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소선박 분야 강점… 호주·일본 벤치마킹 필요

송현수 기자 songh@busan.com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부산 현 주소와 해외 모범 사례

시 육성 기본계획, 다음 달 중 수립
터빈·유압기기 제조업 등 특화도 높아
호주·일본, 기업 노력·지자체 지원 최고

부산시는 올 9월 환경부, 부산항만공사, SK E&S, 현대자동차 등과 ‘친환경 수소 첨단도시 부산 구축 업무협력 협약’을 체결했다. 부산시 제공 부산시는 올 9월 환경부, 부산항만공사, SK E&S, 현대자동차 등과 ‘친환경 수소 첨단도시 부산 구축 업무협력 협약’을 체결했다. 부산시 제공

부산시는 10년 전 이미 전국에서 가장 큰 규모의 수소연료전지발전소를 가동한 지자체였다. 그 이전에 선도적으로 ‘수소시범도시’를 기획해 정부 지원을 요청하기도 했다. 그러나 이는 무산됐다.

부산시는 2017년부터 수소 선박 분야 기술개발 사업을 수주해 다시 한 번 이 분야에서 가장 앞선 지자체가 됐다. 부산시는 이러한 지역 여건을 발판으로 수소산업을 더욱 체계적으로 육성하기로 했다. 그 기초 전략을 담을 ‘부산시 수소산업육성 기본계획’가 다음 달 중으로 수립된다.


부산의 전 산업 사업체수 29만 357개 중 잠재적 수소산업 사업체는 9050개다. 전체의 3.12%에 불과하다. 전국(11만 2992개) 대비 부산의 잠재적 수소산업 사업체수 비중은 8.01%(9050개)에 그친다.

부산에서 특화도가 높은 수소산업 업종은 기타기관 및 터빈 제조업, 탭 밸브 및 유사장치 제조업, 유압기기 제조업, 강선 건조업, 수송용 운송장비도매업, 터빈제조업 등 6개로 최종 분석됐다.

부산시가 수립할 지역특화 수소산업 육성 기본계획에서는 호주와 일본을 벤치마킹할 필요성도 제기된다.

호주는 글로벌 자원 수출국으로, 매년 우리나라에 철광석과 우라늄, 최근 핫 이슈인 배터리 제조에 필수적인 희귀금속 등을 수출하고 있다. 호주는 무엇보다도 중요한 자원인 천연가스(LNG)를 국내에 공급하고 있다.

한국의 70배가 넘는 국토를 보유하고도 인구는 2400만 명에 불과한 호주가 부를 유지하는 원천은 풍부한 자원 수출에 있다. 호주가 추진하는 정책이 바로 자원 수출을 다변화함으로써 부를 지속적으로 유지하는 것인데, 온실가스 문제로 ‘화석연료가 지속가능한 부의 원천이 될 수 없다’는 고민의 타개책으로 수소를 선택한 것이다.

이런 배경으로 호주는 국가수소로드맵상 2040년도 수출품 1위에 바로 수소를 책정하고 있다.

일본의 경우는 지난 30~40여 년간 수소산업 육성을 위해 투입된 기업의 노력과 지자체의 지원으로 글로벌 수소산업 선도국가로 진입했다. 수소 수입 항만인 고베항은 수소를 중심으로 한 탄소중립 항만 조성 계획이 이미 진행중에 있다. 고베항의 사례는 부산시가 충분히 벤치마킹할 필요가 있다.

호주는 여기서 한 발짝 더 나아가 태양에너지를 이용해 발생된 전력으로 물을 전기분해(수전해)하여 만든 수소를 다시 암모니아와 같은 수소 저장물질로 전환한 다음 선박으로 수출하는 사업을 국가사업으로 진행중이다.

현재 부산대학교와 호주 뉴캐슬대학은 암모니아를 화력발전소에 투입해 온실가스를 저감하는 국제공동연구를 진행 중이다. 따라서 향후 뉴캐슬 지역의 암모니아를 기반으로 부산의 암모니아 친환경에너지 규제자유특구 사업 활성화에 이를 접목할 기회가 창출되고 있다.

수소를 액화시켜 선박으로 운송하는 방법 뿐만 아니라 암모니아와 같이 취급하기 편한 물질로 전환함으로써 운송과 저장이 용이한 방법을 동원하는 것 역시 부산시가 선택할 수 있다. 암모니아는 과거 질소비료의 원료로 광범위하게 사용됐으며 수급 소동이 빚어졌던 요소수 제조의 원료로 사용되고 있다.


송현수 기자 songh@busan.com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