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국에서] 이건희 기증관과 몹쓸 기억력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김희돈 편집부장

기억력이 문제다. 뇌 속에 잘 쟁여 뒀다 필요할 때만 쏙 빼 쓸 수 있다면 얼마나 좋을까마는 현실은 기대를 배반하기 십상이니. 요즘은 특히 아내한테 불과 1년도 안 된 일을 제대로 기억하지 못한다는 핀잔을 자주 듣는다. 그럴 땐 보통 나이 탓을 하며 벗어나 보려 하지만, 사실 잦은 망각이 딱히 나이 때문만은 아니라는 것을 알고 있다. 특히 뭔가 억울하다는 느낌이 강했거나, 뒤늦게 후회했던 일들은 해가 거듭돼도 쉬이 잊히지 않는 걸 보면 그렇다는 거다.

‘전주 사건’도 잊히지 않는 일 중 하나다. 5~6년은 됐음 직하지만 기억은 여전히 또렷하다. 사건이 발생한 건 전주 한옥마을에서 열린 행사 뒤풀이에서였다. 공식 행사 후 장소를 옮겨 술을 곁들인 식사 자리가 이어졌다. 오랜 기간 같은 업종에 종사하다 보니 안면이 있는 사람이 여럿이었고, 안면은 없었지만 익히 이름을 듣고 있던 이도 제법 있었다. 자연스레 식탁을 넘나들며 술잔이 오갔다.

서울로 결정난 이건희 기증관
잊힌 ‘전주 사건’ 기억 되살려

전국에서 참석자 모여든 행사
서울 사람에만 무료 버스 제공

공정 훼손 항의 이해조차 못 해
문체부 독단 결정도 마찬가지

사건의 시작은 서울에서 온 참가자들이 전세 버스를 타고 전주 행사장으로 함께 왔다는 얘기를 들으면서부터. 전세 버스는 주최 측에서 빌렸고, 전체 참가자의 절반 정도 되던 그들은 별도의 비용을 내지 않았다는 친절한 설명까지 더해졌다. 아침 일찍 집을 나서 도시철도와 시외버스, 시내버스를 번갈아 타고서야 행사장에 닿을 수 있었던 나로서는 언뜻 이해되지 않았다. 교통비는 당연히 내가 부담했다.

처음 그 얘기를 들었을 때 든 생각은 이랬다. 지방에서 출발한 개별 참석자들의 교통비를 주최 측에서 추후에 별도로 정산해 주려는 계획이 이미 마련돼 있다. 나는 이 사실을 미처 알지 못했다. 내가 안내문을 자세히 읽지 않았거나, 주최 측에서 미리 알리지 않았기 때문일 것이다. 서울·지방 할 것 없이 똑같이 회비를 내고 있었으니 서울 사람들에게만 특별한 배려를 할 이유가 있을 리 만무하다는 판단에서였다.

마침 대표와 마주 앉게 된 참에 이 얘기를 꺼냈다. 나의 판단이 당연히 맞는다는 것을 확인시켜 줄 거라 믿으면서. 그런데 대표 역시 아무런 문제의식을 가지지 못했다. 항의성 문제 제기가 이어지자 급기야 그는 “그래서 얼마를 줄까?”라는 말로 도발을 해 왔다. 터무니없는 특혜를 요구하다 퇴짜를 맞은 듯한 모욕감이 밀려들었다. 공정과 상식에 대한 믿음을 인정받고 싶었던 나로서는 결국 퇴로를 잃고 ‘돌격 앞으로’를 외칠 수밖에 없었다. 가만히 있었으면? 자기 돈 들여 지방에서 달려온 나머지 절반은 그야말로 ‘눈 뜬 바보’가 되는 것이었다.

고약한 기억이 되살아난 건 ‘이건희 기증관’ 때문이다. 삼성가의 기증 의사 발표 후 전국 자치단체의 유치 경쟁이 뜨거웠다. 정부는 별일 아니라는 듯 7개월을 끌더니 서울 한복판에 전용 전시관을 짓겠다는 발표를 해 버렸다. 지역 자치단체들이 줄기차게 요구한 공모 절차는 가볍게 무시됐다. 그 사이 공청회 한번 열렸다는 소식도 없었다. 절차적 정당성조차 못 갖췄다는 비판이 부담스러웠는지 서둘러 서울시와 업무 협약식을 했다. 방송사에서 생중계로 분위기를 띄웠다. 척척 손발이 잘 맞았다.

황희 문화체육부 장관은 “우리 국민들에게 새로운 문화적 경험을 향유할 수 있는 소중한 기회”라며 기증관 건립 의미를 거창하게 설명했다. “정치·경제·문화·예술의 중심지로서 문화관광 인프라가 발달하여 방문객의 접근이 용이하고, 인근 문화시설과 연계한 다양한 활동이 가능한 것이 가장 큰 장점”이라며 서울 경복궁 옆 송현동 부지의 당위성을 자랑하기도 했다.

장관이 말하는 ‘접근이 용이한 우리 국민’에 적지 않은 비용과 시간을 들여 서울 나들이를 감행해야 하는 지방민은 없다. 그들이 인구의 절반에 달한다 하더라도 장관은 아예 관심도 없을지 모르겠다. 전주에서의 항변을 이해 못 했던 그 대표처럼. 장관 스스로 밝혔듯, 이미 ‘정치·경제·문화·예술의 중심지’에 사는 특혜를 누리면서도 여전히 게걸스럽게 집어삼키려는 저 탐욕을 어찌해야 할까.

당장 내가 ‘우리 국민들’에 포섭되는 영광을 누릴 일은 없을 것 같다. 그렇다고 문화강도(文化强都)를 문화강국으로 이해하는 장관에게 ‘지역인지감수성’이라는 이해조차 못 할 능력을 요구할 수도 없는 노릇이다. 또다시 눈 뜬 바보는 되기는 싫은데. 장관을 임면하는 대통령에게 따져 물어보면 뭔가 달라질까.

소주나 한잔하면서 잊어버리는 것도 방법이겠다. 다시 한번 ‘돌격 앞으로’를 외치면 물러설 수 없는 싸움이 될 것이니 생각만 해도 피곤하다. 알코올의 힘과 핀잔에 길든 기억력이 시너지를 발휘한다면 편히 잊을 수 있으리라. 내년 3월 치러지는 대통령 선거가 살짝 고비가 될 수도 있겠지만, 떡하니 대선이라고 박힌 소주만 피한다면 몹쓸 기억력 정도는 속일 수 있지 싶다. happyi@busan.com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