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버지 이어 아들도 건국훈장 애족장 추서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김홍권

3·1절 103주년을 맞아 경남에서 처음으로 아버지에 이어 장남도 건국훈장 애족장을 추서받는 항일독립운동 부자(父子)가 탄생했다.

추경화(72) 진주문화원 향토사연구실장은 경남지역 미포상 독립운동가 6명을 발굴, 올해 3·1절을 맞아 건국훈장 애족장 2명, 대통령 표창 4명 등 미포상 항일독립운동가 6명에 대해 정부 서훈이 추서됐다고 28일 밝혔다.

김홍권·김병성 부자 ‘경남 1호’
독립운동가 6명, 정부 서훈 추서

건국훈장 애족장이 추서된 김병성(1910~1954)지사는 앞서 1990년 건국훈장 애족장이 추서된 김홍권(1892~1937)지사의 장남이다. 아버지와 함께 항일독립운동을 펴다 2년간 서대문감옥에서 옥고를 치렀고, 북한에서 별세한 것으로 추정된다.

하동군 양보면 운암리 출신인 이들 지사는 경남 최초로 부자가 항일독립운동으로 건국훈장을 추서받아, 이 부문 경남 1호를 기록하게 됐다.

아버지 김홍권 지사는 1909년 백산 안희제·윤병호 등 경상도의 지식 청년들이 민족 해방 운동을 위해 결성한 대동청년당에 가입해 지하공작 활동을 폈다. 1919년 4월에는 상해임시정부 의정원 의원과 재무위원에 선출됐다. 그해 5월 제4차 대한민국 임시의정원 의결에 따라 윤현진·조동진 등과 함께 경상도 지방의 구급 의연금 모집위원으로 선임돼, 경남도 지역 책임위원을 맡아 활동했다. 천석지기 전 재산을 독립운동에 바치고 광복을 보지 못한 채 1937년 별세했다. 정부는 1990년 건국훈장 애족장을 추서했다.

아들 김병성은 사회주의적 독립운동을 폈다는 이유 등으로 그동안 정부 서훈을 받지 못하다가 이번에 항일독립운동이 인정돼 아버지에 이어 건국훈장 애족장이 추서됐다.

함께 건국훈장 애족장이 추서된 박해근(1911~1955)지사는 산청군 단성면 사월리 출신으로 1995년 단성면에 건립된 산청항일유공자 추모비에 새겨진 분이다.

일제강점기 산청 삼장면에서 일본 왕 초상화에 붓으로 마가, 우가 등 짐승 그림을 그려 일본 경찰에 체포됐다. 대구복심법원에서 보안법 위반으로 징역 1년형을 받고 김천소년형무소에서 옥고를 치렀다.

이 외에 1919년 경남 고성에서 기미독립만세운동을 펼치다 일본 헌병의 칼에 부상을 입고 체포돼 숨진 김영찬(1889~미상)등 선열 4명에게 대통령 표창이 추서됐다. 이선규 기자 sunq17@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