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토뉴스] 온천3동 새마을금고, ‘희망 나눔’ 성금
부산 동래구 온천3동 새마을금고(이사장 최삼순)는 최근 금고 기부금, 직원의 성금 등을 모아 동 행정복지센터에 희망2022 나눔캠페인 성금 1160만 8070원을 전달했다.
‘새해 벽두부터 비보’ 창원컨벤션 경비 고용승계 문제로 숨져
경남도와 창원시가 공동 설립한 창원컨벤션센터(CECO) 시설을 관리하는 용역업체 직원이 고용승계 문제로 새해 벽두에 극단적인 선택을 해 경찰이 수사에 착수했다. 3일 창원중부경찰서와 경남관광재단 등에 따르면 지난 1일 오후 11시 30분께 창원시 성산구 창원컨벤션센터 하역장에서 A(50대) 씨가 숨진 채 발견됐다. A 씨는 7년간 창원컨벤션센터에서 경비 업무 등을 맡아온 직원이다. 이날 동료 경비원이 A 씨를 발견, 112에 신고했다. 경찰은 사고 발생 하루 전에도 A 씨가 실종돼 수색에 나서 신고 접수 2시간여 만에 귀가시키기도 했다. 경찰은 A 씨가 오래전부터 유가족 등에게 극단 선택을 암시하는 발언을 해왔던 것으로 파악했다. A 씨는 회사 고용승계 문제로 힘들어했던 것으로 나타났다. 현장에서 발견된 유선엔 ‘또 고용승계를 못 한다는 청천벽력 같은 새로운 용역업체의 처사에 힘들다. 겨우 3개월 시한부 고용승계는 됐지만 무력감을 느낀다’는 취지로 적었다. 창원컨벤션센터는 2005년 조성 이후 한국종합전시장을 운영하는 ‘코엑스’에서 위탁 운영하다가 공공성 강화 차원에서 2024년부턴 경남관광재단이 운영을 맡았다. A 씨는 코엑스가 용역을 맡긴 업체와 3~6개월짜리 초단기 근로계약을 맺고 근무해 왔다. 재단이 운영 주체가 된 이후 입찰을 받은 한 용역업체는 A 씨를 포함한 시설 관리 비정규직 직원 67명과 1년짜리 근로계약을 체결했다. 계약 만료 이후 올해 다른 B 용역업체가 입찰을 따냈고, B 업체는 A 씨에게 고용승계를 하지 않겠다고 통지했다. 과거 A 씨가 관리소장을 갑질로 신고한 점 등을 이유로 든 것으로 알려진다. 이에 재단에서 나서 직원들 근로 환경 퇴행을 이유로 고용승계를 권고하면서 B 업체는 67명 모두의 고용을 승계했다. 그러나 자사 내규에 따라 3개월간 수습 기간을 공지, 향후 평가를 통해 계약 연장을 결정한다고 알렸다. 재단 관계자는 “A 씨가 고용 문제로 스트레스를 받아 온 것을 알고 있었고, 재단에서도 고용승계를 위해 노력했다”면서 “고용승계뿐만 아니라 1년간 근로계약을 체결하기 위해 용역업체와 논의하던 중 이런 일이 일어나 안타까움이 크다”고 말했다. 경찰은 유가족과 B 업체, 동료 직원 등을 통해 자세한 경위를 파악하고 있다. ※ 우울감 등 말하기 어려운 고민이 있거나 주변에 이런 어려움을 겪는 가족·지인이 있을 경우 자살 예방 핫라인 ☎1577-0199, 희망의 전화 ☎129, 생명의 전화 ☎1588-9191, 청소년 전화 ☎1388 등에서 24시간 전문가의 상담을 받을 수 있습니다.
부산 만덕∼센텀 대심도 공사 현장서 두 번째 인명 사고… 작업자 1명 사망
부산 만덕∼센텀 도시고속화도로 대심도 터널 공사 현장에서 작업자 1명이 숨진 사실이 뒤늦게 알려졌다. 해당 공사 현장에서는 지난해 10월에도 인명 사고가 있었다. 2일 부산 해운대경찰서에 따르면 지난달 30일 오후 3시께 만덕∼센텀 대심도 터널 공사 현장에서 고소작업차의 작업대가 떨어지며 아래에서 일하던 40대 작업자를 충격했다. 이 작업자는 병원으로 옮겨졌으나, 지난 1일 끝내 숨졌다. 경찰 관계자는 “고소작업차의 유압이 풀리며 작업대가 낙하한 것으로 보인다”면서 “기계적 결함에 의한 것인지 정확한 사고 경위를 수사 중이다”라고 밝혔다. 경찰은 현장 작업 중지 명령을 내리고 사고 원인과 함께 중대재해처벌법 위반 여부 등도 조사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만덕∼센텀 도시고속화도로는 길이 9.62㎞ 왕복 4차로 규모로, 내년 개통을 목표로 공사가 진행되고 있다. 간선도로인 충렬대로, 수영강변대로의 심각한 교통 체증을 해소하기 위해 건설 중인 부산의 첫 대심도 도로다. 앞서 이곳에서는 지난해 10월 22일 오전 하역 작업을 하던 70대 작업자가 철제빔에 맞아 숨지는 사고가 발생하기도 했다.
작년 주민등록 출생자수 24만 2334명…9년 만에 반등
지난해 출생(등록)자 수가 24만여 명으로 9년 만에 증가세로 돌아섰다. 행정안전부는 ‘2024년 주민등록 인구통계’를 분석한 결과 우리나라 출생(등록)자 수는 24만 2334명으로, 2023년(23만 539명)보다 7295명(3.10%) 늘어 9년 만에 증가했다고 3일 밝혔다. 2024년 출생자 수는 24만 2334명, 사망(말소)자 수는 36만 757명으로 2023년보다 각각 7295명(3.10%), 6837명(1.93%) 증가했다. 8년 연속 감소하던 출생자 수가 다시 증가한 것은 '저출생 절벽'에 놓였던 우리나라 인구 구조에 반전의 신호탄이란 관측이 나온다. 성별로 보면 남아(12만 3923명)의 출생등록이 여아(11만 8411명) 보다 5512명 더 많았다. 출생자에서 사망자수를 뺀 자연적 요인에 따른 주민등록 인구 감소는 11만 8423명으로 지속됐으나, 그 폭은 2023년 11만 8881명보다 소폭 줄어들었다. 작년 주민등록 인구는 5121만 7221명으로, 2020년 이후 5년 연속 감소했다. 여자(2571만 8897명)가 남자(2549만 8324명)보다 22만 573명 더 많았다. 2015년 여자 인구가 남자 인구보다 1만 2966명 많아지면서 처음 추월한 이래 여자와 남자 인구 간 격차는 계속 확대되는 추세를 보여 왔다. 주민등록 인구의 평균연령은 45.3세였다. 남자는 44.2세, 여자는 46.5세로 여자가 남자보다 2.3세 더 많았다. 연령대별 주민등록 인구 비중은 50대가 870만 6370명(17.00%)으로 가장 많았다. 이어 60대(15.27%), 40대(15.08%), 70대 이상(12.94%), 30대(12.93%), 20대(11.63%), 10대(9.02%), 10대 미만(6.13%) 순이었다. 연령대별 성비(여자 100명당 남자수)를 보면 30대가 109.20명으로 가장 높았다. 0∼14세 유소년 인구는 546만 4421명, 15∼64세 생산연령인구는 3549만 618명, 65세 이상 고령인구는 1025만 6782명이었다. 2023년과 비교해 0∼14세, 15~64세 인구는 각각 19만 9440명(3.52%), 43만 5039명(1.21%)씩 감소한 반면 65세 이상 인구는 52만 6371명(5.41%) 증가했다. 전체 주민등록 인구(5121만 7221명)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0∼14세 인구가 10.67%, 15~64세 인구 69.30%, 65세 이상 인구는 20.03%이었다. 65세 이상 인구가 0∼14세 미만의 2배에 육박한 셈이다. 2025년 초등학교 입학 예정인 6세 인구(2018년 출생)는 33만 4145명으로, 전년(36만 4740명)보다 3만 595명(8.39%) 감소했다. 주민등록 전체 세대수는 2411만 8928세대로 2023년(2391만 4851세대) 대비 20만 4077세대(0.85%) 증가했다. 평균 세대원 수는 2.12명으로 전년도보다 0.03명 감소했다. 세대원 수로 보면 1인 세대(약 1012만세대·41.97%)가 가장 많았다. 이어 2인 세대(600만·24.90%), 3인 세대(405만·16.80%), 4인 이상 세대(394만·16.33%) 순으로, 3인 세대가 4인 이상 세대를 앞질렀다. 수도권과 비수도권 인구 격차(수도권-비수도권)는 더욱 확대되는 추세다. 수도권 거주 인구는 2604만 7523명(50.86%), 비수도권 인구는 2516만 9698명(49.14%)이었다. 2023년과 비교해 수도권은 3만 3258명(0.13%) 증가한 반면 비수도권은 14만 1366명(0.56%) 감소했다. 두 권역 간 인구 격차는 87만 7825명으로 늘어났다. 수도권과 비수도권 간 인구격차는 2019년 1737명에서 2020년 24만 7591명, 2021년 40만 7757명, 2022년 53만 1198명, 2023년 70만 3201명으로 확대됐다. 김민재 행안부 차관보는 "우리나라는 5년 연속 인구가 감소했지만, 9년 만에 출생등록자 수가 증가하며 긍정적인 변화의 기미를 보였다"며 "출생아 수 반전의 추세를 이어갈 수 있도록 관계부처가 협업해 양육환경을 개선하고 다각적인 지원방안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한편, 연도별 출생자 수를 보면, 2016년 41만 1859명에서 2017년 36만 2867명으로 40만 명대가 무너졌다. 이어 2018년 33만 4115명, 2019년 30만 8,697명, 2020년 27만 5815명으로 30만 명대 마저 붕괴됐다. 이어 2021년 26만 3127명, 2022년 25만 4628명, 2023년 23만 5039명으로 줄었다. 주민등록 인구를 연도별로 보면 2020년 5182만 9023명, 2021년 5163만 8809명, 2022년 5143만 9038명, 2023년 5132만 5329명, 2024년 5121만 7221명으로 매년 감소세를 보이고 있다. 2023년 대비 인구가 증가한 시·도는 경기(+6만 3864명), 인천(+2만 3600명), 충남(+6,455명), 세종(+4160명) 4곳이고, 나머지 13곳의 인구는 감소했다. 주민등록 인구현황 등 관련 통계는 행정안전부 주민등록 인구통계 누리집(jumin.mois.go.kr), 공공데이터포털(data.go.kr) 및 국가통계포털(kosis.kr)에서 확인할 수 있다.
참사 여객기에 ‘혈흔’ 발견… 흙더미 속 엔진은 인양 완료
무안국제공항 제주항공 여객기 꼬리 쪽 기체에 ‘혈흔’이 발견돼 국토교통부가 탑승객 혹은 조류 피인지 확인하는 작업에 나섰다. 로컬라이저를 설치한 콘크리트 둔덕 흙더미에 파묻힌 사고기 엔진은 인양을 마무리해 관련 조사가 본격화할 전망이다. 3일 국토교통부 등에 따르면 지난달 29일 무안국제공항에서 사고가 난 제주항공 비행기 꼬리 쪽 기체에서 혈흔이 발견됐다. 조사위원회는 탑승객 혹은 조류 혈흔인지 확인하기 위해 작업을 잠시 멈춘 뒤 확인 작업에 나섰다. 같은 날 오후 시작된 사고기 엔진 인양은 마무리됐다. 엔진은 사고기가 부딪친 콘크리트 둔덕 흙더미에 파묻혀 있었다. 국토부는 엔진을 모처로 옮겨 깃털이나 혈흔 등 조류 충돌 흔적과 이상 여부 등을 살펴볼 예정이다. 엔진은 사고 원인을 밝힐 핵심 부품으로 꼽힌다.
부산서 달리던 승합차 화재… 엔진에서 불 시작 추정
부산 강서구 도로를 달리던 승합차 엔진에서 불이 나 차량에 있던 운전자가 대피했다. 2일 오후 10시 38분께 부산 강서구 명지동 한 도로 위에 있던 카니발 승합차에서 불이 났다. 차량에 있던 운전자가 스스로 대피해 인명 피해는 없었고, 불은 약 20분 만인 이날 오후 10시 57분 꺼졌다. 당시 차량은 녹산수문에서 강서경찰서 방향으로 달리던 중이었다. 차량이 불에 타면서 소방 추산 308만 원 정도 재산 피해가 났다. 소방은 차량 엔진에서 불이 난 것으로 보고 정확한 화재 원인을 조사하고 있다.
신공항 비롯 주요 SOC 예산 상반기 70% 집행 [2025년 경제정책방향]
정부는 1주택자가 지방의 공시가격 4억 원 이하의 주택을 새로 구입해도 종합부동산세를 매길 때 1주택자로 간주하기로 했다. 기획재정부가 2일 이같은 내용을 담은 ‘2025년 경제정책방향’을 발표했다. 현재 지방의 저가주택(공시가격 3억 원 이하)에 대해선 종부세 1세대 1주택자 특례를 적용하고 있다. 그런데 이 주택기준을 공시가격 4억 원까지로 확대한다. 이렇게 되면 시세 5억~6억 원 주택도 포함된다. 또 취득세 중과가 제외되는 저가주택 기준도 지방주택에 한해서 공시가격 1억 원 이하에서 2억 원 이하로 확대한다. 정부는 내년 2월 중 시행령을 개정해 시행할 계획이다. 이와 함께 이미 정부가 발표한 지방 미분양 주택 해소대책은 내년 1월 1일부터 시행된다. 1주택자가 지방의 준공후 미분양주택을 구입할 때 1세대 1주택 특례를 유지하기로 한 바 있다. 다주택자에 대한 양도세 중과배제는 2026년 5월까지 1년 연장한다. 특히 상가 공실을 주거·업무·문화시설로 활용할 수 있도록 건축물의 탄력적 용도전환 지원방안도 검토한다. 국토부가 이에 대한 연구용역을 실시하기로 했다. 이와 함께 건설경기 회복을 위해 새해에 공공주택과 공공지원 민간임대주택 13만 8000호를 착공한다. 전국의 158개 노후 공공임대 재정비리모델링 사업에 대한 로드맵을 상반기에 발표할 계획이다. 아울러 고속도로 고속철도 신공항 항만 등 주요 건설사업을 조기 발주 착공해 상반기내 70%를 집행한다는 계획이다. 내년 예산에 6조 8000억원이 배정돼 있는데 1분기에 52%를 집행한다는 것. 또 기회발전특구에 이전·창업하는 중소·중견기업에 대한 가업상속공제를 확대한다. 아울러 산업단지에 편의시설이 다양하게 들어설 수 있도록 부대시설 범위를 확대한다. 현재는 해당 입주기업 직원만 사용이 가능한 구내식당 등 설치만 허용되는데 앞으론 다른 기업 직원도 이용이 가능한 문화·체육시설, 카페 등 설치를 허용한다는 것이다.
尹 체포영장 집행 임박… 관저 앞 일촉즉발 대립
윤석열 대통령에 대한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의 체포영장 집행이 임박하면서 찬반 세력 간 극한 대립이 이어지고 있다. 2일 윤 대통령이 머무는 서울 용산구 한남동 관저 입구에는 질서 유지를 위한 바리케이드가 설치돼 있고, 양측 지지자들이 몰려들어 일촉즉발의 상황이다. 체포영장의 집행 시한이 오는 6일인 점을 고려하면 공수처는 가능한 빠른 시일 내 영장 집행 절차에 돌입할 수 있다는 관측이다. 대통령 경호처는 기존대로 대통령 경호를 유지할 것이라는 전망에 무게가 실린다. 대통령 신변 보호를 조직의 존재 이유로 하는 경호처로서는 비상계엄 사태 이후 지금까지 형사소송법을 근거로 수사 기관의 진입을 막아왔던 만큼 그 기조를 유지할 것으로 보인다. 형사소송법 110조에는 ‘군사상 비밀을 요구하는 장소는 책임자의 승낙 없이는 압수·수색할 수 없다’, 111조에는 ‘공무원이 소지·보관하는 직무상 비밀에 관한 물건은 감독 관공서의 승낙 없이 압수하지 못한다’고 규정돼 있다. 법원이 윤 대통령의 체포영장에 이 조항을 예외로 적시한 데 대해 윤 대통령 측은 즉각 반발하고 있다. 윤 대통령 측은 체포영장 발부 자체가 불법 무효일 뿐 아니라 해당 문구가 체포영장에 기재된 것 역시 불법이라며 헌법재판소에 권한쟁의 심판 청구를 예고했다. 윤 대통령 변호인단은 입장문을 통해 “경찰에 대한 수사지휘권이 없는 공수처가 기동대 지원을 받는 것은 위법 행위”라고 지적했다. 공수처는 윤 대통령의 체포영장을 혼란 없이 집행하기 위해 사전 준비에 나서는 모습이다. 경호처를 향해 ‘영장 집행을 가로막으면 직무유기, 특수공무방해죄 등으로 처벌할 수 있다’는 경고 공문을 보내며 압박했다. 경찰 국가수사본부 특별수사단은 체포영장 집행 지원과 관련해 “공수처와 충분한 법적 검토 및 협의를 통해 집행 과정상 위법적 문제가 제기되지 않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공수처의 영장 집행이 임박하면서 물리적 충돌 위험성도 높아지고 있다. 이날 오전부터 서울 용산구 한남동 대통령 관저 앞에는 ‘대통령 하야 촉구 집회’와 ‘대통령 수호 집회’가 동시에 신고돼 수천 명의 시민들이 몰렸다. 윤 대통령 지지자들은 손에 ‘부정선거 아웃’ 피켓을 들고 “대통령 힘내라” 등을 외쳤다. 하야 촉구 집회 참가자들은 “김건희, 윤석열 감방 가자”, “오늘 윤석열 구속된다”고 소리쳤다. 윤 대통령이 전날 관저 부근에 모인 지지자들에게 “반국가 세력 준동에 나라를 지키기 위해 끝까지 싸울 것”이라는 메시지를 전달하면서 분위기는 더욱 격앙되고 있다. 이날 오전엔 윤 대통령의 체포영장을 집행하려고 공수처 관계자들이 출발했다는 소문이 돌자 ‘신의한수’ 대표를 비롯한 유튜버 20여 명이 관저 앞으로 몰려 경찰과 마찰을 빚기도 했다. 경찰은 윤 대통령에 대한 체포영장 집행을 저지하기 위해 농성을 벌이던 지지자 30여 명을 강제 해산하기도 했다. 경찰은 이날 오후 4시 37분께 기동대를 투입해 경찰 저지선을 뚫고 관저 정문 앞까지 진입해 도로 위에서 농성을 벌이던 지지자들을 강제 해산했다. 경찰관들은 5차례 해산명령 끝에 지지자들을 한 명씩 끌어내 전부 강제 이동 조처됐다.
정부, 2025년 경제성장률 1.8% 전망…6개월만에 0.4%P 내려
정부는 새해 수출 증가세가 둔화되면서 우리 경제 성장률이 1.8%에 그칠 것으로 전망했다. 취업자수 증가폭도 2024년보다 대폭 줄어들고 민간소비는 올해 다소 회복될 것으로 예상했다. 기획재정부는 2일 ‘2025년 경제정책방향’을 발표하고 새해 한국의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을 1.8%로 전망했다. 이는 2024년 2.1%(예상치)보다 0.3%P 낮아진 것이다. 특히 기재부는 20204년 7월에 ‘하반기 경제정책방향’을 발표하면서 2025년 경제성장률을 2.2%로 내다봤는데 6개월만에 0.4%P를 낮춘 것이다. 정부의 올해 전망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2.1%) 국제통화기금(IMF·2.0%) 한국개발연구원(KDI·2.0%) 한국은행(1.9%)보다 낮다. 올해 성장 전망치를 크게 낮춘 주요인은 수출 악화 우려다. 정부는 반도체 등 주력업종 경쟁 심화, 트럼프 정부 출범 후 미국 통상정책 전환 등으로 올해 수출 증가율이 지난해(8.2%)보다 크게 축소된 1.5%가 될 것으로 봤다. 수출이 늘어나긴 하겠지만 1.5% 성장에 그친다는 것이다. 김재훈 기재부 경제정책국장은 성장률을 이렇게 낮춘데 대해 “올해 감액 예산을 일부 반영했으며 2024년 4분기 지표들이 예상보다 낮아져 기저효과로 작용하는 점을 고려한 것”이라고 말했다. 이와 함께 회복이 더딘 민간소비는 올해에는 1.8% 증가하면서 완만하게 회복되리라고 전망했다. 고물가와 고금리가 점차 해소되면서 새해에는 실질구매력이 개선되면서 소비가 회복되리라고 본 것이다. 김재훈 국장은 “계엄·탄핵에 따른 불확실성은 주로 소비 경로를 통해 나타날 텐데 아는 작년 4분기 데이터에 이미 반영이 돼 있다”고 말했다. 설비투자는 2024년 1.3% 성장에서 2025년 2.9% 성장으로 개선될 것으로 정부는 내다봤다. 그러나 다만 건설투자는 작년(-1.5%)과 마찬가지로 새해에도 -1.3%로 역성장하는 등 부진이 계속될 것으로 전망했다. 취업자수는 새해에 12만명이 늘어나 2024년에 17만명 증가보다 증가폭이 축소될 것으로 전망했다.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지난해 2.3%에서 올해 1.8%로 떨어진다고 설명했다. 올해 경상수지는 수출 증가세 둔화로 800억달러 흑자를 나타낼 것으로 정부는 예상했다. 지난해 예상치는 900억달러다.
무안공항 콘크리트 둔덕, 개량공사로 더 보강…공사 승인 책임은
무안국제공항 여객기 참사의 피해규모를 키운 원인이 로컬라이저가 설치된 콘크리트 둔덕 때문이라는 목소리가 나오는 가운데, 콘크리트 둔덕을 세운 이유와 개량공사 때 이를 더 키운데 대한 책임론이 제기되고 있다. 로컬라이저는 방위각 시설로 항공기에 전파를 쏴서 활주로에 정확히 착륙하도록 돕는 시설이다. 무안공항은 1999년 설계가 시작돼 2007년 완공됐다. 이 때 활주로 바깥 지점에 콘크리트 둔덕이 만들어지고 그 위에 안테나를 세웠다. 이후 15년이 지난 보강공사가 필요할 것으로 보여 2023년 9월부터 지난해까지 개량공사가 진행됐다. 개량공사는 기존의 콘크리트 둔덕 위에 30cm 규모의 콘크리트를 더 쌓아 안테나를 단단히 고정시키는 방식이었다. 개량 공사는 한국공항공사가 2020년 3월 시설 개량 설계 용역 공고를 내면서 본격적으로 추진됐다. 이 용역은 서울 소재 A 설계업체가 낙찰받았다. A업체는 2020년 8월 공항공사에 제출한 실시설계 용역 종합 보고서에서 “기존의 안테나 지지대를 보강 후 재사용해야 한다”고 밝혔다. 이 보고서에는 콘크리트 기초물을 재사용하고, 같은 소재인 콘크리트를 사용해 보강하는 방식이 타당하다는 내용이 담겼다고 공항공사 측은 밝혔다. 이같은 설계는 공항공사의 승인을 받았고 무안공항을 관할하는 국토교통부 소속 부산지방항공청의 사업 승인도 받았다. 국토부 관계자는 “비바람에 로컬라이저가 흔들리지 않도록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 보인다”며 “정확한 보강 경위에 대해 확인 중”이라고 말했다. A업체 관계자는 연합뉴스와의 통화에서 “무안공항 로컬라이저 개량 공사 설계를 맡은 것은 맞지만 그 이상의 자세한 내용은 보안 규정상 말씀을 드릴 수 없다”고 말했다. 이 업체는 무안공항처럼 콘크리트 구조물이 매립된 둔덕 위에 로컬라이저가 설치된 여수공항의 항행안전시설 개량 사업도 설계한 것으로 확인됐다. 향후 이번 사고의 원인을 규명하기 위한 사고조사위원회의 조사와 경찰 수사에서는 애초 콘크리트 둔덕을 설치한 과정과 이에 콘크리트를 덧댄 경위가 쟁점이 될 전망이다. 이를 통해 설계업체와 한국공항공사, 부산지방항공청 등의 책임 소재가 가려질 것으로 보인다. 전남경찰청 제주항공 여객기 사고 수사본부는 2일 오전 무안공항 내 담당 부서, 부산지방항공청 무안출장소, 제주항공 서울사무소 등을 압수 수색을 하며 본격적인 수사에 착수했다.
인플루엔자 2016년 이후 최대 유행…“임신부, 어린이, 고령층 예방접종해야”
인플루엔자(독감) 유행이 심상치 않다. 2016년 이후 인플루엔자 환자가 최고 수준으로 발생해 정부가 임산부, 어린이, 고령층 등 고위험군의 백신 접종을 당부했다. 질병관리청은 지난달 22일~28일(52주 차) 외래환자 1000명당 인플루엔자 증상을 보이는 환자가 73.9명으로 전주의 31.3명과 비교해 136% 증가했다고 3일 밝혔다. 질병청이 운영하는 의원급 300개소 표본 감시 결과다. 이는 2016년의 86.2명에 이어 최고치다. 지난해 정점은 61.3명, 2022년은 60.7명이었고, 코로나19 팬데믹 상황으로 2020년과 2021년은 각각 3.3명과 4.8명으로 한 자릿수였다. 연령별로 살펴보면 모든 연령에서 증가세이긴 하지만 52주 차 기준 13~18세 청소년층에서 1000명당 151.3명의 환자가 발생해 가장 발생률이 높았다. 이번 2024~2025절기 인플루엔자 유행 기준인 1000명당 8.6명의 17.6배에 달하는 수치다. 그다음이 7~12세 소아로 1000명당 137.3명꼴로 환자가 나왔다. 현재 유행하는 인플루엔자는 A형이 대부분이다. A형 중 H1N1pdm09가 34.6%, A형 H3N2가 14.9%, B형이 1.4% 순이다. 앞서 질병청은 지난달 20일 인플루엔자 유행주의보를 발령했다. 유행주의보가 발령되면 소아, 임신부 같은 고위험군은 인플루엔자 의심 증상으로 항바이러스제를 처방받으면 건강보험 요양급여가 적용돼 개인 부담이 적다. 또 현재 6개월~13세 어린이, 임신부, 65세 이상 고령층에 대해 무료로 인플루엔자 국가예방접종을 하고 있어, 적극적인 예방접종이 필요하다는 설명이다. 지영미 질병관리청장은 “인플루엔자는 통상 봄철까지 유행이 지속될 것으로 예상되므로 어린이와 임신부, 65세 이상 어르신은 이미 늦었다 생각하지 말고 지금이라도 꼭 인플루엔자 백신접종을 받아야 한다”며 “외출 전·후 손 씻기, 기침 예절 실천, 호흡기 증상 발생 시 마스크 착용, 밀폐된 공간의 경우 2시간마다 10분 이상 실내 환기 등 기본적인 호흡기감염병 예방 수칙 실천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요리 중 자리 비운 사이”… 부산 음식점 화재
[부산일보 오늘의 운세]1월 5일 일요일(음 12월 6일)
[영상] 요즘 누가 신문 보냐고?…기자가 직접 배달해 봤다 [기자니아]
두 딸 결혼 앞둔 60대 가장…성탄절에 첫 해외여행 떠났다가 참변
관저 뜬 김흥국 '2년반 동안 이분만큼 잘한 대통령이 어디 있느냐'
정진석 비서실장, 사표 수리 관계없이 용산 떠난다
‘잡으려는’ 공수처-‘막으려는’ 윤 대통령, 3시간 넘게 관저 앞 대치 중
공수처 “관저 200m까지 접근. 경호처 200명 벽 쌓고 막아…체포영장 집행 불가 '유감'"
부산에서 공부하고도 일자리 없어 수도권으로 떠난다 [부산, 외국인 환대도시로]
밤하늘에 ‘위로의 포옹’… 부산 광안리서 ‘제주항공 참사’ 드론으로 추모
정부 "올해 경제성장률 1.8%"… 반년 만에 0.4%P 낮춰
상습 월파 마린시티 수중 방파제 착공
1만 5000여 세대 분양… 꽁꽁 언 부동산 시장 풀릴까?
尹 “유튜브로 집회 보고 있다”… 野 “2차 내란 선동”
LCC 만성적 정비 인력 부족에 불거지는 부실 정비 의혹 [무안 제주항공 참사]
안전한 주거·이웃·돌봄 3박자 "내 집에서 나이 들고 싶다" ['초고령'지혜, 부산서 찾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