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 장기화로 각종 경제지표 어두운 그림자

김종우 기자 kjongwoo@busan.com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우리나라 경제가 8∼9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재확산 충격에서 어느 정도 회복됐는지 가늠할 수 있는 금융시장, 나라 살림(재정수지), 고용 관련 최신 지표들이 잇따라 공개된다. 10일 '9월 재정동향' 발표에 이어 오는 11일에는 통계청의 '10월 고용동향'이 나온다. 사진은 10일 서울 중구 서울고용복지플러스센터 모습. 연합뉴스 우리나라 경제가 8∼9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재확산 충격에서 어느 정도 회복됐는지 가늠할 수 있는 금융시장, 나라 살림(재정수지), 고용 관련 최신 지표들이 잇따라 공개된다. 10일 '9월 재정동향' 발표에 이어 오는 11일에는 통계청의 '10월 고용동향'이 나온다. 사진은 10일 서울 중구 서울고용복지플러스센터 모습. 연합뉴스

코로나19의 장기화가 각종 경제지표에 어두운 그림자를 드리우고 있다. 코로나19 피해 업종을 돕기 위한 정부의 금융 지원 확대는 ‘대출 회수’에 대한 우려를 키우고 있다. 가계가 씀씀이를 줄이면서 늘어난 저축률은 ‘소비 위축’에 대한 걱정으로 이어지는 모습이다.


■코로나19 금융지원 250조 넘어

29일 금융당국에 따르면 정부가 코로나19로 피해를 입은 소상공인과 중소기업, 개인 채무자 등을 돕기 위해 집행한 금융지원 규모는 총 235만 9000건, 250조 9000억 원에 달한다. 이 가운데 신규 대출과 만기 연장 규모는 총 198조 3000억 원이고 나머지 52조 7000억 원은 보증 지원이다. 업종별로 보면 음식점업(43만 건), 소매업(38만 건), 도매업(29만 건) 순으로 많았고, 여행·레저업과 숙박업에도 지원이 각각 8만 건, 3만 건 이뤄졌다.

정부가 유동성을 지원해 개인과 소상공인 등의 ‘파산’을 막고 있지만 코로나19 장기화로 이 같은 ‘응급처방’이 언제까지 이어질 수 있을지 우려도 커지고 있다. 경기침체가 장기화되면 결국 정부의 지원이 금융권 부실로 이어질 수 있어서다.

금융당국은 이 때문에 향후 코로나19 금융 지원 프로그램을 일시에 중단하지 않고 최대 수년에 걸쳐 단계적으로 축소하는 등 연착륙을 위한 출구 전략을 검토하고 있다. 은행 등도 현재는 부실이 표면화되지 않은 상황이지만 결국 한계가 드러날 것으로 보고 있다. 은행들의 위기감이 높아지면서 빌려준 돈을 떼일 가능성에 대비해 쌓아 두는 대손충당금 적립률은 올 9월 말 기준 130.6%로 1년 전보다 20.8%포인트(P)나 높아졌다.


■가계저축률, 1999년 이후 최고 전망

코로나19는 가계 소비심리에도 큰 타격을 주고 있다. 이 때문에 가계저축률이 1999년 이후 최고 수준으로 높아졌지만 소비 부진의 장기화 등 부작용 우려도 커졌다.

한국은행은 29일 조사통계월보에서 코로나19 확산 이후 단기적으로 소비가 위축돼 국내 가계저축률이 10% 안팎까지 상승할 수 있다고 전망했다. 국내 가계저축률은 1988년 23.9%로 정점을 찍은 뒤 소비지출 구조 변화, 연금제도 확대 등의 영향으로 2000년대 중반까지 급격한 내리막을 탔다. 2002년에는 0.1%까지 낮아졌다. 경제 위기가 발생했을 때 일시적으로 큰 폭 상승했는데, 외환위기 여파로 1997년 13.1%에서 1998년 20.4%로 급격히 올랐다.

올해 코로나19로 가계저축률이 10% 안팎까지 상승할 경우 지난해(6.0%)보다 4%P나 높아지게 된다. 종전 연간 가계저축률이 10%를 넘었을 때는 1999년(13.2%)이 마지막이었다. 한은은 가계저축률 상승에 대해 “소비 부진의 장기화를 부를 수 있고, 거시경제 정책의 내수 부양 효과도 약화할 수 있다”며 “저성장·저물가·저금리 현상이 새로운 기준(뉴노멀)이 될 가능성도 있다”고 분석했다. 그러면서 “가계저축률의 상승 고착을 초래할 수 있는 가계 소득 여건 악화 등 구조적 요인을 완화할 정책적 노력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김종우 기자 kjongwoo@busan.com


김종우 기자 kjongwoo@busan.com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