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조 공적자금’ 대우조선해양, 2조 원 ‘헐값 매각’ 논란
한화, 2조 유증 방식 지분 확보
14년 전 제시액의 3분의 1 수준
기존 금융 지원 연장 등 혜택도
‘신속 매각’ 초점, 헐값 논란 불러
산은 “부실 규모 커지고 상황 급변
조건부 계약, 누구라도 참여 가능”
산업은행이 대우조선해양을 한화그룹에 매각하기로 한 것은 채권단 관리 체제를 이제는 끝내야 한다는 판단이 최우선적으로 작용했다. 지난 21년 간 수차례 반복된 인수합병(M&A) 실패를 반면교사로 삼아 최대한 ‘신속한 매각’에 나선 것이다.
하지만 시장에서는 벌써부터 ‘헐값 매각’ 논란이 불거지고 있다. 인수 가격인 2조 원이 2008년 한화그룹이 써냈던 6조 원 대의 3분의 1 수준인 데다, 그간 투입됐던 공적자금 규모를 감안할 때 턱없이 부족하다는 지적이다.
27일 금융권에 따르면 한화그룹이 대우조선해양에 유상증자 방식으로 2조 원을 투자해 지분 49.3%를 얻는 것과 관련해 매각가가 적절하냐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산은은 전날 대우조선해양 민영화를 위해 한화그룹과 조건부 투자합의서(MOU)를 체결했다고 밝혔다.
인수가 확정되면 한화그룹은 지분 49.3%를 확보해 1대 주주가 된다. 산은은 기존 지분 55.7%가 28.2%로 줄어 2대 주주로 밀려난다.
한화그룹은 산은과 수출입은행 등 채권단의 지원도 얻게 됐다. 산은은 채권단의 협조를 구해 거래 종결일로부터 5년간 기존 금융지원(대출 및 크레딧라인 2조 9000억 원 등)을 연장하기로 했다. 또 수은은 2조 3000억 원에 대한 영구채 이자율을 완만하게 적용해 저금리를 유지해줄 방침이다.
하지만 2조 원의 매각 가격으로 경영권은 물론 채권단의 전폭적 지원까지 보장됨에 따라 ‘헐값 매각’이 아니냐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21년간 약 13조 원에 달하는 막대한 공적자금 투입 규모를 감안할 때 매각가 2조 원이 너무 저평가된 것 아니냐는 것이다. 또 한화그룹의 경우 2008년 대우조선해양 매각 시도 당시 6조 3000억 원 수준을 제시한 바 있다. 한화그룹 입장에서는 자신들이 원하던 매물을 약 70% 가까이 저렴한 가격에 인수하게 된 셈이다.
산은은 이 같은 ‘헐값 논란’에 선을 긋고 있다. 이미 막대한 혈세가 쓰였지만 대우조선해양의 부실 규모가 더 커지고 있고 산업 생태계 급변 상황 등을 감안할 때 한화그룹 외에 다른 주인을 찾는 것이 쉽지 않다고 반박한다.
강석훈 산은 회장도 전날 기자간담회에서 “경영컨설팅 결과 현재 경쟁력 수준과 시장 환경에서는 자력에 의한 정상화 가능성이 낮다”며 “경쟁력 강화를 위해선 역량 있는 ‘민간 주인 찾기’가 근본 해결책이라 판단했다”고 설명했다. 이어 “매각 시기를 실기해 더 큰 손해를 보게 된 과거의 전철을 밟지 않기 위해 지금까지 다양한 이해 관계자와 논의해 신속한 매각을 추진했다”고 강조했다.
다만 산은은 ‘헐값 매각’ 논란 비판을 의식한 듯 한화그룹이 아닌 다른 투자자에게도 참여 기회가 열려 있다고 밝혔다. 조건부 투자계약을 체결하고 이후 경쟁입찰로 최종 투자자를 결정하는 ‘스토킹 호스’ 방식을 택한 만큼 인수 의향이 있을 경우 누구라도 참여할 수 있다고 선을 그은 것이다.
대우조선해양에 이미 투입된 막대한 공적자금을 얼마나 회수할 수 있을지도 또 다른 논란거리다. 강 회장은 “대우조선해양을 경쟁력 있는 기업으로 만들어서 주식가격이 더 많이 올라간다면 투입 금액이 상당 부분 회수될 것”이라고 밝혔지만 시장의 의구심은 여전하다. 금융권 관계자는 “헐값 매각 논란은 결국 향후 공적자금을 얼마나 회수할 수 있을지에 달렸다고 본다”며 “산은의 전망이 다소 낙관적인 면이 없지 않아 보이지만 한화그룹 외에 다른 인수 후보도 보이지 않는 만큼 향후 결과를 지켜봐야 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김진호 기자 rplkim@busa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