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가시티·엑스포…‘부울경의 해’가 떠올랐다
‘2022년’은 부산·울산·경남의 오랜 상상이 현실로 바뀌는 원년이다. 부울경이 함께 꿈꾸고, 묘수를 낸 국내 첫 메가시티 ‘부울경 특별지방자치단체’(부울경 메가시티)가 올해 상반기 드디어 첫발을 내딛는다. 부울경 미래를 담을 그릇이 될 2030부산세계박람회(월드엑스포)를 향해 부울경이 손잡고 달리는 한 해이기도 하다.
멈출 줄 모르는 추락을 속수무책으로 바라만 보던 부울경은 어깨를 더 단단히 겯는 통합의 길을 찾아냈고 드디어 출발선에 선다. 단순히 1970~1980년대 부산과 울산 창원 마산에서 만든 선박 자동차 기계부품이 세계로 수출되고 온 나라가 그 성과를 나누던 '산업의 메카'로 돌아가자는 소극적 몸부림이 아니다. 이대로는 온 나라 사람과 돈이 수도권으로 빨려 들어갈 판이라 우리끼리 살 방도를 찾아보자며 도전장을 낸 것이 부울경 메가시티다.
부울경 메가시티
늦어도 상반기 ‘통합의 길’ 출범
하반기부터 공통 과제 맡아 추진
국가 공동 번영 선도 역할 기대
2030월드엑스포
부산 유치 명운 사실상 올해 결정
성사 땐 동북아 핵심경제권 발돋움
부산도 ‘도시 대개조’ 호기 맞아
과거에도 중앙 정부 주도로 광역지자체들을 묶는 통합 논의는 있었다. 부울경 메가시티가 과거와 다른 지점은 지역이 먼저 동력을 모았고 목소리를 높여 실현된다는 데에 있다. 지역의 들끓는 요구에 정치권이 응할 수밖에 없었고 2019년 국회에서 ‘특별지자체를 설치할 수 있다’는 내용을 담은 지방자치법 전부개정안이 통과하면서 부울경 메가시티도 법적 요건을 갖추게 됐다.
당연히 부울경만 잘살자는 이기적 시도도 아니다. 대구·경북, 광주·전남, 대전·세종 등 지역마다 ‘행정 통합’ ‘광역 연합’ 등 다양한 통합 논의가 분주하다. 소멸의 위기감이 수도권을 뺀 전국을 뒤덮은 탓이다. 그중 부울경이 도전하는 특별지자체는 가장 현실적 대안이 될 수 있다는 게 중론이다.
행정 통합이 광역 시·도 두세 곳의 기능과 권한을 완전히 이어붙이자는 시도라면 특별지자체 설치는 할 수 있는 일부터 할 중간 기구를 만들자는 거다. 부울경은 숱한 갈등을 경험했기에 이런 결론에 이르렀다. 부산시 관계자는 “석탄공동체부터 시작해 완전한 통합을 이뤄낸 EU 방식이라 보면 된다”며 “실현 가능한 광역 사업을 선별해 성과를 보이면 시·도민 인식이 바뀌고, 결국 하나가 될 것”이라고 했다.
부울경 메가시티는 이르면 3월, 늦어도 상반기에 출항한다. 명칭, 단체장 선정, 의회 구성 등 풀어야 할 과제도 많다. 3개 시·도 연구원들이 머리를 맞대 그린 마스터플랜은 성공적이라는 평가를 받는다. 그에 따라 부울경 특별지자체 합동추진단이 이들 사업을 구체화하는 규약을 만드는 데에도 속도를 내고 있다. 올 하반기면 부울경 메가시티가 부울경 공통의 일을 맡아 추진한다. 부울경이 공동 번영하고 국가를 골고루 발전하게 할 메가시티는 그렇게 준비되고, 시작된다.
부울경의 새로운 성장 축이 될 부산월드엑스포 유치의 명운도 올 한 해 상당 부분 결정된다. 이 역시 4조 9000억 원에 달할 막대한 투자나 43조 원의 생산 유발, 50만 명의 취업 유발 등 경제적 효과만 보고 뛰어든 일에 머물지 않는다. 2030년 월드엑스포의 부산 유치가 결정되면 부울경이 내디딘 메가시티 도전 역시 성공 가능성이 높아질 것이다. 조선·해양, 항만, 자동차 등 부울경 기업들도 혁신을 통해 글로벌 기술 주도권을 잡을 기회를 맞을 전망이다. 부울경 산업·경제가 성과를 낼 수 있느냐에 따라 부울경이 동북아 핵심경제권으로 자리 잡을 수 있을지도 판가름 난다. 부산 내부적으로는 엑스포가 도시 전체를 그랜드 디자인하는 도시 대개조의 계기다.
지난해 12월 경쟁국 간 첫 프레젠테이션(PT)을 시작으로 막이 오른 엑스포 유치전은 올 한 해 내내 부산과 한국을 달군다. 올해 상반기 제출할 최종 유치계획서, 2~3차례 더 진행될 PT를 어떻게 준비하느냐가 최대 현안이 될 수밖에 없다. 부울경 시·도민과 국민의 관심과 지지가 무엇보다 필요하다. 박형준 부산시장은 “치밀한 전략으로 국제박람회기구의 현지 실사를 성공적으로 이끌고, 부울경 특별지자체를 통한 초광역 협력 체계 구축에 만전을 기하겠다”고 밝혔다.
김영한 기자 kim01@busa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