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은 소비도시?…소매업 취업자 비중 전국 1위

김덕준 기자 casiopea@busan.com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음식·주점,사회복지업 뒤이어
울산 제조업, 경남 농업 비중 1위
전국 배달원 수 43만 명 육박

부산에서는 소매업에 종사하는 사람이 가장 많고 이어 음식점 및 주점업인 것으로 나타났다. 소매업이란 음식료품 가전제품 옷 신발 생활용품 등 일상생활에 쓰이는 다양한 물건을 판매하는 업종을 말하는데 대형마트 편의점 가전제품판매점 등을 모두 포함한다. 부산일보 DB 부산에서는 소매업에 종사하는 사람이 가장 많고 이어 음식점 및 주점업인 것으로 나타났다. 소매업이란 음식료품 가전제품 옷 신발 생활용품 등 일상생활에 쓰이는 다양한 물건을 판매하는 업종을 말하는데 대형마트 편의점 가전제품판매점 등을 모두 포함한다. 부산일보 DB

산업중분류(77개)로 취업자를 나누면 부산에서는 소매업에 종사하는 사람이 가장 많고 이어 음식점 및 주점업인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소매업 취업자 비율이 전국에서 가장 높았고 음식점 및 주점업에 종사하는 사람 비율도 꽤 높은 것으로 집계됐다.

통계청이 19일 발표한 ‘2021년 하반기 취업자의 산업 및 직업별 특성’에 따르면 부산 취업자 166만명을 산업중분류로 나누면 △소매업 9.0% △음식점 및 주점업 8.5% △사회복지서비스업 7.0% △교육서비스업 6.6% △전문직별 공사업 5.8% 순이었다.

소매업이란 음식료품 가전제품 옷 신발 생활용품 등 일상생활에 쓰이는 다양한 물건을 판매하는 업종을 말한다. 사회복지서비스업은 요양원과 간병인 등의 업종을 말하며 교육서비스업은 초·중·고 학교에 근무하는 교사, 학원 강사 등을 뜻한다. 전문직별 공사업은 건설업 중에서 전문공사, 전기·통신 공사, 인테리어, 시설물 유지관리 등을 말한다.

부산의 경우 소매업에 취업해 있는 사람이 9.0%로, 전국 17개 시도에서 가장 비율이 높았고 음식점 및 주점업에서 일하는 사람도 8대 특광역시 중에서 광주 다음으로 높았다.

반면 울산은 공업도시답게 자동차및 트레일러 제조업 종사가가 10.8%로 다른 지역에 비해 두드러지게 많았다. 경남은 농업이 11.7%로 최다였다.

이와 함께 취업자는 산업이 아니라 직업별로도 분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산업으로는 교육서비스업에 속하는 사람이 직업별로는 학교교사, 학원강사 등으로 분류되는 것이다.

부산에서는 직업중분류(51개)로 취업자를 나누면 △경영및 회계관련 사무직 15.5% △매장판매 및 상품대여직 8.0% △조리및 음식서비스직 6.7% △보건사회복지 및 종교관련직 5.7% △운전 및 운송관련직 5.6%였다. 특히 매장판매 및 상품대여직은 전국 17개 시도 중에서 비중이 가장 높았다.

한편 전국적으로 음식 배달과 택배 배송 등에 종사하는 배달원 수가 지난해 10월 기준 42만 8000명으로, 코로나19 이전인 2019년 10월보다 22.6% 늘었다. 돌봄 및 보건 서비스 종사자는 1년 전보다 12.0%가, 사회복지 관련 종사자는 7.8% 증가했다.

김경희 통계청 고용통계과장은 “인구 고령화에 따라 요양보호사, 간병인 수요가 늘고 있는데다 코로나19 상황이 겹친 것이 돌봄 서비스 종사자 증가에 영향을 미쳤다”고 말했다.

요식업 쪽을 보면 조리사가 103만 8000명으로 8.0% 늘어난 반면 식음료 서비스 종사자는 51만 6000명으로 6.8% 감소했다. 식음료 서비스 종사자 감소는 셀프서비스나 키오스크, 무인 가게 확대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전체 취업자의 임금수준을 살펴보면 △100만원 미만 10.0% △100만~200만원 미만 18.6% △200만~300만원 미만 34.1% △300만~400만원 미만 18.1% △400만원 이상 19.2% 였다.


김덕준 기자 casiopea@busan.com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