낙동강 하류, 미규제 미량오염물질 관리 사각지대 벗어나나

서유리 기자 yool@busan.com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매리 센터’ 내년부터 시범 운영
왜관센터서 월 1회 측정 탈피
부산 주요 취수원 인근 수질
주 2회 화학물질 등 정밀 조사
상·하류 촘촘한 감시망 기대

내년 2월부터 시범운영될 경남 김해시 매리 수질측정센터 외관. 부산일보DB 내년 2월부터 시범운영될 경남 김해시 매리 수질측정센터 외관. 부산일보DB

대구·경남 등 낙동강 인근 산단에서 배출되는 화학물질과 미량오염물질 등을 정밀 감시하는 낙동강 하류 수질측정센터가 내년부터 가동된다.

환경부 소속 국립환경과학원은 낙동강 하류 지역의 수질 관리 강화를 위한 ‘매리 수질측정센터’(이하 매리 센터)를 내년 2월부터 시범 운영한다고 12일 밝혔다. 경남 김해시 상동면에 위치한 매리 센터는 대구 성서·달성 산단과 함안 칠서 산단 등지에서 배출하는 화학물질과 미규제 미량오염물질을 정밀 감시하는 역할을 맡는다. 매리 센터는 내년 2월부터 1년간 시범 운영을 거친 뒤 오는 2024년부터 본격적으로 운영된다.


매리 센터는 부산의 주요 취수원인 매리 취수장과 물금 취수장 인근의 수질을 주 2회 정밀 감시한다. 과불화화합물, 화학약품, 중금속류, 농약류, 의약물질류 등을 분석할 수 있는 7종의 기기를 갖추고 미규제 미량오염물질을 집중 조사한다.

미량오염물질은 극미량으로도 생태계나 사람에게 영향을 줄 수 있는 유무기 물질을 말한다. 미규제 미량오염물질은 수질오염물질에 포함되지 않아 그동안 관리 사각지대에 놓여있었다. 매년 3000여 종의 새로운 화학 물질이 개발되고, 국내에서도 약 4만 4000종 이상의 화학물질이 유통되는 만큼, 관리 체계가 부족할 경우 상수원인 하천 수질에 악영향을 줄 수도 있다. 매리 센터는 국내에서 규제하지 않더라도, 해외에서 관리항목으로 지정하거나 위해성을 갖고 있을 것으로 판단되는 미량오염물질까지 확인한다는 방침이다.

매리 센터는 경남 창녕 남지 일대부터 낙동강 하류 전체의 물환경 감시도 함께 맡는다. 매리 센터에서 조사·연구한 결과는 환경부와 관련 지자체 등 유관기관에 제공한다. 관련 기관들은 이 자료를 토대로 상수원이나 배출원을 지도·점검하는 데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또 필요한 경우에는 환경기준, 먹는물 수질기준, 수질오염물질 배출허용기준 등을 설정할 수 있도록 지원할 계획이다.

낙동강은 강 줄기를 따라 수백 개의 산업단지와 5만여 축산 농가가 있어, 수질오염사고에 취약한 지역으로 꼽힌다. 한국산업단지공단 등의 자료에 따르면 낙동강 수계에서 유해화학물질을 사용하는 산단은 올해 2분기 기준 267곳에 달한다. 축산 농가도 2020년 5만 7500호로, 한강·영산강 등 다른 권역에 비하면 가장 많다. 특히 부산의 취수원은 지리적으로 오염에 취약한 하류에 있다 보니 수질 오염 문제가 늘 잇따랐다.

그럼에도 낙동강 하류는 중·상류 지역에 비해 촘촘한 감시망을 갖추지 못했다. 2019년부터 경북 칠곡에 왜관 수질측정센터가 본격 가동됐으나, 왜관 센터는 구미 국가산단과 낙동강 중류를 위주로 조사해 왔다. 그러다 보니, 낙동강 하류 지역은 왜관 센터에서 월 1회 측정하는 데 그쳤다. 부산시도 취수원에 대한 자체 모니터링을 해 왔으나, 월 1회~반기 1회 수준이었다.

낙동강 하류 지역에 매리 센터가 가동되면 주 2회 수질 검사를 통해 낙동강 상·하류의 감시망이 보다 촘촘해질 것이라는 기대가 나온다. 김동진 국립환경과학원장은 “이번 매리 수질측정센터 건립을 계기로 낙동강 먹는 물 안전성 강화를 위한 조사·연구를 더욱 확대할 수 있을 것”이라면서 “전문가, 유관기관과 소통·협력하면서 낙동강의 건강한 물환경 조성을 위한 연구를 선도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서유리 기자 yool@busan.com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