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가 급등에 국민고통지수 2015년 이후 최고치"

이주환 선임기자 jhwan@busan.com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물가 상승률과 실업률로 국민의 경제적 고통 정도를 측정하는 '국민고통지수'(misery index)가 올해 들어 최고치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국경제인연합회 산하 한국경제연구원(한경연)은 올해 1분기 국민고통지수가 10.6을 기록, 2015년 1분기부터 분기별 지수를 산출해온 이래 가장 높았다고 5일 밝혔다.

이 지수는 미국의 경제학자 아서 오쿤이 고안한 것으로 소비자물가 상승률에 실업률을 더해 구한다.

한경연은 실업자에 '시간 관련 추가 취업 가능자'(노동 시간이 주 36시간 미만이면서 추가 취업을 희망하고 추가 취업이 가능한 사람)를 더한 수를 실업자로 보는 '확장실업률'을 적용해 2015년 1분기부터 국민고통지수를 산출해왔다.

산출 결과 국민고통지수는 분기별로 등락하며 2020년까지는 10 아래에 머물렀으나 코로나19에 따른 봉쇄조치 등으로 확장실업률이 9.1%로 정점을 찍은 지난해 1분기에 10.5로 치솟았다.

같은 해 3분기에는 확장실업률이 6.6%로 낮아져 9.1로 떨어졌다가 1분기부터 국제원자재 가격 고공행진에 따른 소비자물가 급등으로 9.8로 높아졌으며 올해 1분기에 10.6으로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

이는 국민고통지수 산출 기간(2015년 1분기∼올해 1분기) 평균치 7.7의 1.38배에 달한다.

확장실업률 대신 공식 실업률을 적용해 산출한 올해 1분기 국민고통지수도 7.3으로 2015년 1분기 이후 최고였다고 한경연은 전했다.

한경연은 아울러 소비자 물가가 아직 생산자 물가에 비해 상대적으로 완만한 상승세를 나타내고 있으며, 이는 기업들이 국제원자재 가격 급등에 따른 원가 부담 일부를 자체 흡수하고 있기 때문으로 관측했다.

한경연은 "향후에도 국제원자재 가격 급등이 지속되면 기업들의 원가부담 흡수 여력이 약해져 소비자 물가도 생산자 물가처럼 가파른 상승세를 보일 가능성이 높다"고 전망했다.

실업률은 확장 실업률과 공식 실업률 모두 상승세를 보이는 가운데 상대적으로 확장 실업률이 공식 실업률의 상승세보다 가파른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이번에 산출한 국민고통지수를 기초로 이 지수 상승이 민간 소비에 미치는 영향의 정도를 가늠해보니 전년 동기 대비 국민고통지수 증가율이 1%포인트(P) 높아지면 민간소비 증가율은 0.13%포인트 낮아졌다고 한경연은 설명했다.

국민고통지수 상승이 가계의 구매 여력을 위축시키고 있다는 것이다.

추광호 한경연 경제정책실장은 "국민고통지수가 높아지면 소비 위축 등 경제 악영향으로 실업이 증가해 지수가 다시 높아지는 악순환에 빠질 수 있다"고 지적했다.

추 실장은 이어 "부족한 재정여력, 취약한 민간 금융 방어력 등으로 거시 정책 운용의 한계가 존재하는 만큼 기업의 활력 제고를 통한 경제의 총공급 능력 확충으로 물가를 안정시키고 양질의 일자리를 많이 만들어야 한다"고 제안했다.


이주환 선임기자 jhwan@busan.com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