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잇단 '코로나 더블링', 제동 걸리는 거리 두기 완화
오미크론 변이 확산으로 코로나19 신규 확진자가 16일 하루 만에 3만 3268명 늘어난 9만 443명을 기록해 걷잡을 수 없는 속도로 퍼지고 있다. 오미크론 변이가 국내 우세종이 되면서 지난 1월 셋째 주 이후에는 확진자 수가 매주 더블링(배로 증가)되고 있는 셈이다. 지난달 26일 처음으로 1만 명 선이었던 신규 확진자 수는 3주 만인 16일 9만 명 수준으로 뛰어올랐다. 이는 2020년 1월 20일 국내에서 코로나19 첫 환자가 나온 이후 758일 만에 가장 많은 숫자다. 감염병 전문가들은 “3월 중순까지 20만 명 가까이 갈 것으로 예상하는 등 자칫 최악의 봄을 맞을 수 있다”고 경고하고 있다.
의료 등 공공서비스 공백 사태 우려
3월 정점 대비 방역체계 구축해야
신규 확진자가 매주 배로 증가하고, 요양병원과 노인시설, 의료기관 등에서 집단감염이 이어지면서 60세 이상 신규 확진자 비중이 이달 첫째 주 9.2%에서 둘째 주 11.7%로 올랐다. 감염에 취약한 60세 이상 확진자 수가 늘어나면 위중증률과 치명률도 덩달아 높아지게 된다. 더 큰 문제는 의료와 치안, 소방, 교육 등 ‘공공서비스 공백’ 사태가 올 수도 있다는 점이다. 실제로 대학병원에서는 의료진 감염으로 수술이 중단되는 사태가 줄을 잇고 있다고 한다. 무증상·경증인 재택치료자가 폭증하면서, 보건소 전화가 불통되는 등 혼란이 가중되고 있다. 오미크론 초기에 “한 번도 경험하지 못한 대규모 유행을 겪을 수 있다”는 경고가 현실이 될 수 있는 국면이다.
이런 위중한 상황에서 정부가 18일 ‘사적 모임 4인·영업시간 오후 9시’인 현행 거리 두기 조치를 완화할 수 있다는 입장을 내비치면서 논란이 커지고 있다. 방역 당국은 “확진자 발생 규모나 위중증 환자 수, 의료체계 여력 등과 같은 방역적 요인과, 사회·경제적 피해 등을 종합적으로 판단해야 할 것으로 본다”고 밝혔다. 거리 두기 완화를 모색하는 정부의 명분은 뒤늦게나마 소상공인·자영업자를 돕는다는 취지다. 3년째 경제적 고통을 감내한 자영업자들의 불만을 감안하면 방역 조치 완화의 필요성은 백번 이해할 수 있지만, 공공서비스 마비 경고음이 울리는 상황에서 더 큰 피해가 발생하는 상황부터 막아야 한다.
정부는 “위기를 스스로 키우고 있다”면서 거리 두기 완화에 제동을 거는 전문가들의 견해를 진지하게 검토해야 한다. 오미크론 확진자 수의 정점이 언제, 어느 수준일지조차 모르고, 눈앞에 다가온 하루 10만 명 확진자가 확산될 경우 사망률도 증가할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위드 코로나’를 서두르다가 한 달 만에 원점으로 돌아간 실패 경험도 잊지 말아야 한다. 방역 당국이 거리 두기 완화로 ‘오미크론=독감’이란 신호를 잘못 발산하면 2년 이상 버텨 온 국민의 경각심과 방역체계마저 무너질 수 있다. 정부는 오미크론 확산 정점으로 예상되는 향후 2~3주 시간표에 맞춰 재택진료 및 경증환자 대응, 자가검사키트 확보 등 방역체계를 제대로 구축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