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세기 관통한 ‘근대 동래 정신’
한형석 평전 / 장경준
〈한형석 평전〉이 나왔다. ‘음악과 연극으로 조국 광복을 노래한 독립운동가’가 한형석(1910~1996)이었다.
그는 부산 근현대사에서 독특한 20세기 인물이었다. 20세기는 식민지 경험을 치렀고 그 식민지를 극복하는 것이 큰 과제인 시대였다. 부산 근현대 몇몇 인물들의 항일과 그 이후 궤적을 살피면 부산진의 박재혁과 동래의 박차정은 일제와 싸우면서 목숨을 바쳤고, 기장의 김두봉·김약수는 독립운동가로 남북 분단 뒤 북한으로 넘어갔고, 동래와 범어사에서 자란 장건상과 김법린은 부산을 떠나 해방 이후 서울 정치판에 몸을 담았다. 부산진의 최천택과 동래의 요산 김정한은 일제하의 부산을 지키면서 부산에서 사회운동과 문학에서 자기 길을 개척했던 이다.
아버지 이어 반평생 중국서 독립운동
광복군 들어가 ‘국기가’ 등 작곡도
두 동강 난 조국 실망 부산서 활동 펼쳐
‘먼구름체’에 고매한 인품 고스란히
이들과 견줄 때 동래 사람 한형석은 어릴 적 6년간을 빼고는 중국에서 반평생을 살았다. 스스로 ‘반(半) 중국사람’으로 생각했을 정도다. 1948년 귀국할 때까지 중국에서 32년을 살았던 그였다. 그것이 그가 감당한 20세기 동래 사람 한형석의 찢긴 삶이었다.
한형석의 골수에는 ‘근대 동래 정신’이 박혀 있었다. 그의 아버지 한흥교(1885~1967)는 ‘근대 동래’가 배출한 대단한 인물이었다. 신식학교인 개양학교와 삼락학교를 졸업한 아버지 한흥교는 부산 최초의 서양 의사였다. 한흥교는 1911년 유학 간 일본에서 조선 독립을 위해 신해혁명이 일어난 중국으로 간다. 중국에 가서 한흥교는 항일 독립운동의 핵심적 역할을 한다. 한흥교가 집안 사정으로 7년여 귀국한 시절, 세운 대동병원이 오늘날 대동병원의 시초였다. 여하튼 한흥교는 28년여 중국에서 항일운동을 펼쳤다.
한형석은 그런 아버지 혈통을 이어받은 아들이었다. 그러나 12년을 중국에서 같이 살다가 헤어진 의사 아버지와 달리 그는 예술을 택했다. 갈등할 때 “프랑스 국민을 하나로 뭉치게 한 혁명가가 백만 대군보다 강했다”라는, 아버지 친구이자 임시정부 요인이었던 조성환의 말을 듣고 힘을 얻었다. 한형석이 7~8년여 중국 예술계의 찬사를 받던 예술가에서 본격적인 항일 운동가로 변신한 것은 1937년 중일전쟁 이후였다. 전투에서 죽을 고비도 넘긴 뒤 1941년 이범석 장군 휘하의 광복군에 들어가 너무나 유명한 ‘국기가’ ‘압록강행진곡’을 작곡한다. 광복군으로서 한형석은 국내 진격을 위한 지옥훈련도 받았다. 그러다가 1945년 8월 해방이 갑자기 온 것이었다.
그의 호는 먼구름이었다. 한형석은 언제나 고요히 스스로를 드러내는 일 없이 물 같은 상선약수(上善若水)의 삶을 살았다. 대제국을 호령한 알렉산더 대왕이 부러워한 견유학파 디오게네스처럼 ‘가벼움의 철학’을 온전히 살았다. 그가 귀국한 것은 1948년 8월, 이승만 정권이 출범할 무렵이었다. 그는 비통해했다. 다시 찢긴 것이다. 두 동강 난 조국, 어지러운 사상, 그는 한강변에 서서 죽어간 동지들을 떠올렸다. 그리고 나머지 반평생의 새 출발을 위해 고향으로 왔다. 그는 ‘미끄러져 내려왔다’라고 표현했다.
그러나 부산에서의 활동은 매우 의욕적이었다. 부산문화극장을 개관하고 자유아동극장을 창립하고 색동야학원을 운영하는 등 참으로 많은 일을 했다. 그를 아는 많은 이들은 그를 ‘고매한 인품’으로 추억한다. 그 인품의 한 자락을 ‘먼구름체’라는 그의 독특하고 멋진 서체에서 충분히 느낄 수 있다. 그 서체는 부산대, 임시수도기념관, 동래임진의총, 대동병원, 충렬사, 윤흥신 장군 동상 등 부산 곳곳에 남겨져 있다. 중앙동 목로주점 ‘부산포’의 편액 ‘그냥 갈 수 없잖아’도 그가 썼다.
부산박물관에서 근무했던 장경준이 쓴 이번 평전은 아쉬움이 없지 않다. 135쪽에 그의 삶을 4장으로 나눠 서술했고, 나머지 120여 쪽에는 ‘한형석의 예술 작품 및 기타 자료’를 실었다. 지난 2006년 부산근대역사관이 특별기획전을 열면서 출간한 〈먼구름 한형석의 생애와 독립운동〉과 같이 읽으면 보완이 될 듯하다. 이 책에 실린, 1977년 9~11월 〈부산일보〉에 연재한 한형석의 글 ‘나의 인생 나의 보람’은 압권이다.
한형석이 이국으로 떠나는 딸에게 써준 글귀는 깊이 새길 만하다. ‘뜻이 있는 곳에 길이 있다.’ 그는 그 삶을 살았다. 장경준 지음/산지니/256쪽/2만 원.
최학림 선임기자 theos@busan.com
최학림 선임기자 theos@busa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