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 산업쓰레기 매립장 2030년까지 500만㎥ 확충…폐기물 대란 숨통 트이나
울산시가 2030년까지 산업폐기물 매립장 500만㎥를 확충하기로 해 지역에서 심화하는 ‘산업폐기물 대란’에 숨통이 트일지 주목된다.
5일 시에 따르면 국내 최대 공업도시 울산은 산업폐기물 처리 문제로 갖은 홍역을 치르고 있다. 자동차, 조선, 석유화학 등 각종 기업체가 밀집한 까닭에 산업쓰레기 발생량이 엄청나다. 매립성 폐기물만 2019년 기준 연간 49만 7000t으로 타 시·도에 비해 높은 편이라고 시는 전했다.
울산에서 가동 중인 산업폐기물 매립장은 울주군 온산읍 이에스티, 남구 용잠동 유니큰과 코엔텍 등 3곳이다. 이들 업체가 지역과 외지 산업 폐기물을 연간 77만t가량 처리하고 있으나 여전히 버거운 실정이다.
지난해 6월 기준 해당 폐기물처리장의 매립 용량 총 790만㎥ 중 잔여 용량은 140만㎥로, 남은 이용 기간이 5.9년에 불과하다. 이마저도 산업폐기물 대란이 본격화한 2019년 이에스티, 코엔텍 2곳의 처리용량을 138만 3000㎥ 추가 증설한 덕분에 겨우 최악의 사태를 피했다. 현재 울주군 온산읍과 KCC일반산단 등을 중심으로 4곳의 신규 매립장 건설(총 669만㎥)이 추진되고 있지만, 일부 신규업체의 경우 주민 반대 등으로 사업 추진에 난항을 겪고 있다.
더욱이 폐기물 처리 비용도 ‘부르는 게 값’일 정도로 빠르게 치솟고 있다. 2016년 1t당 6만 5000원에서 지난해 20만 원으로 3배 넘게 뛰었다. 지역 모 석유화학업체 관계자는 “업체마다 산업폐기물을 제때 처리하지 못해 비싼 운송료를 들여 타 지역 처리업체까지 찾아다닌다. 그야말로 하루하루 전쟁통이 따로 없다”며 “매립장이 부족하거나 문을 닫으면 결국 공장 역시 가동을 멈춰야 하는 것 아니냐”고 하소연했다.
지역 기업체들의 원성이 잇따르자, 울산시도 매립장 확충을 골자로 한 폐기물 처리 대책을 내놓았다.
시는 먼저 안정적인 산업생태계 유지를 위해 2030년까지 500만㎥ 이상 매립시설을 추가 확보하기로 했다. 특히 ‘폐기물처리업(매립) 허가 사전절차제’도 도입하기로 했다.
폐기물매립장 입주 후보지 선정과 관련된 조례를 만들어 허가 과정에서 주민·전문가·공무원으로 구성한 입지후보지선정위원회 심의를 거치도록 했다. 신규 매립장 건설 시 주민 반발은 물론 소모적 갈등을 최대한 줄이겠다는 얘기다.
또 기존에 운영하는 민간 폐기물 매립시설의 용량 증설과 신규 매립시설 신청을 적극 검토하고, 매립시설 사용 기간 연장, 자원 순환 적극 유도 등 다양한 대처 방안을 시행하기로 했다.
울산시 관계자는 “이번 대책으로 매립시설이 안정적으로 확보된다면 지역 기업의 경쟁력 강화에 크게 기여할 것”이라며 “폐기물 처리는 산업 발전에 필수 요소인 만큼 적절한 후보지 확보를 위해 시민의 관심과 협조를 부탁드린다”고 말했다.
권승혁 기자 gsh0905@busa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