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에도 ‘판교테크노밸리’식 ‘디지털 거점’ 만든다…지역 디지털 생태계 조성 전략 발표
정부가 ‘판교테크노밸리’와 같은 ‘디지털 산업 거점’을 지방에도 만들겠다는 방침을 밝혔다. 지방자치단체가 특정 지역을 추천하면 정부가 ‘디지털 거점’으로 지정해 관련 사업과 지원을 집중하겠다는 계획이다. 정보통신기술(ICT) 기업의 70%가 수도권에 집중된 상황에서 지방의 ‘디지털 혁신’을 지원하기 위해서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19일 16개 시·도 관계자들이 참석한 가운데 ‘지역디지털정책협의회’를 열고 ‘지역 디지털 생태계 조성을 위한 정책방향’을 발표했다. 과기정통부는 지역 디지털 생태계 조성과 관련, “판교테크노밸리에 준하는 디지털 신산업 입지, 이른바 ‘지역 디지털 혁신거점’을 지방자치단체와 함께 조성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한국판 실리콘밸리’를 목표로 경기도 성남시 판교신도시에 조성된 판교테크노밸리는 2011년 기준 입주기업이 1697개에 달하고 입주기업 임직원은 7만 명을 넘겼다. 또 입주기업 매출은 109조 원에 달한다.
판교테크노밸리의 성공으로 지방에서도 디지털 거점을 만들려는 시도가 이어지고 있지만 ICT 기업의 수도권 집중 문제는 해결되지 않고 있다. 과기정통부에 따르면 국내 ICT 기업의 70%, ICT 종사자의 69%, ICT 매출의 79%는 수도권에 집중돼 있다. 반면 동남권(부산, 울산, 경남)의 ICT 기업 수는 전국의 9%에 머물러 있고 종사자 수는 6%, 매출은 4% 비중에 불과하다.
과기정통부는 “디지털 기업과 인재 등의 수도권 쏠림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지역에도 청년 소프트웨어 인재들이 선호할만한 매력적인 입지가 필요하다”면서 “정주여건이 우수하고 젊은인재가 선호하는 지역 도심에 지자체가 디지털 신산업에 적합한 요건(기업입주공간, 주거·문화·교통 등)이 갖추어진 입지를 마련하면, 과기정통부에서 해당 입지를 디지털 혁신거점으로 지정하고 지역 디지털 혁신 정책·사업을 집중”하겠다고 밝혔다. 디지털 혁신 거점 지정은 2023년부터 순차적으로 시작된다.
과기정통부는 디지털 혁신 거점에 대해 “지역내 디지털 인프라를 혁신 거점에서 도보 30분 이내 거리로 이전해 집적”하는 방식을 제안했다. 이렇게 집적된 디지털 거점에 국토교통부의 ‘도심융합특구’나 산업통상자원부의 ‘경제자유구역’ 등 기존 특구 제도를 활용한 지원을 실시한다는 방침이다. 또 장기적으로는 16개 디지털 거점을 ‘초광역 5대 지역 디지털 혁신 거점’으로 만들겠다는 계획도 밝혔다.
기업 유치를 위해서는 디지털 기술 밀착 지원, 기업 간 교류회 등 네트워크, 디지털 혁신거점 특화 자금조달 등 지원방안을 마련하고, 이노베이션스퀘어 등 지역 디지털 인재양성 사업의 확대·개편도 추진한다. 과기정통부는 이와 관련, 9월 지역 디지털 생태계 조성전략을 발표하겠다는 계획을 밝혔다. 또 내년 상반기에 새로운 지역 디지털 혁신 사업을 추진하고 디지털 혁신 거점 지정을 시작하겠다는 로드맵을 제시했다.
한편 이날 협의회에 참석한 지자체들은 지역별 주요 정책 현안을 소개하며 과기정통부의 적극적인 협력을 요청했다. 부산은 사상(전통산업)-센텀(디지털산업)-영도(해양산업)을 잇는 ‘ICT 트라이앵글’ 구축을 현안으로 제시했고 울산은 조선·해양플랜트 산업의 침체기를 극복하기 위한 ‘디지털 융복합 기술개발’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경남은 주력산업 디지털 전환을 위한 첨단 신산업 육성과 디지털 생태계 조성을 현안으로 제시했다.
김종우 기자 kjongwoo@busa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