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 독주·무기력·줄투표… ‘트리플 악재’ 시달리는 PK 민주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더불어민주당 부산·울산·경남(PK) 지방선거 출마자들이 극도의 불안감에 휩싸여 있다.

중앙당의 일방적인 국회 운영으로 민주당의 지지도가 급락한 데다, 현역 의원을 포함한 PK 정치인들이 극도의 무기력한 모습을 보이고 있어서다. 여기에 ‘줄투표’ 경향이 더욱 심화될 조짐마저 보인다. 그야말로 ‘트리플 악재’에 민주당 PK 지선 출마자들이 맥을 못추고 있는 것이다.

‘검수완박’ 법안 반대 여론 3배
지역 정치인 존재감마저 없어
특정 정당 표 집중 현상도 우려
“특단의 대책 마련해야” 목소리


민주당은 야당인 국민의힘의 강력 반대와 부정적 여론에도 검찰청법과 형사소송법 등 이른바 ‘검수완박(검찰 수사권 완전 박탈)’ 관련법을 잇따라 일방적으로 처리했다. 윤석열 정부 주요 인사들에 대한 인사청문회도 사사건건 반대하고 있고, ‘중대범죄수사청(중수청)’ 설치법안도 강행 처리할 방침이다. 민주당 지도부가 과반 의석(168석)을 앞세워 ‘국회 독주’를 계속하고 있는 셈이다.

이처럼 중앙당이 ‘다수당의 횡포’에 집착하고 있는 사이, 부울경의 민심은 민주당으로부터 멀어지고 있다. 엠브레인퍼블릭·케이스탯리서치·코리아리서치·한국리서치가 지난 2~4일 전국 성인 1002명을 대상으로 공동 실시한 ‘전국지표조사’(신뢰수준 95%, 표본오차 ±3.1%포인트.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 참조)에서 단적으로 드러난다.

우선 검찰청법의 국회 통과에 대해 ‘잘된 일’이란 응답이 PK에서 21%에 불과한 반면 ‘잘못된 일’이란 답변은 3배가 넘는 62%나 됐다. PK지역의 문재인 대통령 국정 지지도(36%)도 부정평가(61%)보다 훨씬 낮았고, 특히 부울경 정당 지지도는 민주당(16%)은 10%대 중반으로 떨어졌고, 국민의힘(59%)은 60%에 육박했다. 지방선거 성격과 관련, 부울경에선 ‘국민의힘 지지론’(65%)이 ‘민주당 지지론’(26%)보다 압도적으로 높았다.

정치권의 한 관계자는 “민주당 지도부가 PK 지선을 망칠 생각이 아니라면 이런 식으로 국회를 운영할 수 없다”고 맹비난했다.

현역 의원을 포함한 민주당 PK 정치권도 극도의 무기력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 대선 전까지 부울경 광역단체장 출마에 적극성을 보였던 민주당 PK 현역 의원들은 정권 재창출에 실패한 뒤 전원 불출마로 돌아섰고, 원외 지역위원장들은 존재감조차 찾아 보기 힘들다. 변성완 부산시장 후보를 포함한 부울경 지선 후보들은 일제히 “원내외 위원장들이 좀 더 적극적으로 지선에 임해 줬으면 좋겠다”는 입장을 공·사석에서 밝히고 있다. 심지어 일부 기초단체장 출마자는 “현역 의원들은 ‘이번 지선에서 져야 2년 후 총선에서 민주당이 유리해진다’고 생각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무엇보다 부울경 광역단체장 선거에서 국민의힘에 상대적으로 유리한 국면이 조성되면서 ‘줄투표’ 경향이 심화될 조짐마저 보이고 있다. 줄투표란 광역·기초단체장과 광역·기초의원 선거에서 특정 정당 후보에게 표를 몰아주는 것을 말한다. 특히 부산에선 박형준 현 시장의 우위 구도가 강화되면서 민주당 소속 지선 후보들에게 상당히 불리한 여건이 조성되고 있다.

한때 부산 북, 남, 부산진, 해운대, 사하 등 일부 지역에서 민주당 소속 현직 기초단체장이 선전할 것이란 관측이 많았지만 이마저도 장담하기 힘들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모 선거전문가는 “부산의 일부 지역에서 국민의힘의 심각한 공천 후유증이 감지되고 있지만 박형준 시장의 인기가 좋아 민주당이 상당히 힘든 상황이 됐다”고 했다.

지난달까지 “부산 기초단체장 선거에서 5곳 정도는 민주당이 이길 것”이라고 예측했던 국민의힘 소속 유력인사도 5일 “최근 들어 줄투표 경향이 다시 나타날 조짐을 보이고 있어 국민의힘의 압승이 예상된다”고 말했다. 다른 전문가는 “2018년 7회 지방선거 이전의 상황이 재연될 가능성이 높다”고 했다. 1995년 지방자치제가 도입된 이후 6회 지선 때까지 민주당 계열의 정당은 부산 지선에서 광역은 물론 기초단체장을 단 1명도 배출하지 못했다. 부울경의 지방권력이 4년 만에 다시 보수 정당으로 넘어갈 공산이 크다는 얘기다. 민주당에서 특단의 대책이 필요한 이유다.

권기택 기자 ktk@busan.com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