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6번째로 남극 내륙기지 만든다
세종·장보고 이어 세 번째 기지
차세대 쇄빙연구선 2027년 건조
극지활동 첫 법정 기본계획 확정
정부가 2030년까지 세계 6번째로 남극 내륙기지를 구축해 미지의 생명체 탐색에 나선다. 2026년에는 1만 5000t급 ‘차세대 쇄빙연구선’을 건조해 2027년부터 아시아 최초로 고위도 북극해 국제공동연구를 추진한다. 북극의 해빙변화 관측을 위한 초소형 위성을 개발하고, 친환경 수소에너지 기반 탄소제로 연구 인프라도 조성한다.
해양수산부는 22일 관계부처 합동으로 만든 ‘제1차 극지활동 진흥 기본계획’이 국무회의에서 심의·확정했다고 밝혔다. 이번 계획은 남북극을 포괄하고 과학연구뿐 아니라 경제활동, 국제협력, 인력양성까지 극지 활동 전반을 아우르는 최초의 법정 기본계획이다. 우선, 2027년까지 남극의 내륙연구 최적 거점을 기지 후보지로 선정해 2030년 세계 6번째로 기지를 건설한다. 현재 남극 내륙기지는 미국, 러시아, 일본, 프랑스·이탈리아(공동), 중국이 세운 5곳뿐이다. 세종과학기지, 장보고과학기지에 이어 우리나라의 세 번째 남극기지가 된다.
사람의 손이 닿지 않은 남극내륙은 연구 가치가 크지만 빙하가 갈라져 생기는 틈인 크레바스를 피해야 하는 등 고난도 탐사기술이 필요하다. 최적의 거점을 찾아가며 100만 년 전의 공기가 그대로 담긴 3000m 깊이의 심부빙하 시추와 빙하 2000m 아래에 있는 호수(빙저호) 시추에도 도전한다. 이를 통해 과거 지구 기후변화 정보와 미지의 생명체가 존재할 가능성을 탐색한다.
정부는 또 2774억 원을 투입해 2026년까지 1만 5000t급 차세대 쇄빙연구선을 건조한다. 1.5m 두께의 얼음을 3노트(5.6㎞/h)의 속도로 깰 수 있어 1m 두께까지만 가능한 아라온호가 진입하기 어려웠던 북위 80도 이상의 고위도 북극해까지 진출할 수 있을 전망이다. 정부는 이를 기반으로 2027년부터는 아시아 최초로 북극점을 포함한 북극해 국제공동연구를 주도한다는 계획이다. 극지 환경 변화는 지구 기후에 직접적인 영향을 끼치는 만큼 2025년까지 북극 해빙 관측을 위한 초소형 위성을 개발하는 등 관련 연구도 강화한다. 아울러, 친환경 쇄빙컨테이너선 등 극한지 신기술을 개발해 북극항로 운항 경쟁력을 확보한다. 또 극한환경에서 생존한 극지 생물자원을 활용해 항생제, 치매치료제, 항균·면역조절물질 등 신규 의약물질도 개발한다.
최세헌 기자 cornie@busa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