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구 밖으로 눈 돌리면 다양한 ‘다른 근대’가 있다

최학림 선임기자 theos@busan.com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18~19세기 한국문학, 차이의 근대성 / 이도흠

근대, 서로가 서로에게 침투돼서 열려
서구 중심주의 ‘동일성 담론’ 탈피
다양한 주체들 ‘차이의 근대성’ 강조
17~18세기 서학 만나 발전한 동학 등
한국엔 자생적으로 발달한 근대 존재

동학농민전쟁은 평등과 해방의 정신으로 조선이 도달한 근대성을 보여주었다. 사진은 드라마 ‘녹두꽃’의 한 장면. 부산일보 DB 동학농민전쟁은 평등과 해방의 정신으로 조선이 도달한 근대성을 보여주었다. 사진은 드라마 ‘녹두꽃’의 한 장면. 부산일보 DB

근대가 문제다. 〈18~19세기 한국문학, 차이의 근대성〉은 “한국민은 ‘다른 근대’를 만들어왔다”며 “이제 근대성을 성찰하면서 새로운 근대를 기획해야 한다”고 말한다. ‘다른 근대’가 문제적이고 ‘새로운 근대의 기획’이 이 책의 핵심 메시지다. ‘새로운 근대의 기획’이란 기존 근대성을 넘어서서 실존 노동 산업 민주주의 등에 이르는 21세기 복합 위기를 넘어설 수 있는 기획을 하자는 것이다. 책의 1부 ‘이론과 방법론‘은 세 편, 2부 ‘18~19세기 한국문학에서 차이의 근대성과 재현’은 일곱 편의 글을 싣고 있다.


일반적으로 근대에 이르는 여정을 영국으로 대표되는 서구의 제1의 길, 후발 자본주의 국가인 독일이나 일본으로 대표되는 제2의 길로 나누어왔다. 21세기적 통찰에 따르면 그와 다른 것이 한국의 ‘다른 근대’라는 것이다. 한국뿐 아니라 세계사적 수준에서 근대성이 작동한 것은 아주 다양하고 서로 혼종돼 있다는 것이다. 요컨대 근대의 길은 홀로 열리는 것이 아니라 서로가 서로에게 침투돼 있는 것이 세계사적 실상이라는 것이다. 한국은 18세기에 중세로부터 탈주했다. 상품화폐 발생과 상공업의 발전이 그 토대다. 그 속에서 기존 사회의 해체를 지향하면서 미래 사회의 비전을 제시한 것이 최제우의 〈용담유사〉이고, 집강소이며 동학농민혁명이다. 그런데 동학은 17~18세기 유럽(서학)이라는 타자와의 만남을 통해 가능했다. 일제강점기, 식민지 시대도 마찬가지다. 식민 저항을 통해 한국의 근대성은 여물어졌다. 식민성에 근대성이 있다는 말이 그것이다.

식민성에 근대성이 있다는 것은 서구 경우가 더 그러하다. 서구의 근대성은 식민지 수탈, 식민성을 통해 가능했다. 일본도 마찬가지다. 세계사적 차원에서 ‘근대’를 다시 봐야 한다는 것이다. 근대에 이르는 길은 제1의 길, 제2의 길이 아니라 아주 다양하다는 것이다. 아이젠스타트의 ‘복수의 근대성’, 슈미트의 ‘다종의 근대성’이 그 표현이며, 이 책은 거기서 더욱 나아가 ‘차이의 근대성’을 주장한다.

‘차이의 근대성’은 ‘새 옷을 갈아입은 탈식민 담론’으로, 원효의 사상에 뿌리를 둔 ‘화쟁 시학의 방법론’을 취한다. 동양과 서양, 근대성과 식민성이 서로 대립하는 것이 아니라 대대(待對)의 관계로 서로가 서로를 규정하고 생성시키는 불일불이(不一不二)의 관계라는 것이다. 좀 어렵기는 하다.

저자는 ‘차이의 근대성’을 분명히 하기 위해 ‘내재적 발전론’과 ‘식민지 근대화론’과 구분한다. 첫째 ‘내재적 발전론’은 유럽 중심주의를 비판하지만 결국 유럽 중심주의에 사로잡혀 있는 것이다. 자본주의 맹아론으로 ‘백남운의 〈조선사회경제사〉’ ‘김용섭의 경영형 부농’ 등이 그것이다. 근년에는 한국 중국 베트남의 과거제가 주요하게 거론된다. 공정한 선발과 능력주의에 기반한 합리적 관료제 사회가 유럽보다 앞선 아시아의 선취적 근대성이라는 주장이다. 하지만 저자는 “한국 중국 베트남의 과거제가 중세 체제를 수백 년 이상 구성했다면 그것은 서양과 다른 아시아의 중세성일 뿐”이라고 지적한다.

둘째 일제 강점이 한국을 근대화시켰다는 식민지 근대화론은 대놓고 식민 지배를 상찬하는 것이다. 이 주장은 ‘실증’을 내세우며 생각보다 더 넓게 퍼져 있다. 21세기 미국과 일본 학계, 한국 보수학계는 ‘주류’ ‘통설’을 거론하며 여기에 기울고 있다. 그러나 저자는 “일제강점기 개발 중 한국전쟁 이후까지 잔존한 것은 10분의 1 정도에 불과했다”고 지적한다. 실제, 일제가 조선에 투자한 것은 60억~70억 엔인 데 비해 조선에서 가져간 것은 440억 엔으로 6.3~7.4배 더 빼갔다. 식민지 전 기간 추정 GDP 550억 엔의 80% 이상을 유출해 간 것이다.

저자의 주장은 이렇다. 결국 ‘내재적 발전론’ ‘식민지 근대화론’, 그리고 마르크주의 문학이론가 임화의 ‘이식문학론’, 해방 후 민족주의자들의 ‘식민지 수탈론’ 등은 서구의 근대화를 근대화의 유일한 길로 삼는 ‘동일성 담론’에 뿌리를 두고 있다는 것이다. 그것의 숨겨진 얼굴이 ‘오리엔탈리즘’이다. 이런 ‘동일성 담론’을 넘어서자는 것이 아주 다양한 ‘다른 근대’이며, 이 책의 제목인 ‘차이의 근대성’이다.

‘차이의 근대성’의 함의는 뭔가. 공동체 파괴, 소외 심화, 불평등 극대화, 환경과 생명의 위기, 노동 배제, 물신주의 만연, 경쟁과 갈등 증대, 문화 종속, 기후 위기, 자본주의 체제 붕괴 위기, 4차 산업혁명으로 인한 노동 위기, 공론장 붕괴와 민주주의 위기를 유발하는 것의 뿌리에는 서구적 근대성, 동일성 담론이 있다는 것이다. 그것을 넘어설 때 다양한 주체들이 자연 환경 타자들과 연기적 관계를 맺으면서 세계를 구성하고 이의 의미를 해석하고 지향하고 실천하면서 세계를 바꿔나갈 수 있다는 것이다. 인류가 좀 더 행복해지자는 것이다. 이도흠 지음/소명출판/659쪽/5만 6000원.


최학림 선임기자 theos@busan.com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