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북 고위급 화상회담 급물살 타나

민지형 기자 oasis@busan.com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통신 복원 이어 화상 만남 가능성
이인영 통일부 장관 역할론 솔솔


이인영 통일부 장관. 연합뉴스 이인영 통일부 장관. 연합뉴스

남북 통신선이 413일 만에 다시 연결하면서 문재인 대통령이 남북 관계 개선과 한반도 비핵화 달성을 위한 본격 행동에 나설 수 있는 가장 ‘낮은 단계’의 분위기는 마련됐다는 평가가 나온다. 통신선 복원에 이어 각종 단위의 실무 화상 회담이 열리고, 멀지 않은 시기에 남북 정상회담 등 전격적인 조처 가능성도 제기된다.

박수현 청와대 국민소통수석은 28일 MBC 라디오 ‘김종배의 시선집중’에 나와 (전날) 통신 복원 조처는 “출발선”이라며 남북 정상회담 가능성에 대해 “그렇게 되면 좋겠다”고 했다. 박 수석은 이어 “통신선 복원만으로는 충분한 대화와 협상의 수단이 될 수 없을 것”이라며 “이제 남북 간 각급 실무협의 접촉을 해나가게 될 텐데 화상회의 시스템 구축을 구상해볼 수 있다”고 했다. 소통 채널 강화를 바탕으로 방역 협조나 남북연락사무소 복원 등의 구체적 의제를 차차 협의할 수 있다는 설명이다. 통신 연락을 통해 화상 실무 회담을 조율하고 의제가 정해지면 고위급 화상 회담을 통해 실천 조처를 협의하고 정상회담으로 나가는 프로세스를 기대할 수 있다는 의미다.

고위급 회담 주체로는 이인영 통일부 장관을 주목하는 시선이 많다. 정세현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수석부의장은 이날 TBS 라디오 ‘김어준의 뉴스공장’에 나와 “남북 관계가 얼어붙은 줄 알았더니 얼음장 밑으로 봄이 좀 오고 있었던 것”이라며 “고위급 실무회담 이야기가 (언론 보도에) 슬슬 나오는데 통일부가 지금 일을 해야 하는 시점이 왔다”고 했다. 그러면서 “남북 장관급 회담, 통일부 장관도 고위급”이라며 “국정원이나 안보실은 막후에서 일하는 곳”이라고 했다. 이 장관에게 힘을 실어주고, 국정원 등 정보·안보 당국은 후방 지원을 해야 한다는 얘기다.

실제 통일부는 남북 통신 연락선 복원을 계기로 남북 화상회의 시스템 구축부터 속도를 내는 모습이다. 통일부 당국자는 이날 연합뉴스에 “남북 간 여러 현안이 있지만 연락 채널 복원 다음으로 대화를 복원하는 일이 첫 번째 과제”라며 “코로나 19 상황에서도 대화를 진행할 수 있는 화상회의 시스템 구축 문제를 얘기해볼 예정”이라고 밝혔다. 이미 통일부는 북한과의 비대면 회의 필요성이 커졌다는 판단 아래 올해 4월 종로구 삼청동 남북회담본부에 총 4억 원의 예산을 들여 영상회의실을 구축한 바 있다. 이 시점은 남북 정상이 친서 교환을 시작한 시점이라는 점에서 결과적으로 통일부가 이때부터 화상 회담을 준비했다는 것으로 비친다. 남북 영상 회의는 기술적으로는 큰 어려움이 없는 것으로 전해진다. 통일부는 남북이 판문점 등에서 대면 회담을 할 때를 대비해 ‘코로나 시대’ 회담 운영방안도 준비한 것으로 알려졌다.


민지형 기자 oasis@busan.com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