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은·수은 동반 이전 땐 동남권 폭발적 ‘시너지’
대형 국책은행인 산업은행과 수출입은행이 함께 부산으로 이전하면 부산은 단번에 글로벌 금융중심지로 발돋움할 토대를 마련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들 두 은행은 또 국내 정책금융의 양대 앵커기관으로 지역에서 큰 시너지 효과를 내면서 부산·울산·경남 산업 환경을 수도권에 버금가는 규모로 발전시키는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6일 부산시와 금융계 등에 따르면 부산에 본점을 둔 산업은행과 수출입은행은 막대한 정책금융 자금을 기반으로 동남권 산업 환경을 한 단계 업그레이드할 것으로 전망된다. 현재 산업은행의 자본금은 약 30조 원이며 국내 정책금융의 약 70%를 집행하고 있다. 직원 수만 3300여 명이다. 수출입은행 역시 현재 자본금 11조 8700억여 원에 직원 수는 1200여 명에 달한다. 두 은행 모두 2019년 연결기준 영업이익이 8000억~9000억 원 수준을 기록했다.
지역산업계에선 무엇보다 막대한 정책금융 자금이 동남권 기업에 보다 신속히 지원돼 그동안 정책 자금에서 소외돼 있던 지역기업들의 숨통이 트일 것으로 기대한다.
산업은행이 유망 제조업의 육성에 집중한다면, 수출입은행은 이들 업체의 수출입에 필요한 다양한 금융을 제공한다. 수출입은행은 기업의 자본재수출과 주요자원 수입, 해외투자와 해외자원개발 등 대외경제협력에 필요한 금융을 제공하는 것을 주목적으로 하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수출입은행의 경우 일반기업 여신도 하지만 대외경제협력기금을 집행하고 남북경협 등도 맡고 있다는 점에서 지역 산업계에 미치는 영향은 예상보다 더 클 것”이라며 “이는 또한 벤처기업, ESG경영, 그린뉴딜 기업 등 미래지향적인 산업 지원에 집중하는 산업은행의 역할과 맞물리면 동남권에 폭발적인 시너지 효과를 가져올 것”이라고 전망했다.
여기다 이들 은행의 동시 이전 때 금융회사, 투자사 등 연관 기업이 부산으로 함께 이전할 가능성이 높아져 지역 금융중심지의 규모 자체가 확대될 전망이다. 부산시 관계자는 “이들 은행과 부산으로 이전한 금융공기업, 연관 기업들이 부산에서 다양한 금융상품을 만들어 낼 것이다. 이들이 일으킬 시너지 효과로 부산발 금융혁신이 일어나고 부산은 동남권 메가시티로 확대될 것”이라고 말했다.
또 김인현 고려대 교수는 이들 은행의 부산 이전으로 부산이 ‘선주사의 메카’로 발전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선주사는 운송계약을 체결하지 않고 배만 소유한 업체를 지칭한다. 김 교수는 “해양금융종합센터가 가동되고 있지만 정책금융기관의 본점이 부산에 내려오는 것은 차원이 다르다”며 “이들 은행이 선박에 직접 투자해 국내에서는 지지부진한 선주사를 육성할 수도 있으며, 부산에서 선주사들이 300척의 선박을 소유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고 말했다.
이 밖에 지역 상공계는 지역인재할당제를 통해 부산지역 대학 출신들의 산업은행과 수출입은행 취업, 본점 유치를 통한 수백억 원의 지방세 수입 등도 지역균형발전에 큰 역할을 할 것이라고 평가한다. 또 산업은행과 수출입은행이 전 세계 금융기업들과 거래를 활발하게 하는 점도 글로벌 금융중심지를 지향하는 부산에 힘이 될 전망이다.
이주환·김 형 기자 jhwan@busa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