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방 기술 발전·예산 절감 이유로…아파트 방재 인력 태부족

김성현 기자 kksh@busan.com , 이대성 기자 nmaker@busan.com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대단지 아파트에 방재 담당 1명
방재 인력 확충 법령 마련 시급

대단지 아파트도 소방 기술 발전과 예산 절감을 이유로 방재 인력을 줄이는 추세다. 사진은 기사와 관계 없음. 대단지 아파트도 소방 기술 발전과 예산 절감을 이유로 방재 인력을 줄이는 추세다. 사진은 기사와 관계 없음.

화재로 가족 3명이 숨지는 참사가 빚어진 부산 해운대구 고층 아파트(부산일보 6월 28일 자 8면 등 보도)는 2700여 세대에 달하는 대단지 아파트임에도 화재에 상시 대응이 가능한 방재 담당자가 단 1명만 배치돼 근무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아파트가 점차 대단지화되고 있지만 소방기술 발전과 아파트 관리 예산 절감 등의 이유로 오히려 방재 인력은 줄어드는 추세다. 발 빠른 화재 대응을 위해 방재 인력을 아파트 세대수 등을 고려해 확충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28일 〈부산일보〉 취재를 종합하면 화재 예방을 담당하는 아파트 방재 인력이 계속 줄어들고 있다. 방재 인력 감축의 원인으로 화재감지기 등 소방시설의 기술 발전과 경비 시스템의 일원화, 예산 절감 등이 꼽힌다. 아파트 화재 대응 체계는 화재 수신기로 각 세대에 설치된 화재감지기를 총괄 관리하면서 화재경보가 울리면 방재 담당 직원이 직접 가 화재 여부를 직접 확인하는 방식이다. 예전에는 한 아파트 단지에 여러 개의 경비실이 있었고, 경비실마다 아날로그 방식의 ‘P형 화재 수신기’가 설치돼 있었다. P형 화재 수신기는 일정 세대 수만큼만 화재 수신을 할 수 있어 수신 용량에 제한이 있었다. 따라서 경비실마다 일정 세대 수만큼의 화재감지기와 연결된 화재 수신기가 설치돼 있었고, 경비실마다 근무하는 경비 직원들이 이를 관리하며 화재에 대응했다.

하지만 새로 들어서는 신축 아파트들의 경우에는 하나의 통합관리센터에서 경비와 화재 대응을 총괄하는 시스템을 적용하고 있다. 소방 기술의 발전 등으로 수천 세대까지 하나의 화재 수신기로 화재감지 상황을 확인할 수 있는 디지털 형태의 ‘R형 화재 수신기’가 상용화된 것도 통합관리센터에서 화재 대응을 일원화하는 계기가 됐다. 임옥근 동아대 경찰소방학과 교수는 “요즘은 단 1대의 화재 수신기로 수천 세대의 화재 경보를 감지할 수 있어 오히려 방재 인력은 줄어들었다”고 밝혔다. 아파트 방재 담당자 근무 인원수에 대한 법령이나 지침은 전혀 없다. 방재 담당자 근무 인원수는 통상적으로 입주자대표회의 측에서 예산 등을 고려해 자체적으로 정한다. 이번에 화재 참사가 발생한 아파트는 방재 인력 여러 명이 화재 예방과 대응을 위해 1명씩 3교대로 24시간 당직 근무를 서고 있다. 상시 대응이 가능한 방재 인력은 1명인 셈이다. 2700여 세대에 달하는 대단지 아파트임을 감안할 때 비상 시 발 빠른 대응을 하기에는 한계가 있다는 지적이 나오는 이유다. 소방 전문가들은 방재 인력 의무 배치 기준을 강화하는 법령이나 지침을 만들어야 한다고 조언한다. 류상일 동의대 소방행정학과 교수는 “아파트 세대수에 비례해서 방재 인력 숫자를 배치하는 쪽으로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말했다.


김성현 기자 kksh@busan.com , 이대성 기자 nmaker@busan.com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