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셀프’ 일반관리군 사망사고 예방책 있나
방역당국이 고위험군 중심의 재택치료 대응 방식을 내놓으면서 의료 사각지대에 대한 우려가 커진다. 코로나19 확진자가 폭증하고 최근 재택 치료를 받은 코로나 확진자가 숨지는 사태마저 발생하면서 ‘셀프’ 재택치료의 소홀한 모니터링과 대응 체계에 의문이 제기된다.
정부는 7일 고위험군 중심의 재택치료 관리 체계 개편을 발표했다. 앞으로는 고위험군 중심관리를 위해 일반관리군은 기존에 이루어지던 정기적인 모니터링과 재택치료 키트, 생필품 지급 등이 중단된다는 것이 핵심이다. 급증하는 재택치료자 수를 제한적인 의료인력으로 감당하기 어렵다는 이유다.
의료인력 한계치 육박 이유
재택 치료 받은 코로나 확진자
최근 숨지는 상황 발생하기도
생필품 지급 안 돼 사각지대 우려
긴급상황서도 도움 받기 어려워
재택치료 중인 이 모(38) 씨는 새 방역체계가 “환자가 환자를 돌보는 치료가 될 것”이라며 우려를 표했다. 이 씨의 4인 가족은 지난 5일 모두 확진 판정을 받고 현재 재택치료 중이다.
지난 5일 오후 이 씨는 딸의 몸 상태가 급격히 악화된 것으로 확인하고 황급히 전담 병원에 연락을 취했지만 담당자와 연락이 되지 않았다. 몇 번의 시도 끝에 겨우 연결된 담당 의료진은 “처방을 받아 약을 내일 가져다주겠다”고 말했지만 다음 날 저녁까지도 약은 도착하지 않았다. 확진자였던 이 씨는 집에 있던 약으로 '자체 처방'에 나섰다. 재택치료 체계 변화로 키트와 생필품 지급이 중단되면 이 씨의 사례처럼 가족 모두 확진된 경우 외출이 막혀 긴급의약품과 생필품 부족 문제가 발생할 수밖에 없는 것이다.
이 씨는 “인력이 부족한 상황인 것은 이해하지만 최근 재택 치료 후 사망 사건도 나와 재택치료 관리가 더 불안하다”며 “코로나는 가족 1명이 확진되면 가족 전원이 확진되는 구조라 재택 간호와 치료가 부실해질 수밖에 없다. 심지어 이제부터 ‘셀프 치료’로 전환된다니 긴급상황에선 어떻게 대처해야 할지 모르겠다”고 말했다.
시민들은 비대면 긴급진료에 대해서도 의구심을 나타낸다. 방역당국은 필요 시 일반환자도 비대면 진료를 진행한다는 방침이지만 현행 시스템에서도 진료 소통이 어려운데, 본격적으로 모니터링에서 배제되면 긴급상황에서도 도움을 받기 어렵다는 것이다.
실제로 의료인력은 이미 한계치에 육박했다. 부산시에 따르면 당초 재택치료관리 의료기관이 제시한 관리가능인원은 9759명이나, 현재 재택치료자는 9960명에 달한다. 의료인 1인당 담당 환자가 150명을 훌쩍 넘어선 상황에서 관리 대상 범위 밖에 놓인 일반 재택치료자들은 위기상황에서도 제때 진료를 받기 어려울 수밖에 없다.
재택치료자 양 모(27) 씨도 안일한 의료대응에 대해 불만을 나타냈다. 양 씨는 “추가 진찰을 받고 싶어 연락을 취했는데 수십 번 전화해도 받지 않아 포기했다”며 “방역체계가 달라져서 일반 재택치료자들이 후순위로 밀리면 얼마나 더하겠느냐”고 말했다.
앞서 지난 4일 광주에서 10대 A 군이 코로나19 재택치료 기간이 끝나고 며칠 뒤 숨지는 일이 발생했다.
유족들은 A 군이 재택치료를 기간에도 보건 당국과 소통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았고 제대로 된 치료도 받지 못했다고 주장하고 있다.
변은샘·김동우기자 iamsa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