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필남의 영화세상] 숨길 수 없는 고통
영화평론가
남들 사는 것처럼 평범한 모습으로, 그럭저럭 잘 살고 있는 듯 보인다. 그런데 잘 들여다보면 이 자매들 좀 이상하다. 늘 주눅 들어 미안하다는 말을 달고 사는 희숙, 교수 남편을 둔 독실한 신자 미연, 술에 취해 사람들에게 막말을 퍼붓는 미옥. 세 자매는 아무 일도 없었다는 듯, 괜찮은 척 살고 있지만 어딘지 모르게 조급하고 불안해 보인다.
평범해 뵈지만 어딘가 불안한 세 자매
무감정 장녀·참는 둘째·폭발하는 막내
어릴 때 경험한 가정폭력의 트라우마
돋보이는 연기·연출로 고스란히 전달
남편의 모욕적인 행동에도 뭐가 그렇게 좋은지 실실 웃기만 하는 장녀 희숙은 늦은 밤 나뭇가지로 자신의 허벅지를 찌르는 자해를 저지른다. 이상한 건 피가 철철 흐르는데도 아픔을 전혀 느끼지 못하는 그 말간 얼굴이다. 둘째 미연은 신도시 아파트로 이사를 했고, 다정한 남편까지 있는 완벽해 보이는 삶을 살고 있다. 하지만 미연의 남편은 그녀가 다니는 교회의 젊은 여성과 바람을 피우고 있어 겉으로만 잉꼬부부이다. 미연은 이미 남편의 외도를 눈치 챘지만, 타인의 시선이 더 신경 쓰인다. 나이 많은 남편, 의붓아들과 살고 있는 막내 미옥은 두 언니들과 다르다. 타인의 시선 따위 개의치 않다는 듯 늘 술에 취해 자신의 감정대로 행동하고 말한다.
세 자매는 각자의 가정을 꾸리고 자신들의 삶을 살고 있지만, 정작 자신의 감정을 돌볼 줄 모르는 인물들이다. 장녀는 감정을 느끼지 못하고, 둘째는 꾹꾹 눌러 참기 바쁘고, 막내는 폭발하는 방법밖에 모른다. 이들이 이러한 감정의 과잉 상태를 보이는 건 어린 시절의 트라우마 때문임을, 영화는 반복적으로 알려준다.
이승원 감독은 오프닝에서 흑백 화면 안에 두 소녀가 밤길을 달리는 장면을 보여준다. 이후 이 장면은 영화에서 여러 번 반복된다. 누군가의 도움을 절실히 바라며 달려가던 소녀들의 정체는 어린 시절의 미연과 미옥이다. 희숙이 아버지의 매질을 온몸으로 견디고 있을 때, 몰래 집을 빠져 나온 자매는 동네 사람들에게 아버지를 신고해 달라고 부탁한다. 하지만 그들은 ‘고작’ 가정불화로 아비를 신고하려는 자매가 나쁘다고 말한다. 자매들이 겪는 폭력을 가정의 문제로만 치부하는 인식이 바로 우리 사회에서 폭력이 사라지지 않는 이유이기도 하다.
이때 감독은 세 자매의 고통을 설명하는 방식이 아니라 차근차근 보여준다. 그녀들이 과거의 폭력으로 여전히 고통 받고 있다는 사실을 각각의 상황을 통해 알리는 것이다. 그리고 차곡차곡 쌓아올린 감정의 상태는 아버지의 생일을 맞아 클라이맥스로 치닫는다. 가부장제의 굴레에서 고통 받던 세 자매가 곪을 대로 곪은 자신들의 울분을 터뜨린다. 하지만 자매에게 고통을 준 아버지는 어떤 대답도 하지 않는다. 이 지점에서 감독은 아버지를 포착하지 않는다. 폭력을 고스란히 받아냈던 막내 동생 ‘진섭’과 그 폭력을 지켜보며 마음 졸이던 어머니를 클로즈업한다. 세 자매뿐만 아니라 여전히 상처를 받으며 살고 있는 ‘남은 가족’의 존재를 확인시키는 것이다. 가정폭력은 아직 끝나지 않은 문제다.
자매들이 겪었던 고통의 시간은 한순간에 사라질 수 없다. 그로 인해 영화는 자매들의 상황을 해결하거나 봉합하려 애쓰지 않는다. 분명 자매들은 또 고통의 기억이 떠올라 삶이 힘겨울 것이다. 그럼에도 자매들이 함께 있는 시간만큼은 서로의 아픔을 위로하고 치유받기를 바라본다. 올해 초 개봉한 ‘세 자매’가 최근 다시 조명 받고 있다. 연말 영화제에서 자매들이 연기상을 휩쓸고 있기 때문이다. 물론 배우들의 연기는 영화의 중요한 미장센 중 하나다. 허나 가정폭력의 비극을 이 사회의 문제로 끌고 나오는 감독의 연출에 주목하고 싶다. 감독은 세 자매 모두에게 고루 자신의 서사를 맡기면서, 각자 다른 방식으로 가정폭력이 낳은 불행을 연기하게끔 장을 마련한다. 그리고 그녀들이 겪는 고통을 관객들이 고스란히 전달 받게 만든다. 배우들의 연기력만큼 돋보이는 연출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