협심증, 조기 발견과 심근경색에 준하는 관리 중요
[닥터큐 전문의를 만나다] 구포성심병원
요즘처럼 기온이 급격히 떨어지는 겨울철에는 혈관의 급격한 수축으로 혈압이 상승해 심뇌혈관 질환이 발생하기 쉽다. 특히 조심해야 할 질환이 ‘침묵의 암살자’라 불리는 협심증이다.
심장은 피를 공급 받아야만 기능을 할 수 있는데 이러한 역할을 하는 것이 심장근육에 혈액을 공급하는 관상동맥이다. 관상동맥이 좁아지게 되면 심장의 근육에 원활히 산소와 영양분이 공급되지 않게 되며, 그러면 심장의 근육에 통증이 오게 되는데 이게 협심증이다. 협심증이 심해져서 심장 혈관이 아예 막혀버리면 심근경색이 와서 사망에 이를 수도 있다.
구포성심병원 순환기내과 신호철 심장혈관센터장은 “협심증은 제때 치료하면 최악의 상황은 피할 수 있는 만큼 조기 발견과 관리가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강조한다.
협심증의 원인은 결국 혈관이 좁아지는데 있다. 나이가 들면 혈관 손상 가능성이 높아지고, 고혈압, 당뇨, 고지혈증 등 혈관 질환에 의해 그 가능성은 더욱 높아진다. 가족력이 있을 경우에도 발병할 수 있다.
협심증은 증상에 따라 안정형 협심증과 불안정형 협심증으로 나뉜다. 안정형 협심증은 운동 시에만 가슴을 쥐어짜는 듯한 통증이 있고 쉬면 호전되는 양상이다. 불안정형 협심증은 여기서 더 진행한 단계로, 쉬고 있어도 통증이 자주 반복되는 상황이다. 흉골 하 통증으로 주로 목, 턱, 심와부(명치), 어깨, 팔에 뻗어나가는 방사통을 느끼게 되며 누르고, 타고, 쥐어짜는 듯한 느낌을 받기도 한다. 약 2~10분 정도 증상이 나타나는데 운동이나 추운 날씨, 감정적 스트레스에 의해 유발된다.
이 같은 증상으로 병원을 찾은 경우 다양한 검사를 통해 질환의 유무를 확인한다. 심전도검사, 운동부하검사, 심장초음파검사 등이 있다. 검사 후 심장질환이 의심되면 심장의 과부하를 줄여주는 베타차단제, 칼슘길항제 등을 사용해 혈관을 확장시켜 증상을 완화하는 약물 치료를 한다.
약물치료로 호전되지 않을 경우에는 시술을 시행하게 된다. 관상동맥 조영술과 혈관성형술 및 스텐트 삽입술이 있다. 시술 방법은 손목에 있는 혈관이나 사타구니에 있는 혈관을 통해 국소 마취 후 관을 넣어 혈관 조영술을 시행해 좁아진 혈관을 찾아낸 후 혈관 안으로 풍선과 스텐트를 넣어 혈관을 넓히는 시술이다. 환자의 상태에 따라 다르지만 일반적으로 시술 후 1~2일 경과를 확인한 후 퇴원이 가능하다.
신호철 센터장은 “불안정형 협심증은 심근경색과 함께 대표적인 급성 관상동맥 증후군에 해당하는 질환이기 때문에 심근경색에 준하는 관리와 치료를 해야 한다”고 말했다.
흡연은 치명적이기 때문에 금연이 필요하다. 또 평소에 채식, 저염식 위주의 식단을 하고 과식은 자제하는 것이 좋다. 더불어 주3회 이상, 매일 30분 이상 유산소 운동을 꾸준히 하는 게 중요하다. 단 새벽운동이나 무리한 운동은 삼가야 한다. 박태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