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력제조업 집적 동남·대경권 성장잠재력 지속 하락
산업연구원이 디지털경제 시대의 핵심 성장요인에 기반한 지역성장잠재력을 분석한 결과, 우리나라 주력제조업이 집적된 동남권(부산·울산·경남)과 대경권(대구·경북)의 상대적 성장잠재력 저하가 심각한 문제로 대두했다.
이에따라 지역성장잠재력 특성에 기반한 맞춤형 지역산업 육성정책과 함께 더불어 지역기업과 사람에 체화된 기술혁신 역량 강화가 필요한 것으로 지적됐다.
산업연 보고서, 수도·충청권 월등
부산, 기업·인적자본 역량 취약
17일 산업연구원(KIET)이 발표한 ‘지역성장잠재력 분석과 정책시사점’ 보고서에 따르면, 초광역권별로 수도권·충청권과 다른 경제권역(초광역권) 간 차이가 두드러졌다.
산업연구원은 지역성장잠재력(RGP)을 지역성장 성과(Y), 기업·산업 역량(K), 인적자본 역량(H), 지역혁신 역량(I), 지역사회 역량(S)의 합으로 정의하고, 초광역권 및 광역시·도 단위 지역성장잠재력 지수를 산출·분석했다.
분석결과, 수도권과 충청권이 높은 성장잠재력을 유지하면서 국가 성장을 주도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수도권·충청권과 그 외 초광역권 간의 성장잠재력 격차가 더욱 확대되는 경향을 보였다.
초광역권별 지역성장잠재력 종합지수 추이를 살펴보면, 2020년에 수도권이 충청권을 제치고 다시 1위로 부상하는 등 수도권과 충청권의 월등한 지역성장잠재력 종합지수 우위가 지속되고 있다. 반면에 주력제조업 집적지역인 동남권(부산·울산·경남)과 대경권(대구·경북)의 성장잠재력은 지속적으로 하락하고 있다.
실제로 동남권의 순위는 2010년과 2015년 5위에서 2020년 6위로 하락했고, 대경권 역시 2010년 3위에서 2020년 5위로 밀렸다. 산업성장이 상대적으로 뒤쳐졌던 호남권과 강원제주권은 성장잠재력이 상승 추세이다.
광역시·도별로는 1~3위 위상을 가진 서울·대전·세종, 지난 10년간 3~7위의 높은 지역성장잠재력을 유지하고 있는 경기·충남·충북, 성장잠재력이 매우 취약한 부산과 대구, 우리나라 주력제조업의 집적지역인 경남·경북·전북·전남, 성장잠재력이 상승 추세인 강원·제주 등 5개 그룹으로 나뉜다.
부산과 대구는 모두 우리나라 주력제조업의 집적지역인 경남과 경북을 포함한 동남권과 동북권의 중추도시이지만, 기업·산업 역량이나 인적자본 역량, 지역혁신 역량 등이 모두 취약해 디지털경제 시대에 지역성장을 주도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평가됐다.
보고서는 “우리나라 주력제조업의 집적지역인 동남권과 대경권의 상대적 성장잠재력 저하가 심각한 문제”라며 “국가 전체 성장잠재력 악화의 주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이는 이들 지역의 산업구조 고도화와 산업성장 역량 강화가 지역 간 균형발전 뿐만 아니라 국가 산업정책 차원에서도 중요한 과제임을 의미한다”고 제언했다. 송현수 기자 song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