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센텀2지구’ 환경영향평가 통과… 내친김에 ‘연내 산단 승인’까지
시, 낙동강유역청과 ‘협의’ 완료
사업 중단 6개월 만에 ‘재개’ 전망
내주 중토위 협의·11월 산단 심의
“이르면 연내 사업 승인” 자신에도
풍산·반여농산물 이전 부지 문제 등
산단 조성까지 ‘걸림돌’ 작용 예상
‘부산형 판교’를 표방하는 해운대구 센텀2지구 도시첨단산업단지 조성 사업이 환경영향평가 단계를 통과했다. 토양오염 조사를 둘러싼 갈등으로 장기 표류 위기에 처했던 사업이 다시 본궤도에 오를 전망이다. 부산시는 이르면 연내 산업단지 승인 절차를 완료해 내년에 본격적으로 보상과 착공에 들어갈 계획이다.
■토양오염조사 방식 6개월 만에 협의 완료
부산시는 낙동강유역환경청과 센텀2지구 사업의 환경영향평가 협의를 완료했다고 25일 밝혔다. 낙동강유역환경청은 23일 협의 완료를 알리며 협의한 사항을 사업계획에 반영해 달라는 내용의 공문을 부산시에 전달했다. 이로써 올해 3월 낙동강유역환경청의 환경영향평가 협의 반려로 사실상 중단됐던 사업이 6개월 만에 다시 재개될 전망이다.
그동안 낙동강유역환경청과 부산시는 사업 구역 내 풍산 부지(99만 ㎡)의 토양 오염 조사를 놓고 충돌했다. 낙동강유역환경청은 풍산 부지에서 과거 탄약류를 생산했고, 사격시험장 2곳이 운영 중이어서 토양 오염 가능성이 높다고 봤다. 그래서 공장 4개 지점에 15m 깊이의 토양에 정밀조사가 필요하다는 의견을 내놨다.
하지만 부산시는 토양 오염 정밀조사는 풍산 부지를 양도·양수하는 시점에 실시하겠다는 입장이었다. 풍산 측이 정밀조사에 난색을 표해 현실적으로 조사가 어려운 데다 관련법에 산업단지 승인 후에도 정밀조사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유로 들었다. 풍산 측은 토양 정밀 조사에서 오염이 확인될 경우, 구청으로부터 정화명령을 받아 공장 가동이 중단될 것이라는 우려를 나타냈다. 이 과정에서 방위산업체여서 공장 가동이 멈추면 국방 전력 공백이 생길 수 있다는 국방부 감사를 근거로 들기도 했다.
양쪽 입장이 팽팽하게 맞서면서 사업은 그동안 답보 상태에 빠졌다. 부산의 미래 먹거리를 창출할 핵심 사업이 장기 표류하는 데에 지역사회 우려(부산일보 6월 21일 자 3면 보도)도 높았다. 윤석열 대통령이 당선인 신분으로 찾았던 부산 첫 방문지라는 상징성이 부각되며 해당 사업지 안팎의 주민들은 강한 실망감을 나타내기도 했다. 이에 국민의힘 김미애 국회의원(부산 해운대구 을) 등 정치권이 적극적으로 중재에 나서고, 부산시도 낙동강유역환경청과 재차 협의에 나섰다. 결국 부산시와 낙동강유역환경청은 정밀조사는 아니지만, 해운대구청이 실시하는 정기 조사의 방식으로 추가로 4군데 지점를 더 조사하는 것에 합의했다.
■한 고비 넘겼지만, 풍산 이전 등 난제 산적
환경영향평가 단계를 통과하며 센텀2지구 사업은 다시 속도를 낼 전망이다. 당장 중앙토지수용위원회 협의 절차가 이르면 다음 주에 시작된다. 그동안 중토위 측은 환경영향평가 협의가 완료되면 부산시와 협의를 시작하겠다는 입장이었다. 중토위 협의는 한 달가량 소요될 것으로 보인다. 중토위 협의가 순조롭게 진행되면 11월께에 부산시의 산업단지계획 심의를 거쳐 이르면 연내 산업단지계획 승인을 마무리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부산시 관계자는 “중토위 협의에서 쟁점으로 예상되는 사안은 상당 부분 해결된 상태”라며 “이르면 연내 사업계획 승인이 가능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환경영향평가 단계를 통과하면서 센텀2지구 사업은 한 고비는 넘었지만, 산업단지 조성까지는 넘어야 할 산이 남아 있다.
가장 큰 난제는 풍산 이전 부지를 찾는 것이다. 지난해 9월 박형준 부산시장이 풍산 이전부지 원점 재검토 방침을 밝힌 후 이전 부지 마련은 답보 상태이다. 부울경 메가시티 출범을 고려한 경남과 경계 지역, 강서구, 기장군 등이 물망에 오르고 있지만 지역민 반대와 그린벨트 해제 등의 난관에 부딪쳐 별다른 진전이 없는 상태다.
반여농산물도매시장 이전도 상인과 이전 대상지 주민의 반발이 예상된다. 상인들은 상권 이전에 따른 손실 등을 감안해 현재 부지 인근을 바라는 여론이 높다. 하지만 현실적으로 대규모 부지 마련이 쉽지 않아 기장군의 도시철도 안평역 일대 등이 거론됐다. 안평역 일대는 도심과 거리가 있어 상인들 사이에 반대 여론이 나오고, 이 일대 주민들도 난색을 표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사업 일정 지연에 따른 사업비 부담도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계획보다 1년 가까이 지연되면서 보상비와 공사비는 더 늘어날 것으로 전망된다. 지난해 기준 보상비는 1조 5378억 원, 공사비는 5033억 원이 소요될 것으로 추산됐다.
송지연 기자 sjy@busa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