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인재평생교육진흥원, 연구 기능 강화해 지속성 가져야”
부산시 평생교육 10년 기념 포럼 개최
광역평생학습도시 비전 선포 등 제안
“평생교육의 씨앗이 뿌리내릴 수 있도록 마중물 역할이 중요합니다.”
부산에서 평생교육진흥원의 기능과 역할, 평생교육 정책에 대해 논의하는 의미 있는 자리가 마련됐다. 지난 3일 오후 해운대 센텀호텔에서 ‘함께한 10년, 함께할 100년’이란 주제로 열린 ‘2021년 부산평생교육포럼’은 부산시가 평생교육 진흥사업을 시작한 지 10주년을 기념해 기획된 행사다.
이날 유네스코 학습도시 자문위원회 최운실 위원장의 기조발표(‘새로운 시대, 평생교육 트렌드와 국가·지역 평생교육 정책방향’)에 이어, 동의대 평생교육과 김진화 교수가 ‘부산시 평생교육 현황의 격자분석과 발전방향’이란 주제로 발표를 진행했다. 김 교수는 부산지역 평생교육의 오늘과 내일을 ‘평생학습 생태계’의 관점에서 살피며 부산인재평생교육진흥원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김 교수는 “부산지역의 평생학습 참여율은 45%에 달하며, 수강생·동아리·활동가·시민강사·평생교육사 등을 합치면 평생학습 생태계를 움직이는 주체가 100만 명이 넘는다”며 “평생학습 생태계의 숲이 더 울창해져 다른 지역으로 확대될 수 있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 교수는 그 방안으로 광역평생학습도시 비전 선포, 평생학습생태계 주체에 대한 지원, 평생교육프로그램 지적 자산화, 평생교육 전문행정조직 전환, 소외계층 평생학습 지원 확대 등을 제안했다.
이어진 종합토론에서는 주동범 교수를 좌장으로, 부산인재평생교육진흥원의 역할 등을 놓고 열띤 논의가 이어졌다. 서울시 송계수 평생교육사는 평생교육진흥원이 지자체 위수탁 사업을 넘어 연구 기능을 강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송 평생교육사는 “위수탁 사업은 시 정책이 바뀌면 지속성을 담보할 수 없어 한계가 있다”며 “시와 진흥원이 끊임없이 교류하며 어떻게 평생교육의 허브 역할을 할 수 있을지 고민해야 한다”고 말했다.
부산인재평생교육진흥원 장희영 책임연구원은 부산지역 평생교육의 현실을 짚었다. 장 책임연구원은 “정책을 펼칠 때 중요도를 따져야 하는데 늘 과거에 해오던 사업을 그대로 답습하고 있다”며 “작은 예산으로 효율성을 높이려면 정확한 목표를 설정해 그에 따라 예산이 집행돼야 한다”고 말했다.
국가평생교육진흥원 임형균 전문원은 평생교육 사업 평가 제도의 목적을 환기시켰다. 임 전문원은 “모든 도시가 지역 특성에 맞게 맞춤형 평생교육 모델을 개발해 실행하고 있기 때문에 ‘어느 도시가 잘하느냐’는 질문엔 답이 없다”며 “사업의 질과 성과를 자체적으로 잘 관리하기 위한 방편으로 평가가 이뤄지는 게 중요하다”고 설명했다. 송 평생교육사도 “평생교육은 이제 보편적인 업무이기 때문에 평가보다는 새로운 아젠다 발굴에 집중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한편, 이날 포럼 행사는 유튜브로도 생중계 돼 평생학습 관계자와 시민들의 많은 관심을 받았다. 포럼에 앞서 오전에는 부산 평생학습 대상 시상식이 열렸다.
이대진 기자 djrhee@busa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