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태계 훼손 주범’ 지리산 성삼재·정령치 주차장 철거하라”

이선규 기자 sunq17@busan.com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지리산국립공원 노고단 입구에 있는 성삼재 주차장 전경. 지리산국립공원 자료사진 지리산국립공원 노고단 입구에 있는 성삼재 주차장 전경. 지리산국립공원 자료사진

지리산권 환경단체들이 지리산국립공원 생태 회복을 위해 성삼재·정령치 주차장 철거를 촉구하는 ‘한 걸음 더 행동’ 에 본격 나선다.

‘성삼재·정령치 도로 전환 연대’와 ‘국립공원을 지키는 시민의 모임’(국시모) 등은 6일 오후 1시 지리산국립공원을 관통하는 지방도 737호에 접한 정령치 주차장(남원시 산내면 덕동리)에서, ‘성삼재·정령치 도로의 정의로운 전환을 위한 성삼재·정령치 주차장 철거 요구, 한 걸음 더 행동’을 실시한다고 5일 밝혔다.


6일 환경단체 철거 촉구 행동

연간 100만 대 통행 탄소 배출

차량 통제해 자연 생태계 회복

주민 운영 친환경 셔틀버스 제안


지리산 정령치 휴게소 내 주차장. 이선규 기자 지리산 정령치 휴게소 내 주차장. 이선규 기자

성삼재·정령치도로전환연대는 성삼재·정령치 도로의 정의로운 전환을 위해 국립공원을지키는시민의모임 지리산사람들, 사단법인 반달곰친구들, 실상사, 지리산생명연대, 화엄사 등이 참여해 출범했다.

이들 지리산권 환경단체들은 이날 행사에서 지리산국립공원 해발 1172m 자연보존지구이며, 백두대간 마루금에 있는 정령치 주차장과, 해발 1100m 백두대간 마루금에 있는 성삼재 주차장 철거를 강력히 촉구할 예정이다.

앞서 이들 지리산권 환경단체들은 지리산 성삼재·정령치 도로를 오가는 연간 100만 대 이상의 탄소발생 차량을 통제하고, 주민이 직접 운영하는 친환경 셔틀버스 운행을 제안했다.

하지만 이들 단체는 “환경부와 국립공원공단가 구례군·남원시 등 관할 지자체 핑계를 대며, 관련 조사와 주민 협력, 탐방객 홍보 등을 진행하고 있지 않고 있다”며 “환경부와 공단은 말만 탄소중립, 녹색뉴딜이 아니라 현장에서 실천하는 모습을 보여줘야 한다”고 비판했다. 이들은 “우리나라 최상위 보호지역인 국립공원, 국립공원 중에서도 보전 강도가 가장 높은 자연보존지구, 우리나라 3대 생태축 백두대간의 중심인 마루금에 있는 정령치 주차장과 성삼재 주차장을 반드시 철거해야 한다”고 거듭 주장한다.

‘성삼재·정령치 도로 전환 연대’와 ‘국립공원을 지키는 시민의 모임’(국시모) 등이 6일 펴는 ‘한 걸음 더 행동’ 행사 포스터. 국시모 제공 ‘성삼재·정령치 도로 전환 연대’와 ‘국립공원을 지키는 시민의 모임’(국시모) 등이 6일 펴는 ‘한 걸음 더 행동’ 행사 포스터. 국시모 제공

환경부와 국립공원공단은 지난 1991년 성삼재 도로를 이용해 성삼재에 오르는 차량을 수용하기 위해 지리산 노고단 입구에 성삼재주차장을 건설했다. 이어 1993년에는 정령치 주차장도 건설했다.

성삼재주차장(전남 구례군 산동면 좌사리 산 110-3)은 지리산 노고단 초입 해발 1100m에 백두대간 마루금을 허물고 1만1112㎥ 넓이(축구장 2.7배 크기)로 조성했고, 정령치 주차장은 해발 1172m 지점에 4865㎥ 넓이로 건설됐다.

지리산국립공원 서북부를 관통하는 성삼재·정령치 도로는 1988년 서울 올림픽을 앞두고 정부가 IBRD 차관 등 예산 68억 원을 들여 직접 건설했다.

성삼재 도로(지방도 861호)는 천은사에서 성삼재를 거쳐 반선까지, 정령치도로(지방도 737호)는 고기삼거리에서 달궁삼거리를 2차선 포장도로로 1988년 개통됐다. 이 도로 개통 이후 야생동물 로드킬이 매우 잦고, 서식처가 잘리고, 이동통로가 단절되면서 지리산국립공원 서북부 일대 자연 생태계 훼손의 주범이라는 지적을 받고 있다.


이선규 기자 sunq17@busan.com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