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정부지’ 국제유가, 해양플랜트 수주 ‘봄날’ 부르나?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우크라이나 전쟁 여파 등으로 유가가 치솟으면서 조선산업 의존도가 높은 거제 등 지역사회가 기대감을 높이고 있다. 해양플랜트 수주가 봇물을 이루면 경제위기 극복의 돌파구를 찾을 수 있기 때문이다. 대우조선해양이 건조한 드릴십. 부산일보DB

국제유가가 천정부지로 치솟으면서 조선업계의 시선이 해양플랜트에 쏠리고 있다. 유가 폭락으로 극심한 침체기를 겪었던 발주 시장이 고유가를 등에 업고 되살아날 조짐을 보이기 때문이다.

거제를 비롯한 지역사회는 일자리 창출과 경기 활성화에 기대감을 내비치고 있다. 반면 지금의 상승세가 얼마나 지속할지 미지수인 데다, 앞선 해양플랜트 악재 후유증을 온전히 털어내지 못한 상황이라 여전히 조심스럽다는 반응도 나온다.

고유가 덕분 설비 발주·가스전 개발 특수
일자리·소비 확대 등 지역경제 발전 기대
유가 폭락·유전 개발 경제성 하락 땐 낭패
프로젝트마다 맞춤형 설계, 리스크 줄여야

7일 조선업계에 따르면 전날 국제유가가 배럴당 130달러 선을 돌파했다. 이날 브렌트유는 장중 한때 18% 폭등해 139.13달러에 거래됐고, 서부 텍사스산 원유(WTI)는 130.50달러까지 치솟았다. 이는 2008년 이후 최고가다.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사태와 이란 핵 협상 지연 여파 때문이다.

조선업계는 해양플랜트 시장을 주목하고 있다. 해양플랜트는 깊은 바다에 매장된 원유나 가스를 해상에서 탐사·시추·발굴·생산 하는 설비다. FPSO(부유식 원유생산 저장·하역·설비), FLNG(부유식 액화천연가스 생산·저장·하역 설비), 드릴십(Drill ship) 등을 가리킨다. 고도화된 기술과 첨단 설비가 필요해 조선기술의 총아로 불린다. 1기당 우리 돈 1조 원을 호가하는 대형 프로젝트다. 선박 중 가장 비싼 LNG 운반선 4~5척과 맞먹는 가격이다.

관건은 원유 단가다. 배럴당 최소 60달러 이상은 돼야 채산성이 있다. 해양플랜트 시장이 활발했던 2010년대 초 국제유가는 120달러를 웃돌았다. 코로나19 악재에도 지난해 해양플랜트 발주가 재개된 것도 고유가 덕분이었다. 올해도 일단 첫 단추는 끼운 상태다. 올 1월 대우조선해양이 미국 셰브론사로부터 가스전 제어 설비(FCS) 1기를 수주하며 마수걸이에 성공했다.

업계 관계자는 “브라질과 동남아 등에서의 채산성 있는 유전에 대한 생산 확대 가능성이 높다”면서 “우크라이나 사태로 원유 수급이 원활하지 않은 상황에 유럽을 중심으로 LNG 수급 불안이 가중될 경우 가스전 개발 확대로 이어질 수 있다”고 전망했다.

지역 사회는 해양플랜트 수주 증가에 따른 낙수 효과를 기대하고 있다. 조업 규모가 크고, 분야가 다양한 해양플랜트는 일반 선박 건조보다 더 많은 노동자를 필요로 한다. 유동 인구 증가와 소비 확대가 지역 경제 활성화로 이어질 수 있다는 판단이다.

경제단체 관계자는 “사업장이 있는 거제는 물론, 연관 조선기자재 업체가 밀집한 통영, 고성도 상당한 시너지를 누릴 수 있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하지만 자칫 지난 해양플랜트 부실을 되풀이 할 수도 있다는 점에서 신중해야 한다는 지적도 나온다.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선박 발주가 급감하자 해양플랜트로 눈을 돌린 조선 3사는 2013년 이후 전 세계 해양플랜트 발주의 70%를 쓸어 담았다. 이맘때 업계는 해양플랜트를 ‘구세주’라 불렀다.

그런데 유가 폭락으로 심해 유전 개발 경제성이 떨어지면서 한순간에 애물단지가 돼 버렸다. 발주는커녕, 이미 건조 중이거나 건조가 완료된 설비조차 선주사가 인수를 거부했다. 무리한 수주 경쟁도 독이 됐다. 해양플랜트는 표준화된 선박과 달리 프로젝트마다 맞춤형 설계를 해야 한다. 그러나 당시만 해도 경험이 부족했던 터라 공정을 진행할수록 설계 비용과 건조 단가 간 오차가 컸다.

결국 조 단위 프로젝트마다 천문학적 손실이 발생했고, 최악의 경영 위기와 조선 산업의 위기를 초래한 ‘부실 원흉’이 됐다.

업계 관계자는 “과거만큼은 아니지만 불안 요소는 여전하다. 무엇보다 유가 의존도가 높다 보니 리스크도 크고, 아직 (해양플랜트) 부실을 떠안고 있어서 발주가 돼도 섣불리 나서지 못하는 형편”이라고 전했다.

김민진 기자 mjkim@busan.com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