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F] “축의 대전환은 과거에 관한 확신 버리고 행동할 것 요구해”

장병진 기자 joyful@busan.com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에필로그 세션

28일 열린 '제15회 세계해양포럼'(WOF)의 '에필로그 세션'에서 김현겸 WOF 기획위원장이 토론을 진행하고 있다. WOF 사무국 제공 28일 열린 '제15회 세계해양포럼'(WOF)의 '에필로그 세션'에서 김현겸 WOF 기획위원장이 토론을 진행하고 있다. WOF 사무국 제공

28일 부산롯데호텔에서 열린 ‘제15회 세계해양포럼’(WOF)의 마지막 순서는 ‘에필로그 세션’이었다. 에필로그 세션은 수산, 해운, 항만, 조선, 해양과학 등으로 파편화된 지식을 통합해 ‘다시 보기’를 하는 세션이다. 에필로그 세션에서는 포럼 위원들이 행사기간 동안 받은 통찰을 공유하며 사흘간 진행된 대장정의 마침표를 찍었다. 참가자들은 각 세션을 평가한 후 정리하며 추후 이를 어떻게 발전시킬지 치열하게 논의했다. 또 세션마다 중점적으로 다뤄졌던 내용들을 정리해 정부와 부산시에 전달하며 세션을 마무리했다.

발제는 장하용 부산연구원(BDI) 연구위원이 ‘세계해양포럼 15년, 세계해양의 미래를 디자인하다’라는 제목으로 진행했다. 장 위원은 “2007년부터 포스터 변천사를 살펴보면 포스터의 내용이 갈수록 짧아지고 단순해지고 있다”며 “세계해양포럼의 정체성이 명확해지고 있는 것”이라고 말했다.


장하용 BDI연구위원 발제

15년 지나며 포럼 정체성 또렷

팬데믹이 축의 대전환 가속화

김현겸 WOF 기획위원장

움직임의 방향 더욱 명료해져

행동해야 할 시기라는 데 공감

이철조 해수부 해양정책관

프랑스도 해수부 조직 벤치마킹

포럼 제안 정책 적용 검토할 것

수산 ESG 혁명·조선 초격차 등

세션마다 다뤄진 내용도 정리


장 위원은 제15회 세계해양포럼의 주요 메시지들도 정리했다. 장 위원은 △지금 행동하라, 지금 행동하지 않으면 늦다 △팬데믹이 축의 대전환을 일으킨 것이 아니라 축의 대전환을 가속화시킨다 △아시아·태평양 지역의 청색 경제를 위한 투자를 서둘러야 한다 △한국은 그린 에너지 선도국이 될 산업 인프라가 충분하다 △원만한 통합행정까지 과제가 많다 등을 꼽았다. 장 위원은 “축의 대전환, 오션 트랜스포메이션을 위해서는 과거에 대한 과도한 확신과 과거지향적 합리화를 지금 바로 버리고 행동해야 한다”고 말했다.

김현겸 WOF 기획위원장은 “올해 새롭게 시작한 주제가 정책에 관한 것이다”며 “이번에는 해양수산부, 부산시 등 여러 공공기관이 포럼에 참가하며 WOF가 거버넌스의 중요한 파트가 됐다”고 평가했다. 또 김 위원장은 “그동안 우리가 움직여야 한다는 말은 많았지만 실질적 행동은 부족했다. 그러나 15회째 세계해양포럼이 진행되면서 앞으로 어떻게 움직여야 할지 보다 구체화되고 명료화됐다”며 “지금 행동해야 할 시기라는 것”이라고 말했다.

이에 이철조 해양수산부 해양정책관은 “올해는 많은 세션에서 국장, 과장들이 참여했고 처음으로 별도 세션을 마련했는데 프랑스, 포르투갈 등이 우리나라 해수부를 벤치마킹한 전담 조직을 뒀다는 점에서 많은 시사점이 있었다”며 “포럼에서 나온 이야기를 정책적인 부분에서 어떻게 적용할지 잘 살펴보겠다”고 말했다.

김현재 부산시 해양농수산국장도 “세계해양포럼은 부산에서 열리지만 국가적인 행사다”며 “이것이 가능한 것은 부산이 해양수도로서 역량을 충분히 갖고 있기 때문이라고 본다”고 말했다. 김 국장은 세계해양포럼에서 나온 통찰을 도시의 성장과 비전에 어떻게 반영시킬지 고민하겠다는 뜻도 밝혔다.

배정철 한국조선해양기자재연구원장은 “세계 1위의 타이틀을 가지고 있는 K-조선은 10년은 더 유지될 것”이라며 “10년이라는 시간이 확보된 만큼 후발주자들과의 초격차 전략을 세워야 한다”고 말했다. 배 원장은 초격차 전략의 핵심을 기자재에서 찾기도 했다. 배 원장은 “인건비로 인해 발생하는 경쟁력 약화는 고성능의 기자재, 기술 서비스로 그 갭을 메울 수 있다”고 주장했다.

마창모 한국해양수산개발원(KMI) 수산정책연구실장은 “수산도 ESG 혁명을 피할 수 없다는 것을 확인하는 자리”라고 수산 세션을 평가했다. 육상에서 해상으로, 어선에서 양식으로의 축의 전환이 수산업계가 마주한 현실로 봤다. 마 실장은 “환경 이슈 등을 통한 소비자 운동이 본격화되면 이러한 변화의 속도는 더욱 빨라질 것”이라고 말했다.

황진회 한국해양수산개발원 해운물류연구본부 부연구위원은 “크루즈를 관광 측면이 아닌 선사, 조선업의 측면에서 바라봤다는 점에서 다른 포럼들과 큰 차이점이 있었다”고 말했다. 또 황 부연구위원은 투자 부재, 비전 부재, 크루즈 조직 부재 등 한국 크루즈 산업의 문제점 해결을 위해 ‘크루즈 R&D 센터’와 같은 기관의 필요성을 주장하기도 했다.

우수한 중앙대학교 국제물류학과 교수는 “에너지 전환과 디지털화가 조선 분야에서 빠르게 진행되며 이를 수용하고 활용할 항만과 해운이 나아갈 길을 논의할 수 있었던 자리”라고 말했다. 우 교수는 한편 이러한 변화를 따라오지 못하는 기업들의 고민이 필요하다는 점도 강조했다.

한종엽 한국해양과학기술원(KIOST) 박사는 “현재 해양 분야는 선박 자율 운항, ICT 스마트 해양 기술, 해양 구조물 등의 영역에서 많은 관심을 모으고 있으며 해양 관련 기술은 다양한 분야에서 응용이 가능하다”며 “내년에는 심해 개발, 심해과학기지, 무인잠수정 등의 기술을 소개하고 해양 기술 대중화에 기여하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장병진 기자 joyful@busan.com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