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철수 “대선 주자 엑스포 홍보전 참여하자” 깜짝 제안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1 부산월드엑스포

대선후보들이 부산월드엑스포 유치를 적극적으로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엑스포가 개최될 예정인 부산항 북항 1단계 재개발사업 지역. 부산일보 DB

3·9 대선에서 어느 후보가 선출되든 ‘2030부산세계박람회’(월드엑스포) 유치에는 청신호가 켜질 것으로 보인다. 주요 4당 대선후보는 부산월드엑스포 유치를 위한 지원 의사를 묻는 질문에 적극적으로 나서겠다고 답했다. 하지만 아쉬움은 남는다.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선후보는 다양한 아이디어를 가지고 있지만 유치 가능성에 대해 신중한 입장을 보였으며, 국민의힘 윤석열 후보는 정부의 적극적인 예산 투자 등 의지를 드러내고 있지만 구체성에서는 부족함을 보이기 때문이다.

후보, 유치 지원 한목소리… 전략 제각각
이 “북항 생태도시로 탈바꿈·K팝 활용”
윤 “예산 등 지원 박차·민관 협력 강화”
심 “시·정부 역할 분담 전략적 접근 필요”

■주요 후보들 “총력 지원”

문재인 정부는 2019년 5월 부산월드엑스포 유치를 국가사업으로 지정했다. 정부는 지난해 김부겸 국무총리를 위원장으로 하는 정부유치지원회, 국회에서는 국민의힘 서병수 의원을 위원장으로 하는 국회 유치특별위원회를 구성한 상태다.

이처럼 범국가적 움직임이 본격화하는 가운데 4명의 대선후보는 부산월드엑스포 유치에 총력을 기울이겠다고 입을 모았다. 이 후보는 “우리나라와 사우디 리야드와 모스크바, 로마, 오데사 등 5개국이 경쟁을 펼치고 있어, 쉽게 유치할 수 있다고 단언할 수는 없는 상황”이라면서도 “가능성을 높이도록 지원을 아끼지 않을 것”이라고 답했다.

윤 후보는 “2030부산세계박람회 유치는 가능성이 아닌 의지 문제라고 본다”며 “‘부산시장에게 맡겨 놓지 않고 대통령이 직접 챙기겠다’라고 공약한 만큼 큰 힘을 보탤 것”이라고 강조했다. 국민의당 안철수 후보는 “내년 11월 최종 결정을 앞두고 있다. 직접 발 벗고 나서겠다”며 강한 의지를 보였다. 다만 심 후보는 3명의 후보와 다소 다른 분위기를 보였다. 정의당 심상정 후보는 “엑스포가 국책사업으로 이미 추진되고 있다”며 “일회성 대형 이벤트 개최 중심으로 발전전략을 설정하고, 핵심과제로 선정하는 것에 있어서는 우려가 되기도 한다”고 밝혔다. 이미 진행 중인 사업이라는 점을 들어 지원 의지를 우회적으로 표현했지만 적극성에서는 다른 후보에 비해 부족한 것으로 해석된다.



■유치 가능성 높이기 위한 카드는?

부산월드엑스포 유치를 두고 일각에서는 성공 가능성에 부정적인 시각이 다수 존재한다. 정부와 국회 차원의 지원 움직임은 더디기만 한 데다 세계박람회기구(BIE) 실사단 평가 중 주요 요소인 국민적 관심 또한 떨어지기 때문이다.

후보들은 제각기 필승 전략 카드를 제시했다. 이 후보는 우선 부산월드엑스포 예정 부지인 북항 일대를 미래 디지털 사회를 체험할 수 있는 첨단 기술도시, 탄소배출을 최소화한 환경친화적 생태도시로 탈바꿈한다는 구상이다. 이어 국무총리를 위원장으로 하는 추진위원회도 신설하겠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경제적 위상과 최근 K팝, K방역으로 높아진 위상을 십분 활용해 유치 가능성을 높여야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윤 후보는 적극적인 투자를 약속했다. 윤 후보는 “몇 번의 고배를 마신 동계올림픽 유치 과정을 볼 때 최종 선정까지 남은 2년 동안 169개국의 지지를 얻기에는 시간이 부족하다”며 “이른 시일 내에 머리를 맞대고 유치에 필요한 예산 등 각종 지원에 박차를 가해야 한다”고 말했다. 또한 달아오르지 않는 국민들의 열기에 대해서도 “2030부산세계박람회는 단순히 부산의 축제가 아니다”며 민관 협력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안 후보는 4명의 대선 주자들이 부산월드엑스포 홍보전에 참여하자는 깜짝 제안을 내놓기도 했다. 안 후보는 “국제적 행사의 관심과 열기는 정부의 의지에 달려 있다”면서 “정부의 대대적인 지원과 함께 대선 주자들과 정치권, 문화예술인 등이 홍보에 함께 참여하면 엑스포에 대한 관심이 자연스럽게 형성될 것”이라고 말했다.

부산월드엑스포로 인해 발생하는 경제·파급효과가 과도하게 설정돼 있다고 지적한 심 후보는 구체적인 대안 제시보다는 “부산시와 정부의 역할 분담과 ‘전략적 접근’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은철 기자 euncheol@busan.com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