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텃밭· 불모지’ 더 이상 안 통한다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17일 부산시선거관리위원회에서 직원들이 제20대 대통령선거 후보자의 선거벽보를 점검하고 있다. 부산 선관위는 이날 오후까지 각 후보로부터 제출받은 벽보를 18일부터 부산 시내 3520여 곳에 부착할 예정이다. 이재찬 기자 chan@

‘심장’ ‘본거지’ ‘텃밭’ ‘불모지’.

대선 때마다 등장하던 단골 ‘지역주의’ 용어들이다. 그러나 올해 3·9 대선에서는 이 같은 단어들이 퇴색하고 있다. 선거가 19일 앞으로 다가왔는데도 전통적 지지 지역의 민심이 과거처럼 쏠리지 않는 모습이다. 영남은 보수, 호남은 진보라는 지역구도에 균열이 생기는 것이다. 선거 전문가들은 이번 대선이 구시대 정치 산물인 지역주의를 본격적으로 해소하는 기점이 될 것이라고 조심스레 기대한다.

3·9 대선 ‘지역 구도’ 균열 조짐
이재명 호남·윤석열 영남 지지율
과거 대선 후보 득표율 못 미쳐
2030 실용적 성향 ‘탈지역’ 한몫
향후 영호남 지방선거 요동 전망

엠브레인퍼블릭·케이스탯리서치·코리아리서치·한국리서치 조사(14~16일, 1012명, 표본오차 95% 신뢰수준에 ±3.1%포인트(P))에서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후보의 광주·전라 지지율이 58%였다. 대선이 임박했지만 과거 진보정당 후보의 호남권 득표율에 못 미친다. 문재인 대통령은 62%였고, 노무현 전 대통령은 무려 93%로 ‘몰표’를 받았다.

또 다른 투톱 주자인 국민의힘 윤석열 후보의 사정도 마찬가지다. 보수세가 강한 TK에서 60%의 지지율을 보여 박근혜(80%) 이명박(71%) 전 대통령의 득표율에 한참 떨어진다. 반면 일부 여론조사에서 이·윤 후보는 각각 약세 지역인 TK와 호남에서 20~26%, 10~18%라는 역대급 지지율을 보인다.

이처럼 대선에서 지역색이 옅어지는 것을 두고 여러 분석이 나온다. 먼저 후보 리스크가 넘쳐 나는 역대급 ‘비호감 선거’로 전통적 지지층 이탈이 가속화됐다고 본다. 이재명 후보가 TK(안동) 출신인 점이나 두 후보가 당내 경선주자들과 뒤늦게 ‘원팀’을 이룬 점도 영향을 끼쳤을 것으로 본다. 이와 함께 국민의당 안철수 후보라는 중도층의 대안이 생긴 점도 이유로 꼽힌다. 실제 19대, 17대 대선에서도 각각 국민의당 안철수, 무소속 이회창 후보가 출마해 상당수 표가 분산됐다.

나아가 이 같은 현상이 ‘탈지역주의’ 효과라는 평가에도 무게가 실린다. 지역주의에 대한 국민적 거부감과 2030세대의 실용주의적 투표 성향 등으로 나타나는 결과라는 것이다. 지역주의는 1987년 제13대 대선에서 민정당 노태우 후보에 맞선 야권 단일화가 수포로 돌아가면서 본격화됐다. ‘1노 3김 체제’(노태우 TK, 김영삼 PK, 김대중 호남, 김종필 충청)가 지역주의로 굳어지게 된 셈이다. 기득권 세력의 권력 연장 수단으로 지역주의가 조장됐던 것이다.

탈지역주의 추세에 따라 3·9 대선부터는 후보들의 선거전략도 바뀌고 있다. 확실한 곳은 없다는 인식하에 영호남 모두 표심 공략에 공을 들이는 모습이다. 각각 영남과 호남을 후방 텃밭으로 여기고, 수도권에 화력을 집중하던 모습과 많이 달라진 것이다. 지난 15일 대구를 찾은 이 후보는 “좌파정책이냐 우파정책이냐를 가리지 않는다”고 말했고, 윤 후보는 16일 광주에서 “저는 지역주의라는 거 자체가 없다”고 강조했다.

탈지역주의가 확산할 경우 여파가 상당할 것으로 보인다. 이로써 “(보수 또는 진보정당)깃발만 꽂으면 이긴다”던 영호남 지방선거도 요동칠 전망이다. 현재 심각한 것은 수도권 집중으로, 영호남을 넘는 ‘지역의 연대’가 시급한 상황이다. 지역소멸 상황에서 동병상련의 처지인 것이다. 정치개혁 공동행동 박재율 공동대표는 “지역 간 분열은 균형발전을 지체시키고 수도권 집중을 초래했다”며 “이번 대선에서 정치적 지역주의가 해소돼야 하며, 현재 그런 기미가 보인다는 점은 고무적”이라고 말했다.

한편 인용된 여론조사의 자세한 내용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를 참조하면 된다.

이승훈 기자 lee88@busan.com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