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물연대 총파업 장기화 땐 ‘부산항 환적화물’ 타격
‘컨’ 반·출입량, 80% 이상 감소
광양·울산항 사실상 기능 정지
민주노총 공공운수노조 화물연대본부(이하 화물연대) 총파업이 닷새째에 접어들면서 부산항 등 전국 주요항만이 기능을 서서히 멈추고 있다. 국내 최대 수출입항인 부산항의 컨테이너 반·출입량은 급감했다.
28일 국토부에 따르면 전날 오후 5시부터 이날 오전 10시까지 부산항의 컨테이너 반·출입량은 6515TEU로, 평소 같은 시간대 반·출입량의 약 25%에 그쳤다. 지난달 비슷한 시간대와 비교하면 부산항의 컨테이너 반·출입량은 80% 이상 감소한 상태다. 1TEU는 20피트짜리 컨테이너 1개를 뜻한다.
이날 오후 5시 기준 부산항의 장치율(컨테이너를 쌓아둔 비율)은 65.9%로 평소 수준와 비슷해 안정적이다. 하지만 파업이 장기화되면 장치율이 상승해 항만의 기능이 멈출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는 상황이다.
부산항뿐만 아니라 같은 시간 전국 12개 항만 컨테이너 반·출입량이 평소 대비 21% 수준으로 크게 감소해 수출입과 환적화물 처리에 차질을 빚고 있다. 파업 첫날인 지난 24일 전국 항만의 컨테이너 반·출입량은 6만 9976TEU였다가, 나흘째인 27일 6929TEU까지 뚝 떨어졌다. 특히, 광양항, 평택·당진항, 울산항 등 일부 항만은 컨테이너 반·출입이 거의 중단된 상황이라, 사실상 항만의 기능이 정지된 상태다.
파업이 더 지속될 경우 환적화물이 많은 부산항의 특성상 화물 운송에 문제가 생기면 글로벌 선사들이 부산항을 지나칠 수 있다. 화물을 내릴 수도 실을 화물도 없는데 굳이 외국 선사들이 부산항에 들를 필요가 없기 때문이다.
항만 업계는 파업이 시작되기 전 선박 스케줄을 조정하거나 컨테이너를 반·출입해 시간을 벌고는 있지만, 파업이 장기화된다면 부산항의 국제적 신뢰마저 잃을 수도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
업계 관계자는 "올 6월의 파업 상황을 고려해 이번에는 선박 스케줄을 조정하는 등 임시 조치를 해놓은 상황이지만, 파업이 장기화되면 피해는 더 커질 것"이라며 "배차도 겨우겨우 수소문해서 하나씩 잡는 중이지만, 거의 불가능한 상황이라고 보면 된다"고 상황을 전했다.
한편, 조승환 해양수산부 장관은 28일 화물연대 총파업 집회가 열리고 있는 부산항 신항을 찾아 현장 상황을 점검했다. 조 장관은 터미널 내부를 살피면서 부두 간 컨테이너 이송 통로 활용 등 비상수송대책이 현장에서 제대로 이행되고 있는지 확인하고, 하역작업이 안전하게 진행되는지 여부를 점검했다.
박혜랑 기자 rang@busa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