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낙동강 독성물질 기준치 수백 배" 시민 불안 해소하라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24일 오전 서울 종로구 환경운동연합에서 열린 ‘낙동강·금강 독성 마이크로시스틴 현황 분석 결과 발표 기자회견’에서 참석자들이 낙동강에서 뜬 물과 그 당시 사진 등을 들어 보이고 있다. 연합뉴스 24일 오전 서울 종로구 환경운동연합에서 열린 ‘낙동강·금강 독성 마이크로시스틴 현황 분석 결과 발표 기자회견’에서 참석자들이 낙동강에서 뜬 물과 그 당시 사진 등을 들어 보이고 있다. 연합뉴스

부울경을 비롯한 영남 지역 주민들의 식수원인 낙동강에서 녹조 독성물질인 마이크로시스틴이 다량으로 검출됐다니 충격적이다. 이 물질은 남세균이 생성하는 대표적인 독소로, 청산가리보다 적게는 20배, 많게는 200배 가까운 독성을 갖고 있어서다. 환경운동연합과 ㈔세상과 함께 등이 지난 24일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낙동강에서 마이크로시스틴이 미국 레저활동(물놀이) 금지 기준치에 비해 최고 245배 높은 농도로 검출됐다고 한다. 발표자 측은 지난달 28일부터 지난 20일까지 매주 2차례 낙동강 27곳에서 채수한 뒤 수질을 분석했다. 평소 낙동강 취수원에 대한 불신이 깊은 지역민들에게 불안감을 가중시키는 조사 결과다.


간질환 유발 마이크로시스틴 다량 검출

관리 기준 변경·강화 통해 수질 개선해야


이번 조사에서 수질 분석이 끝난 낙동강 14곳은 미국 레저 기준치를 수십~수백 배 초과한 마이크로시스틴이 검출됐다. 대구 국가산단취수장 취수구 부근이 1리터당 4914ppb로 검출량이 가장 많았으며, 창녕함안보 상류 4226ppb, 창원 본포취수장 앞 1555ppb, 도동서원 앞 982ppb 등이다. WHO(세계보건기구)와 미국 환경청의 먹는 물 기준 1일 마이크로시스틴 허용치는 1ppb이고, 20ppb 이상이면 물놀이 중지를 권고하고 있어 영남권 주민의 낙동강 수질에 대한 불신과 불안감이 커질 수밖에 없다. 다량의 마이크로시스틴에 장기간 노출될 경우 간질환과 위장염, 근 위축성 측삭경화증 등 질환을 일으키는 만큼 새로운 걱정거리가 등장한 셈이다.

25일 환경부는 이 같은 조사 결과에 대해 “정수장 조류 독소 측정 결과 검출사례가 없으며, WHO 가이드라인에 따라 조류경보제를 운영해 물 안전에 문제가 없다”는 입장을 밝혔다. 반면 환경운동연합 등은 “녹조가 유속이 느려지는 강변에 주로 몰리는데, 환경부 채수 지점은 강 중앙에 위치해 있다”며 채수 지점 변경을 촉구한다. 환경부가 해명이나 반박에 치중하며 현행 수질 관리 시스템을 고수하기보다는 수질 관리 강화 방안을 검토하는 게 절실하다. 1991년 낙동강 페놀 오염사고가 발생한 지 30년이 경과한 현재까지도 낙동강 원수가 공업용수 수준의 나쁜 수질을 보이고 있기 때문이다.

그동안 낙동강 수질 관리에 기울인 정부와 관리 당국의 다양한 노력과 수고를 모르는 바는 아니다. 하지만 낙동강 수질 개선의 필요성은 부산 식수원인 물금취수장의 수질이 잘 증명한다. 지난해까지 이곳에서 측정된 원수 수질은 5년 연속 생활용수로도 쓸 수 없는 3등급으로 나타났다. 수질 관리를 강화하려면 환경단체들 주장처럼 낙동강 수질 측정을 위한 채수 지점을 변경하는 것도 한 방법이다. 부산·경남 주민들의 숙원인 먹는 물 문제 해소를 위한 취수원 이전은 여전히 논의 단계에 있다. 이 문제가 완전히 해결되기 전까지는 기준 변경과 강화를 통해 낙동강 수질 관리를 완벽하게 하는 것만이 영남권 주민의 식수 불안감과 수돗물에 대한 불신을 없애는 길이다.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