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북통신연락선 복원…당국간 물밑접촉 본격화되나
북한이 4일 일방적으로 단절했던 남북통신연락선을 복원하면서 당국 간 물밑 대화가 본격적으로 시작될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북한이 남북공동연락사무소와 군 통신선을 통해 남측의 통화 시도에 응답한 건 55일 만이다.
북한은 지난 7월 27일 13개월 만에 남북통신연락선을 전격 복원했지만, 한·미 연합훈련 사전연습 격인 위기관리 참모훈련(CMST)이 시작된 지난 8월 10일 오후부터 다시 남측의 통화 시도에 응답하지 않았다. 남북은 관행대로 남북공동연락사무소 채널을 통해 매일 오전 9시와 오후 5시에 정기적으로 통화하고, 사안이 생기면 수시로 연락을 주고 받기로 했다.
통일부는 이날 입장문을 내고 “정부는 통신연락선이 연결됨으로써 한반도 정세 안정과 남북 관계 복원을 위한 토대가 마련됐다고 평가한다”고 밝혔다. 청와대는 공식 입장을 내지 않은 채 신중하게 상황을 주시하고 있다. 이는 소통 채널의 단절과 복원이 반복될 때마다 일희일비하는 것은 도움이 되지 않는다는 판단이 담긴 것으로 풀이된다.
특히 남북관계 발전은 북미 비핵화 협상에 따라 언제든 출렁거릴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하면 지금은 성급하게 대응하기보다는 한·미 간 소통을 강화하며 차분하게 이후의 안보정세를 관리해야 한다는 것이 청와대의 설명이다. 그럼에도 청와대 내부에서는 막혀 있던 남북대화의 물꼬를 트게 된 것만으로도 의미 있는 성과가 아니냐는 기대감이 흘러나온다.
차기 대선이 약 5개월밖에 남지 않은 상황에서 소통이 끊긴 채로 시간을 더 흘려보낼 경우 문 대통령 임기 내 남북관계 개선은 사실상 어려워질 수 있기 때문이다. 청와대 내에서는 첫 번째 관문으로 꼽혔던 통신연락선 복원이 이뤄진 만큼 이제는 남북 간 소통을 늘려가며 다음 단계를 준비해야 한다는 의견이 나온다. 여기에는 남북 정상 핫라인 복원, 인도적 대북 지원, 남북 화상회의 시스템 구축을 통한 각급 화상연결이나 이산가족 화상상봉 등이 해당된다. 일부에서는 내년 2월 베이징 동계올림픽과 맞물려 남북 정상회담 성사 가능성을 점치는 목소리도 흘러나온다.
정치권의 한 관계자는 "남북 관계의 특수성을 감안할 때 통신연락선 복원에 따른 물밑 대화가 상당 부분 진행됐을 가능성이 높다"면서 "정상회담을 위한 여러 차원의 소통도 이뤄지고 있다고 봐야 한다"고 말했다.
박석호 기자 psh21@busa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