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북아는 다원성·통합 경험 갖춘 ‘사유의 샘터’였다
세계철학사 3/이정우
대단한 광휘를 뿜어내는 책이다. 은 동서 가로지르기를 호활하게 펼치는, 한국 철학자가 쓴 최초의 세계철학사다. 철학자 이정우가 2011년 1권(지중해세계의 철학), 2018년 2권(아시아세계의 철학)을 낸 데 이어 이번에 3권 ‘근대성의 카르토그라피’를 냈다. 4권(탈근대 사유의 지평들)은 현재 집필 중이다.
이번 3권은 17세기에서 20세기 초까지 근대성의 형성과 변화를 다뤘다. 동서양을 시원히 조망하면서 근대 사상의 세계지도(카르토그라피)를 그린다. 한·중·일 3국의 동북아가 주요하게 등장하는 많은 대목은 매혹적이다. 왜 동북아를 크게 다뤘나. 동북아는 종교에 치우친 인도 이슬람과 달리 철학적 사유의 전통을 끊임없이 지속시켜 왔으며, 불교를 성리학이 통합한 데서 보듯 다원성의 경험과 통합의 경험을 갖춘 사유의 저력이 있는 곳이라고 한다.
17~20세기 초 근대성 형성·변화 다뤄
한·중·일 3국의 동북아 크게 취급 눈길
저자에 따르면 유럽 근대철학의 중핵은 1차 과학혁명을 환원주의(합리주의 기계론 이원론)로 집대성한 17세기 데카르트 철학이었다. 환원주의는 특권화된 ‘하나’로 환원해 설명하는 존재론이다. 저자가 보기에 19~20세기 제국주의 발호로 지구를 짓밟은 서구 중심주의의 뿌리가 환원주의에 있다. 근대성의 핵심이 이러한 폭력적 횡포였다는 거다. 동북아 철학은 왜 유럽과 나란히 ‘폭력적으로’ 나아가지 않았나. 동북아에서는 자연에 대한 탐구와 정복보다는 자연과 인간의 일치, 천인합일을 더욱 중요시했기 때문이다.
그런데 17세기에는 데카르트의 환원주의만 있었던 게 아니다. 그것에 정면 대결하고자 했던 흐름 또한 있었다. 표현주의 철학이 그것인데 대표 주자로 유럽에는 스피노자와 라이프니츠, 동북아에는 명말청초의 왕부지가 있었다.
근대철학의 또 다른 중핵은 ‘주체의 철학’이었다. 서양에서는 계몽 시대와 칸트로 대표되는 선험적 주체의 철학이 전개되지만 동북아에서는 ‘실학의 시대’가 전개된다. 실학은 동북아 근대에 일어난 거대한 사상적 학문적 경향 전체를 말한다. 실학의 시대를 열었던 역사적 전환점은 임진왜란이다. 동북아 실학은 크게 경학·경세학, 기학(氣學), 민중·민족사상이라는 세 갈래로 전개됐다고 한다. 정약용, 이토 진사이, 대진, 최한기 등이 거론되며, 특히 민중사상에서는 동학이 부각된다.
저자는 결론 부분에서 “근대 이래 사상사의 가장 큰 비극들 중 하나는 자연과학에서 성립하는 패러다임을 인간/사회에 덮어씌워 온 것”이라고 지적한다. 이것이 서구 근대, 근대철학의 한계라는 거다. 19세기 2차 과학혁명이 매우 중요하다. 1차 과학혁명을 훨씬 뛰어넘는 그것은 열역학 양자역학 등의 항목을 포함하는데 근대 과학의 결정론을 벗어나 ‘내적인 방향성이나 목적이 없는 우연’과 ‘엔트로피 증가’를 새롭게 발견했다. 새로운 현대 철학의 방향성을 암시하는 거였다.
저자는 “현대의 철학은 근대 철학에 숨어 있던 문제점들을 읽어내면서 근대적 주체와 다른 새로운 뉘앙스에서의 주체 개념과 비-동일성의 철학, 타자의 철학, 소수자의 철학 등을 창조해냈다”고 말한다. 그 내용을 4권에서 보여줄 거라고 한다. 이정우 지음/도서출판 길/744쪽/4만 원.
최학림 선임기자 theo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