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해 벽두 ‘꽝’… LP가스 위험 큰데 도시가스 보급 ‘하세월’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새해 벽두 경남 고성에서 발생한 LP가스 폭발사고(부산일보 1월 4일 자 12면 보도 등)를 계기로 도시가스 보급을 확대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LNG(액화천연가스)를 사용하는 도시가스가 상대적으로 안전하고 편의·경제성이 월등하지만, 수익성이 낮다는 이유로 보급 사각지대로 방치된 농어촌 지역에 대해 정부와 지자체가 나서서 공급망을 확충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한국가스안전공사에 따르면, 2016년부터 5년 동안 발생한 가스사고 가운데 46.8%(519건 중 243건)가 LP가스 관련이었다. 도시가스 사고는 20.8%(108건)에 그쳤다.

경남 농어촌 보급률 10~20%
인명 피해 LPG가 5배나 많아
싸고 안전한 도시가스 공급 시급
기반시설·인입비 지원 병행해야


LP가스 사고는 설비 불량이나 노후로 인한 가스누출 사례가 58.4%(243건 중 142건)로 집계됐다. 사용자 부주의는 21.4%(52건)이었다. 인명피해도 컸다. 5년간 사망 35명을 포함해 290명의 사상자가 발생했다.

반면 도시가스 사고는 건물을 짓거나 하수관 보수를 위해 굴착 작업을 하다 발생한 사례가 39.8%(108건 중 43건)로 가장 많았다. 인명피해도 61명(사망 13명, 부상 48명)으로 적었다.

전문가들은 두 원료 가스의 특성과 공급 시스템의 차이를 주목한다. 도시가스와 달리 LP가스는 주로 이동식 용기를 충전해 배달하는 형태다. 외부 환경에 그대로 노출돼 쉽게 노후화한다.

이 때문에 안전공급 의무규정에 따라 LP가스를 통으로 판매하면 6개월에 한 번씩 공급자가 안전점검을 해야 한다. 배관화 된 체적거래를 하는 주택도 1년에 한 번씩 점검하도록 돼 있지만, 실제로 규정을 지키는 경우는 드물다.

LP가스는 물질 자체로도 사고 위험이 크다. 가스가 누출되면 공기보다 무거워 가라앉기 때문에 응집돼 있다 폭발할 가능성이 높다. 도시가스인 LNG는 기체가 가벼워 유출돼도 대기 중으로 퍼져 폭발 위험이 적다. 폭발력도 LP가스가 LNG보다 1.5배 강하다. 그러나 경남지역 도시가스 보급률은 기대 이하다. 경남도에 따르면 2020년 말 기준 도내 18개 시·군 도시가스 보급률은 주민등록 가구를 기준으로 78.9%(141만 8106가구 중 111만 9657가구)다. 얼핏 낮지 않은 수치로 보이지만, 인구 밀집 지역인 창원·김해·양산·진주를 제외한 나머지 14개 시·군은 모두 평균치를 밑돌고 있다.

특히 농어촌 지역이 심각하다. 고성 21.9%, 의령 19.7%, 창녕 12.1%, 하동 10.9%에 불과하다. 심지어 남해군, 산청군, 합천군은 ‘0%’로 공급망 자체가 없다.

이 같은 불균형은 도시가스 사업자가 공급 대상을 선택하기 때문이다. 경남에는 경남에너지(주)와 (주)경동도시가스, (주)지에스가 각 권역을 나눠 도시가스 공급을 독점한다. 그런데 기반시설 투자 비용을 사업자가 부담한다는 이유로 수익성이 떨어지는 농어촌이나 도시 변두리 지역은 매번 뒷전이다.

공급지역에 포함돼도 단독주택은 적잖은 자부담으로 꺼리는 경우도 많다. 주 배관은 사업자가 시공하지만 각 가정으로 인입되는 배관은 건물주 몫이다. 인입관 매설 비용만 3m 기준 100만 원 안팎이다. 보일러 교체 등 부가 비용까지 150만 원 이상 목돈이 든다. 그런데도 자부담에 대한 정부나 지자체 지원은 전무하다.

백두현 고성군수는 “사고로 인한 사회적 비용과 주민 불편을 고려할 때 지자체도 근본적인 방안을 다각적으로 고민하겠다”고 밝혔다.

글·사진=김민진 기자 mjkim@busan.com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