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낙동강 하굿둑 상시개방은 생태도시 부산으로 가는 길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부산 사하구 하단동과 을숙도를 잇는 낙동강하굿둑의 수문이 이르면 다음 달 상시 개방될 예정이다. 정종회 기자 jjh@ 부산 사하구 하단동과 을숙도를 잇는 낙동강하굿둑의 수문이 이르면 다음 달 상시 개방될 예정이다. 정종회 기자 jjh@

40년 가까이 닫혔던 낙동강 하굿둑 개방이 현실화된다. 환경부는 11월 중순까지 진행되는 올해 4차 실증 실험 이후 연말이나 연초에 하굿둑 상시 개방을 공식적으로 선언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는 27일 환경부가 ‘낙동강 하구의 복원과 미래’라는 주제로 개최한 ‘2021 국제하구심포지엄’에서 발표됐다. 낙동강 하구 개방과 기수 생태계 복원 성과를 전 세계에 알리기 위해 준비된 심포지엄에서 한정애 환경부 장관은 “낙동강 하구 복원 사례는 하굿둑의 기능을 유지하는 동시에 기수 생태계를 복원하는 세계에서 손꼽히는 선도적인 사례”라며 “인간과 자연이 공존하는 하구 복원의 전 세계 모범 사례가 되도록 노력하겠다”라고 밝혔다.


자연과 인간 공존을 위한 첫걸음

하구 복원 세계적인 모델 되기를


낙동강 생태계 복원과 생태도시 부산을 위한 대장정이 사실상 시작된 셈이다. 2019년 수문을 처음으로 연 뒤 6차례나 장기간 하굿둑 개방 실증 실험을 진행한 결과 낙동강 기수 주변으로 염분 피해가 나타나지 않았다. 반면에 상류에서 사라졌던 뱀장어가 발견되는 등 개방에 따른 긍정적 효과는 뚜렷한 것으로 관측됐다. 농어, 문절망둑과 같은 바닷물고기가 늘었고, 숭어가 뛰는 모습을 쉽게 확인할 수 있다고 한다. 낙동강 방류량이 늘면서 을숙도 일대에 겨울 철새인 고니도 전년도보다 무려 3.4배나 많이 집계됐다. 환경부는 상시 개방 뒤 염분이 늘어나는 비상 상황 시 피해를 최소화하는 방안 검토에 들어간 것으로 알려졌다.

하굿둑 개방의 최우선적인 목적은 바닷물과 강물이 만나는 기수 생태계 복원과 낙동강 수질 개선이다. 낙동강에 해마다 반복되는 녹조 및 수질 악화 사태, 생태계 교란에 대한 개선은 낙동강에 기대 사는 5개 광역지자체 주민들의 생존권과 직결된 문제이기 때문이다. 또한, 수문 개방을 넘어서서 서부산 일대의 변화와 생태도시 부산의 미래로 도약하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바닷물과 강물이 어우러지게 될 생태적 역동성과 하구 일대의 미래 모습은 상상만 해도 흥분될 정도다. 직선화된 하구 일대를 자연스럽게 복원하고, 인근 화전·신평 산업단지의 스마트 공장화를 통해 부산의 산업구조를 변화시키는 등 ‘그랜드 디자인’ 작업도 필요하다.

낙동강 기수 생태계 복원이 성공적으로 이어지면 생태도시의 미래 가치를 보여줄 수 있는 세계적인 모델이 될 것이다. 이미 금강과 영산강 하구 지자체에서도 깊은 관심을 보이고 있다. 이를 위해서는 국내외 전문가와 지자체, 중앙정부, 시민사회단체가 머리를 맞대고 ‘하구 관리 거버넌스’를 형성해 친환경 하구 생태계의 미래 비전을 하나하나 만드는 것도 필요하다. 하구를 생태와 지역 가치 창출, 지역균형발전 개념으로 조성하고 있는 영국을 비롯한 해외 사례도 참고할 만하다. 낙동강 주민들의 오랜 염원이기도 하다. 하굿둑 상시 개방이 자연과 인간의 지속가능한 공존, 생태도시 부산을 위한 의미 있는 첫걸음이 되기를 기대한다.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