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전도서관, ‘공공 개발’ 불씨 되살린다
부산시장 공백으로 ‘올스톱’ 됐던 부전도서관 개발 논의(부산일보 2월 16일 자 6면 보도)가 재개된다. 박형준 시장이 취임한 뒤 부산진구청이 본격적인 논의를 시작하고, 부산시도 부전도서관 개발에 적극적인 입장을 취하면서 서면 중심에 위치한 60년 역사의 부전도서관이 어떤 모습으로 바뀔지 주목된다.
21일 서은숙 부산진구청장은 “박형준 부산시장에 부전도서관 개발 논의를 건의하고, 부산시와 함께 도서관 건물과 부지 개발 방향에 대한 본격적인 검토를 시작할 것”이라고 밝혔다. 구청 측은 부전도서관 부지에 신축 건물을 세우고 건물에 도서관과 박물관, 전시관 등을 조성하는 방안과 도서관 건물 원형 보존 방안 등을 종합 검토한다. 부산진구청 안은정 평생교육과장은 “구청 내부적으로 다양하고 폭넓은 논의를 거칠 것이며 이후 부산시장을 중심으로 도서관 개발 방향을 조율하게 될 것”이라며 “그간 시장 부재로 검토가 어려웠는데 앞으로 부전도서관 개발 논의에 속도가 붙을 전망이다”고 말했다.
민간개발 철회 후 사업 ‘올 스톱’
새 시장 취임 후 구청 논의 재개
2018년 ‘공공 개발 협약’ 토대
시-구청 공동 문화공간 개발 방침
시 “구청과 협의해 방안 모색”
부전도서관 개발 논의는 2018년 오거돈 전 부산시장과 서 구청장이 맺은 ‘부전도서관 공공 개발 협약’을 기초로 한다. 이 협약은 과거 추진됐던 부전도서관 민간투자방식(BTO) 개발 사업을 철회하고, 부산시와 부산진구청이 공동으로 개발하자는 내용을 담고 있다. 공공 개발을 통해 부전도서관을 서면의 대표적인 교육·문화 복합공간으로 조성하고, 부산시는 행정과 재정적 지원을 하겠다는 것이다. 서 구청장은 “부전도서관을 공공 개발하자는 부산시와의 협약을 토대로 논의를 이어갈 계획이다”며 “과거 민간사업자가 구상했던 쇼핑몰 조성 등의 방안은 고려되지 않고 있으며, 도서관의 역사성과 가치를 살린 개발 방향을 모색 중이다”고 밝혔다.
부산시도 ‘적절한 방안을 찾아내겠다’며 부전도서관 개발 논의에 적극적이다. 부산시 이진경 도서관지원팀장은 “부산시장 공석 등을 이유로 꾸준한 논의가 이뤄지지 못했다”며 “현재까지 뚜렷한 부전도서관 개발 방안이 나온 것은 아니지만, 구청과 논의를 거쳐 도서관의 가치를 살릴 수 있는 개발 방향을 모색할 것”이라고 전했다.
부산진구청은 2011년 BTO 사업을 결정했다. 당시 민간사업자는 도서관을 허문 뒤 쇼핑몰을 짓겠다는 계획을 세웠다. 구청은 신축 건물 안에 도서관을 조성하겠다는 계획을 내놓기도 했다. 당시 실제로 민간사업자가 선정됐으며, 2014년 쇼핑몰 일부가 분양되기도 했다. 그러나 부산진구청은 부산시와의 공공개발 협약 이후인 2019년 민간사업자에게 계약 해지를 통보했다. 사업자 측은 지난해 5월 구청을 대상으로 2억 원의 손해배상 일부 청구 소송을 제기했다. 소송은 아직도 진행 중이다. 부산진구청 강석진 도시재생사업계장은 “소송에 대한 판결은 나지 않았지만, 부전도서관 개발 논의는 소송과 전혀 무관하다”며 “실제 개발에도 영향을 끼치지 않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부전도서관 개발 논의가 본격화하면서 전문가들은 도서관의 가치와 역사성을 살리는 방향이 필요하다고 조언한다. 부산대 문헌정보학과 이용재 교수는 “지어진 지 60년이 되어가는 부전도서관은 역사적 가치가 어마어마한 문화 자산으로 도서관 보존, 리모델링, 증축 등 다양한 방법을 모색해야 한다”며 “서울로만 집중되는 문화 역행 현상을 막아낼 수 있도록 이번을 계기로 부전도서관을 전국을 넘은 세계적 문화 도서관으로 키워나가야 한다”고 말했다.
곽진석 기자 kwak@busan.com
곽진석 기자 kwak@busa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