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람들 빽빽한데…" 지하철 내 '깜깜이 감염' 없다?
출퇴근 시간, 사회적 거리두기가 사실상 불가능한 지하철 내 감염 가능성을 두고 여러 말들이 나오고 있다. 지하철 동선을 공개하고 예방책을 세워야 한다는 목소리와 함께 지하철 역학조사는 비용 대비 효과가 떨어진다는 지적도 나온다.
서울시는 최근 지난해 2월부터 지난달 25일까지 코로나19 확진자가 다녀간 객차, 대합실, 승강장 등 지하철 시설을 조사한 결과를 내놓았다. 지하철은 밀집도가 높음에도 버스, 택시 등과 달리 확진자 동선 정보가 '깜깜이'라는 지적이 나왔기 때문이다. 결과 보고서에 따르면 399번의 사례에서 모두 바이러스가 검출되지 않았다.
서울교통공사는 역마다 출입문이 열고 닫혀 환기가 수시로 되고, 자체 시스템으로 내부 공기를 계속 외부로 배출해 감염 확률이 매우 낮을 것으로 분석했다.
다만 시는 표본검사인 만큼 조사 결과에 따라 지하철이 100% 안전하다고 단정지을 수 없다고 밝혔다.
하지만 이같은 조사에도 여전히 시민들 사이에서는 지하철 내 코로나 감염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높은 실정이다. 출퇴근 시간에는 밀폐된 열차 한 량에 수십, 수백 명이 동시 탑승하는 경우도 있고, 띄어앉기도 사실상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시민들은 일부 감염경로가 불분명한 확진 사례가 지하철에서 발생한 것 아니냐는 의문을 품고 있다. 이에 지하철 내 확진자 동선을 면밀히 분석해 공개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오고 있다. 전문가들도 승객 간 거리, 확진자의 객차 내 머무른 시간 등에 따라 감염 가능성을 완전히 배제할 수 없다는 입장이다.
그러나 지하철 칸마다 CCTV 이동 경로를 파악하는 것이 비용 대비 효과가 떨어진다는 말도 나온다. 실제 현재 지하철 동선이 공개되지 않는 데는 역학조사의 한계가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확진자의 동선에 있는 모든 승객을 특정하지 않으면 사실상 동선 공개가 크게 의미 없다는 지적도 나온다. 부산시는 최근 그동안 확진자가 지하철을 탄 사례가 있었지만, CCTV 확인 결과 대부분 마스크를 잘 착용해 동선을 공개하지 않았다고 밝힌 바 있다.
일부 전문가들은 지하철이 완전한 감염 안전지대가 아닌 만큼, 혼잡도 등을 낮추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더불어 출퇴근 시간 등 혼잡도가 높아 대규모 감염이 우려되는 사례에 대해서는 동선 공개가 필요하다는 말도 나온다. 한 내과 전문의는 "지하철 배차 간격을 줄이거나 재택 근무 확대, 출퇴근 시간 분산 등의 대안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승훈 기자 lee88@busan.com
이승훈 기자 lee88@busa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