터 ‘살림’ 만들어 활동
"완월동은 기억되어야 할 역사·현장"
“대학원에서 여성학을 공부하면서 여성의 몸을 착취의 대상으로 삼는 성매매산업에 대한 문제의식을 갖게 되었죠. 관련된 논문은 있었지만, 정작 현장 여성들의 목소리는 전해지지 않았어요. 내가 직접 만나보자 했죠.”
2002년 무시무시한 동네, 완월동에 정 소장은 여성인권지원센터 ‘살림’을 만들었다. 가족들이 위험하다고 만류했고 지인들도 무모하다고 걱정했다. 정 소장은 꼭 필요한 일인데 아무도 하지 않으니 내가 해야겠다는 마음뿐이었단다. 다행히 뜻을 같이하는 상근 활동가, 자원 활동가들이 모였고 자비로 활동을 시작했다.
“유리 벽 너머 붉은 조명 아래, 화려한 옷을 입고 표정 없이 앉아있던 언니들과의 첫 만남을 잊을 수가 없죠. 업주는 물론이고 언니들도 처음에는 저희를 반기지 않았어요. 반기기는커녕 여자들이 가게 문턱 넘으면 재수 없다며 쫓겨나기 일쑤였죠.”
늘 그 자리에서 언니들의 억울한 사연을 들어주고, 음식을 함께 만들어 먹으며 살림 활동가들은 언니들과 식구가 되었다. 한밤중이라도 도움이 필요한 언니에게 달려가기 위해 살림 활동가들은 집보다 사무실에서 자는 날이 더 많았다. 업주들의 폭언을 들으며 활동가들은 언니들과 차가운 길바닥에서 떨며 싸우기도 했다.
“책에는 언니들의 사연을 적지 않았어요. 사연팔이를 하고 싶지 않았어요. 활동가들의 희생을 이야기하고자 한 것도 아니고요. 언니들의 삶이 보통 사람들보다 특별하거나 이상하지 않다는 것, 그저 평범한 이웃이라는 걸 알려주고 싶었어요. 현장에서 온몸으로 뛰었던 활동가들의 이야기도 남기고 싶었어요.”
책은 심각하거나 진지하지 않다. 오히려 유쾌하고 감동적이다. 활동가들이 업주들을 술로 이긴 이야기부터 탈 업소를 한 완월동 언니의 감동적인 결혼식, 증거를 잡기 위해 완월동 언니로 위장 취업한 활동가, 부당하게 잡혀있다는 제보를 받고 007작전을 방불케 할 정도로 긴박했던 구조 현장, 취업 훈련을 받는 언니들의 실습 대상이 되느라 눈썹이 자주 없어졌다는 활동가 등 재미있는 상황들이 펼쳐진다.
“요즘 완월동의 폐쇄 절차가 진행되고 있는데 흔적을 완전히 없애는 건 반대합니다. 성평등과 인권에 대한 목소리가 높아지는 이 시대, 완월동은 기억되어야 할 역사이자 현장입니다. 인권요충지로서 완월동은 국내외에서 큰 가치를 가지고 있습니다. 서구청이 좀 더 적극적으로 나서야 하고 부산시도 전체 계획을 명확하게 세우고 접근해야 합니다.”
2002년부터 임신과 출산, 고통스러웠던 암 투병을 하면서도 줄곧 살림을 지켰던 정 소장은 4년 전 살림의 대표에서 물러나 현재는 살림의 자매단체인 완월동기록연구소를 맡고 있다. ‘완월동 여자들’의 인세는 전액 살림의 운영기금으로 기부되기 때문에 책이 많이 팔려야 한다고 정 소장은 많은 이들의 관심을 부탁했다.
김효정 기자 teresa@busan.com
김효정 기자 teresa@busa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