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 중소형 저축은행 연체율 지표 악화
전국 79곳 상반기 분석
부동산 경기 악화 주요인
최근 부동산 경기가 악화하자 일부 지방 소재 중소형 저축은행을 중심으로 부동산·건설 관련 대출의 연체율 지표가 악화한 것으로 나타났다.
금융감독원은 2011년 ‘저축은행 사태’ 이후 강화된 각종 규제 덕에 저축은행 업계의 부동산 관련 대출 리스크가 타 업계 대비 상대적으로 적은 편이라고 보면서도, 업계의 리스크 관리 상황을 밀착 점검하고 있다.
6일 저축은행 79곳의 올해 상반기 ‘부동산 업종별 신용공여 한도 준수 및 자산건전성 분류 현황’에 따르면, 일부 저축은행에서 부동산업·건설업·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등 각 업종의 연체율이 10∼20%대로 올라선 사례가 나왔다. 부산·경남 지역의 A저축은행은 부동산업 관련 대출의 연체율(대출 잔액 중 1개월 이상 미상환된 잔여 원금 비중)이 29%에 달했다. 부동산업 관련 대출 287억 원 중 136억 원만 정상 채권으로 분류됐고, 연체액은 85억 원이었다.
건설 부문에서는 부산·경남 지역 소재 B저축은행의 연체율이 22%였는데 관련 대출 101억 원 중 연체액이 23억 원이었다. 연체율은 1분기 말과 비교해서는 약 7%포인트(P) 상승했고 1년 전과 비교하면 4배 이상 높아졌다.
부동산 PF 대출과 관련해서는 서울의 한 저축은행 연체율이 1년 만에 8%대에서 14%대로 뛰었다. 호남의 한 저축은행은 지난해 말 0%에서 10%대로 올랐다. 다만, 감독당국은 일부 중소형 저축은행의 연체율 지표 상승을 인지하고 있다면서도, 이것이 업계 전체의 위험을 의미하지는 않는다고 선을 그었다.
금감원 관계자는 “중소형사에서는 사업장 1∼2곳만 부실이 되어도 연체율이 갑자기 껑충 뛰게 된다”고 말했다.
이주환 선임기자 jhwan@busa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